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바로가기
본문 바로가기
전통과 기록
유교문화관
조선의 교육
조선의 가례
옛문서 생활사 박물관
사행록 역사여행
안동 하회마을
조선의 전통건축
스토리 테마파크
스토리테마파크
웹진
공모전
콘퍼런스
테마스토리
가정
가족, 친족과의 왕래와 갈등
개인의 일생과 통과의례
그리운 가족
노비들의 삶
경제
가계경영과 노동
고달픈 세금과 부역
시장과 거래
자연재해와 흉년의 기록
공동체
공동 목표를 위한 조직과 협동
관리와 공조 및 대립
사람 사이 갈등과 범죄
이웃과 어울리는 삶
근대화와 식민지의 시대
구국에 나선 의인들
나라를 위한 무장투쟁
신문물의 물결과 변화하는 조선
이역만리에서의 독립운동
혼란한 정국
나라의 정치
관직생활
국가의 경조사
국왕의 명령
왕실 사람들의 이야기
조정의 갈등과 대립
조정의 사건과 사고
외교와 사행
사행길의 사건사고들
사행길의 여정
외교정책의 수행
외국 사람들과의 만남
외국의 자연과 문물의 경험
전쟁, 혼란의 기록
전장에서 들려오는 소식들
전쟁을 극복하기 위한 노력들
전쟁의 진행과 양상
피난과 궁핍의 기록
풍류와 놀이, 여행의 기록들
유람과 감상
유람과 여행에서 만난 사람들
유흥의 기록
자연과 고적에 얽힌 이야기
하층민의 놀이와 즐거움
학문과 과거
과거 급제의 영예
과거의 부정부패
끝없는 학문의 세계
어렵고 힘든 과거시험
인물스토리
관리
가족, 동료와 교류하는 관리
나라의 변란을 맞이한 관리
무인의 길을 걷는 관리
바른말을 하는 관리
부정부패를 저지르는 관리
선정을 베푸는 청렴한 관리
외교를 수행하는 관리
인사발령을 받은 관리
정치적 갈등에 직면한 관리
죄를 지은 관리
지방을 다스리는 관리
직무를 수행하는 관리
양반
가정의 대소사를 챙기는 양반
고을일에 참여하는 양반
과거시험을 치르는 양반
나랏일을 걱정하는 양반
난리를 만난 양반
대립과 갈등에 놓인 양반
사람들과 교유하는 양반
일상을 고찰하는 양반
일신상의 문제가 생긴 양반
풍류와 유람을 즐기는 양반
풍문과 소식을 듣는 양반
학문하는 양반
여성
기생
양반가의 여성
왕실의 여인들
풍류와 유람을 즐기는 양반
하층민 여성
왕실
국난을 만난 국왕
국정을 돌보는 국왕
왕실의 사람들
왕을 보필하는 세자
한 집안의 가장인 국왕
외국인
군대를 이끌고 온 외국장수
외국의 외교관
조선인을 만난 외국인
중인
의료를 담당하는 의원(의관)
향리
하층민
고된 삶을 사는 노비
기술자의 삶, 장인
무속인
부역과 노동에 지친 백성
장사로 삶을 영위하는 상인
천대받는 승려
배경이야기
경제
군제와 군역
농업과 가계경영
산업과 시장
세금과 부역
환경과 재해
교육과 과거
과거
교육기관
학문과 출판
인물
문화
고사, 고적
관습, 풍속
군제와 군역
놀이
예술
의례
의식주
종교
사회
가족과 일상의례
신분
지역공동체
질병과 의료
전쟁과 외교
국제정세
민간인 교류
외교
전쟁
정치와 행정
사건
사법
왕실
정쟁
정치행정제도
지방제도
일기정보
서명별
전체
가
나
다
라
마
바
사
아
자
차
카
타
파
하
저자별
전체
가
나
다
라
마
바
사
아
자
차
카
타
파
하
멀티미디어
내용유형
공간자료
사건자료
소품자료
인물자료
절차자료
참고자료
미디어유형
3D
그래픽
애니메이션
이미지
공지사항
활용사례
로그인
소개
웹진담담신청하기
활용가이드
용어사전
전통과기록
페이스북
블로그
▲ top
전체
출전
이야기소재
배경
멀티미디어
유교넷일기
상세검색
디렉토리검색
전체
전체
출전
이야기소재
배경
멀티미디어
유교넷이야기
검색어
시기
-
검색
다시입력
테마스토리
가정
가족, 친족과의 왕래와 갈등
개인의 일생과 통과의례
그리운 가족
노비들의 삶
경제
공동체
근대화와 식민지의 시대
나라의 정치
외교와 사행
전쟁, 혼란의 기록
풍류와 놀이, 여행의 기록들
학문과 과거
Home
>
테마스토리
>
가정
> 개인의 일생과 통과의례
페이스북
스크랩
딸의 혼례식 - 신랑과 신부가 잔을 주고 받다
1616년 3월 26일, 잔치를 위해 요리사[숙수(熟手)] 이복(李福)이 김택룡의 집에 와서 이진동과 함께 요리를 했다.
