메뉴 바로가기
본문 바로가기
전통과 기록
유교문화관
조선의 교육
조선의 가례
옛문서 생활사 박물관
사행록 역사여행
안동 하회마을
조선의 전통건축
스토리 테마파크
스토리테마파크
웹진
공모전
콘퍼런스
테마스토리
가정
가족, 친족과의 왕래와 갈등
개인의 일생과 통과의례
그리운 가족
노비들의 삶
경제
가계경영과 노동
고달픈 세금과 부역
시장과 거래
자연재해와 흉년의 기록
공동체
사람들과의 교유와 어울림
울고 웃기는 소문과 이야기들
지방관, 관청과의 공조와 대립
지역 사업의 추진과 운영
지역사회내의 정치와 갈등
지역사회의 사건과 재해
근대화와 식민지의 시대
구국에 나선 의인들
나라를 위한 무장투쟁
신문물의 물결과 변화하는 조선
이역만리에서의 독립운동
혼란한 정국
나라의 정치
관직생활
국가의 경조사
국왕의 명령
왕실 사람들의 이야기
조정의 갈등과 대립
조정의 사건과 사고
외교와 사행
사행길의 사건사고들
사행길의 여정
외교정책의 수행
외국 사람들과의 만남
외국의 자연과 문물의 경험
전쟁, 혼란의 기록
전장에서 들려오는 소식들
전쟁을 극복하기 위한 노력들
전쟁의 진행과 양상
피난과 궁핍의 기록
풍류와 놀이, 여행의 기록들
유람과 감상
유람과 여행에서 만난 사람들
유흥의 기록
자연과 고적에 얽힌 이야기
하층민의 놀이와 즐거움
학문과 과거
과거 급제의 영예
과거의 부정부패
끝없는 학문의 세계
어렵고 힘든 과거시험
인물스토리
관리
가족, 동료와 교류하는 관리
나라의 변란을 맞이한 관리
무인의 길을 걷는 관리
바른말을 하는 관리
부정부패를 저지르는 관리
선정을 베푸는 청렴한 관리
외교를 수행하는 관리
인사발령을 받은 관리
정치적 갈등에 직면한 관리
죄를 지은 관리
지방을 다스리는 관리
직무를 수행하는 관리
양반
가정의 대소사를 챙기는 양반
고을일에 참여하는 양반
과거시험을 치르는 양반
나랏일을 걱정하는 양반
난리를 만난 양반
대립과 갈등에 놓인 양반
사람들과 교유하는 양반
일상을 고찰하는 양반
일신상의 문제가 생긴 양반
풍류와 유람을 즐기는 양반
풍문과 소식을 듣는 양반
학문하는 양반
여성
기생
양반가의 여성
왕실의 여인들
풍류와 유람을 즐기는 양반
하층민 여성
왕실
국난을 만난 국왕
국정을 돌보는 국왕
왕실의 사람들
왕을 보필하는 세자
한 집안의 가장인 국왕
외국인
군대를 이끌고 온 외국장수
외국의 외교관
조선인을 만난 외국인
중인
의료를 담당하는 의원(의관)
향리
하층민
고된 삶을 사는 노비
기술자의 삶, 장인
무속인
부역과 노동에 지친 백성
장사로 삶을 영위하는 상인
천대받는 승려
배경이야기
경제
군제와 군역
농업과 가계경영
산업과 시장
세금과 부역
환경과 재해
교육과 과거
과거
교육기관
학문과 출판
인물
문화
고사, 고적
관습, 풍속
군제와 군역
놀이
예술
의례
의식주
종교
질병과 의료
사회
가족과 일상의례
신분
지역공동체
질병과 의료
전쟁과 외교
국제정세
민간인 교류
외교
전쟁
정치와 행정
사건
사법
왕실
정쟁
정치행정제도
지방제도
일기정보
서명별
전체
가
나
다
라
마
바
사
아
자
차
카
타
파
하
저자별
전체
가
나
다
라
마
바
사
아
자
차
카
타
파
하
멀티미디어
내용유형
공간자료
사건자료
소품자료
인물자료
절차자료
참고자료
미디어유형
3D
그래픽
애니메이션
이미지
공지사항
활용사례
로그인
소개
웹진담담신청하기
활용가이드
용어사전
전통과기록
페이스북
블로그
▲ top
전체
출전
이야기소재
배경
멀티미디어
유교넷일기
상세검색
디렉토리검색
전체
전체
출전
이야기소재
배경
멀티미디어
유교넷이야기
검색어
시기
-
검색
다시입력
인물스토리
관리
양반
여성
왕실
외국인
중인
의료를 담당하는 의원
향리
하층민
Home
>
인물스토리
>
중인
>
페이스북
스크랩
왕세자, 명나라 제독 이여송을 문안케 하다
1592년 12월 29일, 왕세자 광해군은 임진년 마지막 날 평안남도
용강(龍岡)
에서 평안북도 영변(寧邊)으로 왔다. 왕세자가 오늘 길에는 이미 명나라 군대가 주둔해 있었다. 왕세자는 오는 길에 명나라 군대와 마주치지 않으려고 하였다. 그것은 지금 현재 왕세자가 비록 모든 군무(軍務)를 임시로 맡고 있지만, 아직 명나라로부터 왕세자의 품봉(稟封)을 받지 못하여 명나라 장수와의 접견이 관례상 어색하고도 예에 합당하지 않을 수가 있었기 때문이다.
