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바로가기
본문 바로가기
전통과 기록
유교문화관
조선의 교육
조선의 가례
옛문서 생활사 박물관
사행록 역사여행
안동 하회마을
조선의 전통건축
스토리 테마파크
스토리테마파크
웹진
공모전
콘퍼런스
테마스토리
가정
가족, 친족과의 왕래와 갈등
개인의 일생과 통과의례
그리운 가족
노비들의 삶
경제
가계경영과 노동
고달픈 세금과 부역
시장과 거래
자연재해와 흉년의 기록
공동체
공동 목표를 위한 조직과 협동
관리와 공조 및 대립
사람 사이 갈등과 범죄
이웃과 어울리는 삶
근대화와 식민지의 시대
구국에 나선 의인들
나라를 위한 무장투쟁
신문물의 물결과 변화하는 조선
이역만리에서의 독립운동
혼란한 정국
나라의 정치
관직생활
국가의 경조사
국왕의 명령
왕실 사람들의 이야기
조정의 갈등과 대립
조정의 사건과 사고
외교와 사행
사행길의 사건사고들
사행길의 여정
외교정책의 수행
외국 사람들과의 만남
외국의 자연과 문물의 경험
전쟁, 혼란의 기록
전장에서 들려오는 소식들
전쟁을 극복하기 위한 노력들
전쟁의 진행과 양상
피난과 궁핍의 기록
풍류와 놀이, 여행의 기록들
유람과 감상
유람과 여행에서 만난 사람들
유흥의 기록
자연과 고적에 얽힌 이야기
하층민의 놀이와 즐거움
학문과 과거
과거 급제의 영예
과거의 부정부패
끝없는 학문의 세계
어렵고 힘든 과거시험
인물스토리
관리
가족, 동료와 교류하는 관리
나라의 변란을 맞이한 관리
무인의 길을 걷는 관리
바른말을 하는 관리
부정부패를 저지르는 관리
선정을 베푸는 청렴한 관리
외교를 수행하는 관리
인사발령을 받은 관리
정치적 갈등에 직면한 관리
죄를 지은 관리
지방을 다스리는 관리
직무를 수행하는 관리
양반
가정의 대소사를 챙기는 양반
고을일에 참여하는 양반
과거시험을 치르는 양반
나랏일을 걱정하는 양반
난리를 만난 양반
대립과 갈등에 놓인 양반
사람들과 교유하는 양반
일상을 고찰하는 양반
일신상의 문제가 생긴 양반
풍류와 유람을 즐기는 양반
풍문과 소식을 듣는 양반
학문하는 양반
여성
기생
양반가의 여성
왕실의 여인들
풍류와 유람을 즐기는 양반
하층민 여성
왕실
국난을 만난 국왕
국정을 돌보는 국왕
왕실의 사람들
왕을 보필하는 세자
한 집안의 가장인 국왕
외국인
군대를 이끌고 온 외국장수
외국의 외교관
조선인을 만난 외국인
중인
의료를 담당하는 의원(의관)
향리
하층민
고된 삶을 사는 노비
기술자의 삶, 장인
무속인
부역과 노동에 지친 백성
장사로 삶을 영위하는 상인
천대받는 승려
배경이야기
경제
군제와 군역
농업과 가계경영
산업과 시장
세금과 부역
환경과 재해
교육과 과거
과거
교육기관
학문과 출판
인물
문화
고사, 고적
관습, 풍속
군제와 군역
놀이
예술
의례
의식주
종교
사회
가족과 일상의례
신분
지역공동체
질병과 의료
전쟁과 외교
국제정세
민간인 교류
외교
전쟁
정치와 행정
사건
사법
왕실
정쟁
정치행정제도
지방제도
일기정보
서명별
전체
가
나
다
라
마
바
사
아
자
차
카
타
파
하
저자별
전체
가
나
다
라