다음 날 27일, 김개일과 김경건이 신랑 집안의 손님들을 맞기 위해 택룡의 집으로 왔다. 잠시 뒤
혼서(婚書)
가 도착하였는데, 사위의 이름은 ‘근오(謹吾)’였다. 택룡은 언복(彦福)을 시켜서 사위를 마중하도록 했다. 오후 세 네 시쯤 되자[
신시(申時)
], 사위가 도착했다. 신랑을 수행하여 함께 온 사람[
요객(繞客)
]은 참봉 권호신과 그 아우 즉 신랑의 아버지 준신, 그리고 중방(中房) 이지남(李智男)이었다.
곧
합근례
를 행하고, 예작(禮酌)을 차려 베풀었다. 택룡의 아들 김숙도 참여하여 행했다. 저녁이 되어 혼례식이 끝나고 신랑 집안 사람들은 모두 돌아갔다. 이 날 광주의 성안의가 택룡에게 편지를 보냈는데 택룡이 혼례 때문에 너무 바빠서 답장을 못했다. 다만 심부름꾼을 시켜 사정을 직접 전달하게 하고 더불어 호도와 포육(脯肉)을 보냈다. 혼례에 손님으로 온 생원 홍이성의 처와 그 아들 · 김개일의 처와 그 아들 · 남석경의 처 · 이여의 처가 택룡의 집에 남아 모두 모였다.
개요
배경이야기
원문정보
멀티미디어
관련이야기
출전 :
조성당일기(操省堂日記)
전체이야기보기
저자 :
김택룡(金澤龍)
주제 : 가족과 친족, 자녀의 혼인
시기 : 1616-03-26 ~ 1616-03-27
동일시기이야기소재
장소 : 경상북도 안동시
일기분류 : 생활일기
인물 : 김택룡, 이복, 이진동, 김개일, 김경건, 권근오, 김숙
참고자료링크 :
웹진 담談 3호
조선왕조실록
◆ 반친영으로 딸을 혼인시키는 김택룡
한국의 전통 혼례는 원래 남자가 여자 집에 가서 혼례를 올리고 처가에서 생활하는 서류부가혼(壻留婦家婚)이었다. 그러다가 조선시대 주자가례가 도입된 이후부터 친영(親迎) 제도가 주장되기 시작했는데, 이는 신랑이 신부의 집에 가서 전안례(奠雁禮)를 마치고 신부를 데리고 신랑의 집에 돌아와서 교배례(交拜禮)를 행하는 것으로 곧 혼례의 예식을 신랑 집에서 행하고 신부가 신랑 집에 들어가서 사는 것이다. 그러나 이러한 친영 제도는 서류부가혼의 전통 때문에 초기에는 제대로 정착되지 못하고, 대신 서류부가혼의 성격과 친영제의 성격을 절충한 반친영(半親迎)이 행해졌다. 친영 제도는 17세기에 이르러 주자학적 가부장제가 강화되면서 비로소 조금씩 정착되기 시작했지만, 일반 사대부들 사이에서 관행적으로 이루어졌던 것은 여전히 반친영 제도였다고 볼 수 있겠다.
반친영(半親迎) 의례는 혼례 예식은 여전히 신부 집에서 하되 신부 집에 머무는 기간을 단축하여 3일 만에 신랑 집으로 가서 친영의례를 거행하도록 하는 것이다.
