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바로가기본문 바로가기
  • 검색

상세검색

디렉토리검색
검색어
시기
-
조선시대 장례 준비 - 장지 선택
망자가 묻힐 산소를 정하는 것은 조선시대에 매우 중요한 일이었다. 무덤자리를 어디에 결정하느냐에 따라 집안과 후손들의 운명이 달라질 수 있다고 믿었기 때문이다. 그래서 지관(地官)의 도움이 필요하였는데, 지관이란 풍수지리설에 따라 묏자리나 집터의 길흉을 판단하는 사람으로 지사(地師) 또는 풍수라고도 하였다.
김택룡과 가족들은 매우 신중하게 죽은 김적의 무덤자리를 고른다. 김택룡쪽에서도 또 산양에 거주하는 죽은 김적의 집에서도 지관의 도움을 받아 이리저리 여러 곳을 물색하여 살펴보기를 거듭하고 있다. 산양 김적의 집에서는 이우경이라는 지관의 도움을 받아 산양 북면 20리 쯤을 무덤자리로 골랐는데, 그 산 앞이 다른 사람의 소유라서 결국 포기하였다고 하였다. 마지막 장면은 이 소식을 들은 김택룡이 집안의 선조 무덤이 있는 가동으로 가서 몇 군데를 살핀 후 괜찮은 곳을 점찍어 쇠를 놓아 표시하고 있는 것이다. 며칠 후에 김택룡은 지관 이자정을 불러 이곳을 함께 살폈는데 이자정이 매우 칭찬하여 김택룡은 흡족해하였다.

관련이야기 소재

지관이 아내 묘소의 이장을 권하다 테마스토리 이동

1761년 2월 12일. 흐리고 가랑비가 가끔 내린 날이었다. 어머니께선 가슴이 막히고 등에 찬기운을 느끼는 증상을 앓고 계셨는데, 본인께선 본래 있던 증상이니 크게 걱정하지 말라고 하셨다. 말씀은 그리하시지만, 자식 된 도리에서 애가 타고 걱정되는 것이 끝이 없었다.
오늘은 백안 마을에 사는 지관 류사달을 불러왔다. 집안의 여러 산소의 풍수가 어떠한지를 묻기 위해서였다. 최흥원뿐만 아니라 지촌 마을에 사는 일족 할아버지도 함께 오셔서 여러 묘소를 함께 둘러보았다. 우선 할머니 산소에 올라갔는데, 지관은 터를 한참 둘러보더니, 크게 길한 자리라고 평가하였다. 땅의 모양을 하나하나 짚어가면서 길한 자리임을 설명해 주는데, 할머니 묘소가 길지란 소리를 들으니 최흥원의 마음이 흐뭇해졌다. 이에 아내의 산소도 지관에게 보이고 싶어 함께 자리를 옮겼다.
그런데 아내 산소 자리를 살펴보던 지관은 미간을 찌푸리며 아내가 죽은 지 얼마나 됐느냐고 물었다. 그리고는 아내가 죽은 이후 집안의 여러 우환이 생겼을 것이라고 말하고는 빨리 무덤 터를 옮기는 것이 좋겠다는 것이었다. 안 그래도 집안의 여러 사람이 목숨을 잃고, 어머니 건강도 날로 나빠지셔서 걱정이었던 최흥원은 지관의 말에 안색이 어두워졌다. 아내의 묘소 터를 고를 때 최흥원이 직접 이곳저곳을 둘러보고 정하였는데, 그때 터를 잘못 잡은 것인가……. 최흥원은 마치 집안의 여러 좋지 않은 일이 자신의 안목 부족 때문이듯 생각이 들어 마음이 불편해졌다.