마
바
사
아
자
차
카
타
파
하
멀티미디어
내용유형
공간자료
사건자료
소품자료
인물자료
절차자료
참고자료
미디어유형
3D
그래픽
애니메이션
이미지
공지사항
활용사례
로그인
소개
웹진담담신청하기
활용가이드
용어사전
전통과기록
페이스북
블로그
▲ top
전체
출전
이야기소재
배경
멀티미디어
유교넷일기
상세검색
디렉토리검색
전체
전체
출전
이야기소재
배경
멀티미디어
유교넷이야기
검색어
시기
-
검색
다시입력
테마스토리
가정
경제
공동체
근대화와 식민지의 시대
나라의 정치
외교와 사행
전쟁, 혼란의 기록
풍류와 놀이, 여행의 기록들
학문과 과거
과거 급제의 영예
과거의 부정부패
끝없는 학문의 세계
어렵고 힘든 과거시험
Home
>
테마스토리
>
학문과 과거
> 끝없는 학문의 세계
페이스북
스크랩
150일 동안 논어 20편을 20번식 외우다
1925년 3월 27일. 새벽에 일어난 남붕은 치성을 드린 후 잠(箴)과 『춘추』 경문을 외웠다. 또 「팔일편」 4장과 「이인편」, 「공야장편」을 끝까지 외웠다. 그리고 잠시 눈을 붙였다. 아침에 다시 눈을 뜬 남붕은 모친에게 문안드리고 사당을 참배하였다. 그리고 책상에 앉아 「공야장편」을 외웠다. 일과를 읽고, 아이 3명에게 수업하였다.
수업을 마치자마자 남붕은 『논어』를 외우기 시작했다. 작정한 바가 있었는데, 오늘은 무슨 일이 있어도 끝내기로 했기 때문에 집중해서 외웠다. 오전 11시경이 되어 남붕은 「공야장편」 제5과를 20번 읽고 책장을 덮었다. 이로써 작년 11월 1일부터 읽기 시작한 『논어』 20편을 모두 20번씩 외우는 일을 5개월 만에 모두 마쳤다. 날로는 150일이 걸린 것이다.
1924년 11월 1일 남붕은 『논어』 20편을 모두 20번씩 외우기로 결심했었다. 그러나 정월에는 명절 인사를 다니느라 분주했고, 다른 책을 연이어 외우느라 한 달의 반을 보내고 말았다. 2월에는 다시 마음을 잡고 외우기 시작했으나 2월 20부터 3월 6, 7일까지 4촌 자형(姊兄) 이선오(李善吾)가 봉화군 석포면(石浦面)에서 오고, 손부의 친부인 사돈
이능성(李能誠)
이 찾아와 접대하며 어울리느라 낮 공부는 전폐하고, 새벽 공부만 겨우 할 수 있었다. 결국, 정월 그믐 사이 남협(南峽)으로 여행 갔다가 4, 5일 허송한 것을 제외하면 대략 120일이 일이 없어 공부를 하였던 때이고, 150일 동안에 120일을 공부하여 겨우 『논어』 20편을 익히고 외울 수 있었다.
남붕은 작정한 바를 마쳤지만, 마음이 가볍지만은 않았다. 자신의 공부가 이토록 보잘것없으니 옛 선현들과 같은 큰 사업을 어찌 바랄 수 있겠는가. 게다가 어느덧 나이가 예순에 가까워져 정력이 날로 줄어드니, 새로 시작하는 후진이 온 힘을 기울여 읽고 외우는 것처럼 끊임없이 할 수도 없는 일이었다. 생각에 생각을 거듭하던 남붕은 이제부터는 공부의 방향을 바꿔 마땅히 본심을 잃지 않도록 착한 성품을 기르는 ‘존양(存養)’과 지나간 일을 되돌아보고 살피는 ‘성찰(省察)’을 첫째 과정으로 삼아서 성현의 문과 길을 엿보는 방도로 삼아야겠다고 생각했다.