김택룡이 자신의 둘째 딸을 결혼시키면서 보여주고 있는 혼례의 모습도 반친영 의례에 가깝다. 혼례예식을 모두 신부 집인 김택룡의 집에서 거행하고 있기 때문이다.
3월 27일 김택룡의 집에 도착한 혼서(婚書)는 신랑 측이 신부 측에 폐백(幣帛)을 보내면서 함께 보낸 것이다. 이미 김택룡과 권호신·권준신 두 집안은 서로 결혼 의사를 타진하는 의혼(議婚)과 혼인 날짜를 정하는 납채(納采) 즉 연길(涓吉)의 과정을 거쳤으며(‘38. 혼인날짜를 정하다’ 참조), 이 날 혼례 당일에 예물을 보내며 혼서(婚書) 즉 납폐서(納幣書)를 함께 보낸 것으로 보여진다.
◆
원문 이미지
◆ 원문 번역
1616년 3월 26일 맑음
숙수熟手 이복李福이 와서 이진동과 함께 요리를 했다. 아들 김각이 부석사에서 돌아왔다. 아들 김숙이 와서 주쉬의 편지를 받았다. 대별실大別室이 왔는데, 이천동이 수행하여 왔다. 이여가 와서 만났다.
1616년 3월 27일 맑음
홍침과 이여가 와서 만났다. 이들은 방백(方伯:경상도 관찰사)이 군郡으로 오기 때문에 군에 들어간 것이다. 김개일과 김경건이 손님을 맞으러 왔다. 혼서婚書가 도착했다. 사위의 이름은 ‘근오謹吾’이다. 언복彦福을 시켜서 기다리게 했다. 신시申時에 사위가 왔다. 요객繞客 참봉 권호신·그 아우 준신·중방中房 이지남李智男이 수행하여 왔다. 합근례를 행하고, 예작禮酌을 차렸다. 아들 김숙도 참여하여 행했다. 저녁이 되어 끝나고 돌아갔다. 이 날 광주 성안의가 편지를 보냈는데 바빠서 답장을 못하고 심부름꾼에게 직접 입으로 말해주고 호도와 포육脯肉을 보냈다. 손님으로 온 생원 홍이성의 아내 모자·김개일의 처 모자母子·남석경의 내자·이여의 아내가 모두 모였다.
이미지
혼서_납폐서
혼서_납폐서
혼서_납폐서
신행길, 《단원 풍속도첩...
3D
양념단지
곰박
강판
번철
확독
사선(紗扇)
목안(木雁)
혼례상(婚禮床)
혼례복(여)
애니메이션
조선시대의 혼례 준비과정
게시판 리스트
번호
제목
날짜
장소
멀티미디어
1
현구고례 - 딸의 혼례식 다음날, 새 사위에게 인사를 받다
1616-03-28
경상북도 영주시
2
둘째 딸의 혼사를 결정하기 위해 편지를 보내고 노심초사 기...
1612-02-01
경상북도 안동시
3
점쟁이에게 물어 둘째 딸의 혼인 날짜를 정하다
1616-03-16
경상북도 영주시
4
둘째 딸의 혼례 준비 - 비용 마련을 위해 백방으로 알아보...
1616-03-20
경상북도 안동시, 경상북도...
5
방석과 병풍을 빌려주시오 - 혼례 용품을 돌아가며 사용하다
1612-01-11
경상북도 안동시
6
조카 석이 관례를 치르다
1631-01-12
경상북도 안동시
7
조카 석의 혼례 문제로 의논하다
1631-01-15
경상북도 안동시
8
조카 석의 신행을 준비하다
1631-03-09
경상북도 안동시
9
결혼 준비 중인 조카에게 노비를 보내주다
1606-12-15
경상북도 안동시
10
신행에 쓸 가마꾼을 빌려 며느리가 있는 곳으로 보내다
1622-02-10
경상북도 안동시
11
류의목이 신부를 맞으러 가다
1802-03-16
경상북도 안동시
닫기
출전정보
출전정보가 없습니다.
저자정보
저자미상
저자정보가 없습니다.
원문보기
닫기
관련목록
시기
동일시기 이야기소재
장소
출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