제수씨의 묫자리를 고르다 테마스토리 이동

1758년 3월 18일. 최흥원은 오늘 아침 식사를 일찍 마치고 아버지의 묘소로 올라갔다. 그간 선친의 묘소를 참배하지 못하여 일부러 찾은 것이었다. 참배를 마치고 나서 최흥원은 아버지 묘소 주변을 둘러보았다. 사실 오늘의 참배는 아버지 묘소를 보기 위한 것도 있지만, 얼마 전 세상을 떠난 막내 제수씨의 묫자리를 고르기 위한 목적도 있었다.
아버지 묘소 인근의 용맥에 올라가 묫자리를 쓸만한 곳을 살펴보았으나, 끝내 쓸만한 자리가 없었다. 이리하여 자리를 옮겨 안산으로 올라가 보았다. 감룡 언덕의 주변 지형이 아주 기묘하여 묫자리를 쓸 수 있게 보였다. 그러나 자세히 보니 산자락이 묫자리와 만나는 곳이 왼쪽으로 떨어져 있고, 방향도 축방이어서 별로 좋은 자리가 아니었다. 거기다가 물길이 들어가는 파구도 좋지 못한 방향으로 나 있어 좋은 자리라 볼 수 없었다.
결국, 최흥원은 아버지 묘소에서 내려와 도장동 쪽으로 발길을 돌렸다. 거기에 도착하여 좌청룡이 되는 곳의 머리 부분에 올라가 주변 지형을 살펴보니 장지로 쓰기에 충분한 터가 나왔다. 다만 이곳 역시 산자락과 묫자리가 만나는 곳이 다소 왼쪽으로 떨어져 있었다.
어머니를 효성스럽게 모신 막내 제수씨의 묫자리인 만큼, 최흥원은 최대한 좋은 자리에 묻어주고 싶었다. 도장동 터가 나쁜 것은 아니었지만, 더 좋은 자리를 찾을 때까지 보다 시간을 들이기로 하였다. 좋은 자리에 막내며느리를 묻어야, 어머니의 슬픔도 다소간 가라앉을 것이다. 최흥원은 오늘 본 자리들을 머릿속에 다시 한번 떠올려보고, 이제 어디로 터를 보러 가야 할지 떠올려보기 시작하였다.

아들의 묏자리를 고르고 또 고르다 테마스토리 이동

1617년 2월 3일, 김택룡의 첫째아들 김숙이 지관(地官) 주경순(朱景荀)을 초청하여 영주 집 뒤의 장지(葬地)를 살펴보기 위해서 영주[영천(榮川)]로 막 출발하려던 참이었다. 김택룡이 문득 아들을 보니 얼굴이 매우 상해 있었다. 김숙이 제 죽은 동생 김적의 초상에 분주히 돌아다니느라 건강이 상한데다가 또 계속해서 먼 길을 다녔으므로 무척 피곤했기때문이었다. 김택룡은 아들 김숙이 몸에 병이 생길까 걱정이 되어 중지시키고 보내지 않았다.

얼마 후 2월 13일, 김택룡의 큰 아들 김숙과 조카 김형이 결국 영주로 갔다. 죽은 아들 김적을 안장할 산을 살피고자 하였기 때문이다. 10일 전에 가려다 중지했던 것을 이 날 실행에 옮긴 것이다.

2월 24일, 김택룡의 셋째아들 김각이 제 형 김적을 안장(安葬)할 산을 살피는 일로 회곡(檜谷)에 갔다. 이자정은 말을 가지고 간다고 하였다. 김택룡은 편지를 써서 김각에게 주어 보냈다.

2월 25일, 금복(琴福)이 산양(山陽, 죽은 아들 김적이 살던 곳)에서 와서 김택룡은 별감 김달가(金達可)가 보낸 편지를 전해 받았다. 편지에는 다음과 같은 말이 쓰여 있었다.
“김적을 안장(安葬)할 산은 용궁(龍宮) 사람 이우경(李禹卿)을 통해 산양의 북면(北面) 20여 리 쯤에 정하였으며, 3월 20일에 장례를 치르기로 했었습니다. 그런데 그 산 앞을 채득해(蔡得海)가 차지하고 있는 까닭에 여러모로 적합하지 않아서 결국 포기하였습니다. 김적의 아내도 가동(檟洞)에 안장하고 싶다고 합니다.”
김택룡은 일단 이자정이 오기를 기다려 결정하기로 하였다. 아들 김각이 저녁에 돌아와 이자정의 말을 전하길, “그가 한식(寒食)절제(節祭)가 다가와서 오지 못하겠다고 다음 달 초하루에 와서 결정하겠다고 하였습니다.”고 하였다. 산양에서 온 금복이 이 일 때문에 계속 머물렀다. 김택룡은 속으로 ‘결정하지 못했으니 어찌하겠는가?’라고 생각하였다.

다음 날 2월 26일, 금복이가 산양으로 돌아가서 김택룡은 그 편에 둘째 며느리[김적의 아내]에게 답장을 보냈다. 답장에는 장례치를 산은 이자정이 오기를 기다려 결정할 것이며, 그리도 다음 달 3,4일 경에 큰 아들 김숙을 산양으로 보내 그 곳에서 택할 수 있도록 한 다음 결정하겠다고 썼다. 이날 김택룡은 큰아들 김숙과 가동으로 갔다. 그리고 사현(砂峴)을 경유하여 사동(砂洞) 뒷산이 장례를 치를만한지 여부를 살펴보았다. 김택룡은 쇠를 놓아 산의 두 세 곳을 점찍어 두었다.

닫기
닫기
관련목록
시기 동일시기 이야기소재 장소 출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