그런데 명나라 제독
이여송(李如松)
이 1593년 1월 3일 평안남도 안주(安州)에 왔다. 일국의 왕세자이자 군무를 총괄하는 입장에서 조선을 돕기 위해서 온 제독 이여송을 맞이하지 않을 수가 없었다. 이에 세자는 할 수 없이 좌찬성
정탁(鄭琢)
에게 제독 이여송을 문안하라고 하였다. 이날 정탁은 왕세자의 명을 받고 안주로 곧장 출발하였다. 이 길에는 정탁의 아들
정윤목(鄭允穆)
이 함께 하였다. 그리고 이날 한밤중에 안주에 도착하였다.
1월 4일 아침 정탁은 역관
진효남(秦孝男)
을 통해 이여송에게 다음과 같이 고하였다.
“제독께서는 명나라 조정의 명령을 받아 우리나라를 위하여 적을 토벌하러 오시니 우리 신하들과 백성들이 감읍하지 않음이 없습니다. 왕세자께서는 군사의 일을 임시로 총괄하시며 여기에서 60리 정도 떨어진 영변에 와 머무르시고 계십니다. 지금 제독께서 우리 경내로 오셨다는 소식을 듣고 간절히 제독이 오시는 길가에서 영접을 하려 하셨지만, 지금은 명나라 황제로부터 아직 조선의 세자로서 품봉을 받지 못하였습니다. 그러므로 일의 사정이 합당하지 않아 감히 그렇게 하지 못하고 소신(小臣)을 보내시어 문안을 드립니다.”
그러자 제독은 다음과 같이 답하였다.
“중신(重臣)을 보내시어 고맙다고 말씀해주시니 감사할 따름이오.”
정탁은 이날
유성룡(柳成龍)
과 이여송이 평양 탈환 작전을 계획하는 일을 지켜볼 수 있었다.
개요
배경이야기
원문정보
멀티미디어
관련이야기
출전 :
피난행록(避難行錄)
전체이야기보기
저자 :
정탁(鄭琢)
주제 : 전쟁과 피란, 전쟁과 외교
시기 : 1592-12-29 ~ 1593-01-04
동일시기이야기소재
장소 : 평안남도 용강군
일기분류 : 전쟁일기
인물 : 광해군, 이여송, 정탁, 정윤목, 진효남
참고자료링크 :
조선왕조실록
◆ 전쟁 중의 외교 문제
왕세자 광해군은 1592년 12월 29일 영변으로 오기 전에 평안남도 용강에 있었다. 그러나 용강에서 세자는 그다지 군대의 임시 총괄자로서 많은 역할을 하지 못하였다. 용강에서 세자는 내내 병치레를 하였고, 심지어는 홍역에도 걸렸다. 이에 어쩔 수 없이 영변으로 오게 되는데, 마침 명나라 제독 이여송이나 총병 조승훈과 얼마 떨어지지 않은 거리에 있었다. 특히 총병 조승훈은 세자가 자신들에게 성의를 보이지 않는다고 질타까지 하였다. 이에 세자가 신하를 보내 명나라 장수에 대해 문안을 한 것이다. 그러나 세자 광해군은 조선에서는 세자로 책봉되었지만 명나라로부터는 아직 세자로서 정식 인가를 받지 못한 상태였다. 그러므로 외교적 상황에 있어서 세자는 활동할 수 있는 입지가 좁았다. 그럼에도 명나라는 묵시적으로 광해군이 세자이고, 군무에 대해 총괄함을 인정하였다. 명나라는 명나라 장수에 대한 접대나 군대에 대한 보급의 책임을 세자에게 지우려고 하고 있었다.
◆
원문 이미지
◆ 원문 번역
12월 29일(갑인)
二十九日甲寅.
왕세자께서 영변(寧邊)에 이르렀고, 계속 머물렀다.
王世子至寧邊, 仍留.
1월 3일(정사)
初三日丁巳.
제독(提督) 이여송(李如松)을 문안하는 일에 대해 동궁의 명을 받아 안주(安州)로 갔으며, 아들 윤목(允穆)이 나를 따랐다.
以李提督如松問安事, 承東宮命往安州, 子允穆從.
1월 4일(무오)
初四日戊午.
명령을 실행하였다.
復命.
이미지
류성룡 초상화
정탁 영정
류성룡 선조제문
류성룡 투구
류성룡 갑주
류성룡 유서통
류성룡 관자
류성룡 갓끈
류성룡 가죽신(흑혜)
이여송 초상화
『약포선조유묵』
『약포선조유묵(용사잡록)...
『약포선조간첩』
『약포선생입조사적(藥圃先...
『용사일기(龍蛇日記)』
이여송 초상화
그래픽
영변에서 이여송의 문안을...
게시판 리스트
번호
제목
날짜
장소
멀티미디어
1
국왕의 접대를 받지 못해 심통 난 명나라 장수, 정탁의 시...
1593-09-12
평안북도 의주군
2
명나라 장수 이여송, 귀국길에 급하게 열린 환송회를 달게 ...
평안북도 의주군
닫기
출전정보
출전정보가 없습니다.
저자정보
저자미상
저자정보가 없습니다.
원문보기
닫기
관련목록
시기
동일시기 이야기소재
장소
출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