개요
배경이야기
원문정보
멀티미디어
관련이야기
출전 :
해주일록(海洲日錄)
전체이야기보기
저자 :
남붕(南鵬)
주제 : 『논어』암송
시기 : 1924-11-01 ~ 1925-03-27
동일시기이야기소재
장소 : 경상북도 영덕군
일기분류 : 생활일기
인물 : 남붕, 이선오, 이서중
참고자료링크 :
웹진 담談 91호
관련 배경이야기가 존재하지 않습니다.
◆ 원문 번역
1925년 3월 27일 계유 날이 맑았다. 새벽에 치성을 드렸다. 잠箴과 『춘추』 경문을 외웠다. 또 「팔일편」 4장과「이인편」,「공야장편」을 끝까지 외웠다. 잠시 눈을 붙였다. 아침에 문안드리고 사당을 참배하였다. 「공야장편」을 외웠다. 일과를 읽었다. 아이 3명에게 수업하였다. 아침 뒤에 대구大邱 문우관文友觀에 낼 논고 1편을 본소로 부치고, 회비 50전도 규례에 따라 부쳤다. 이는 평소 서로 알고 지내는 처지이므로 응하지 않을 수 없었다. 이날 상오 11시 경에 「공야장편」 제5과를 읽고 번수를 채워 외웠다. 이에 『논어』20편을 모두 20번씩 다 외웠다. 대개 갑자년 11월 1일 경술에 읽기 시작하여 지금 을축년 3월 27일 마쳤으니, 총 5개월 걸렸고 날로는 150일이다. 정월에는 명절 인사와 다른 책을 연이어 외우느라 반을 보냈고, 2월 20부터 3월 6,7일까지는 양동良洞에서 손님이 왔기 때문에 겨우 새벽 공부만 하였을 뿐이고 낮 공부는 전폐하였다. 정월 그믐 사이 남협南峽으로 여행을 갔다가 4,5일 허송한 것을 제외하면 대략 120일이 일이 없어 공부를 하였던 때이고, 겨우『논어』20편을 익히고 외울 수 있었다. 공부가 이토록 보잘것없으니 옛사람과 같은 큰 사업을 어찌 바랄 수 있겠는가. 그러나 내 나이가 예순에 가까워져 정력이 날로 줄어드니, 새로 시작하는 후진이 온 힘을 기울여 읽고 외우는 것처럼 끊임없이 할 수 없을 뿐이다. 이제부터는 마땅히 존양存養과 성찰省察을 첫째 과정으로 삼아서 성현의 문과 길을 엿보는 방도로 삼아야 하겠다. 「글로 벗을 모으는 것에 대한 논[以文會友論]」을 다 지었다. 이는 종제 양숙養叔이 경주慶州에 있으면서 부탁하였기 때문이다. 양숙에게 답하는 편지를 썼다. 오후에 「공야장편」을 외웠다. 대개 다른 편들은 이미 여러 번 연이어 외웠으나 이 편은 외우는 것이 끝에 있었기 때문에 연이어 외우는 것이 적어서 의심스럽고 막히는 곳이 있었기 때문이다. 이날 북쪽 밭에 면화를 심었다. 밤에「팔일편」을 조금 외웠다.
관련 멀티미디어가 존재하지 않습니다.
게시판 리스트
번호
제목
날짜
장소
멀티미디어
1
중용혹문을 외우고 다시 중용을 외우다
1922-05-15
경상북도 영덕군
2
대학혹문 외우기를 마치다
1922-05-20
경상북도 영덕군
3
『춘추(春秋)』와 『사전(四傳)』을 50번 읽고 외우다
1924-01-15
경상북도 영덕군
4
큰 아버지 남번남에게 매일 과제를 받아 책을 10번씩 읽다
1926-02-04
경상북도 영덕군
5
선조가 필사한 책은 귀한 사람에게만 빌려준다
1929-08-27
경상북도 영덕군
6
『퇴계집』에 대한 주석서, 『퇴계문집고증』을 빌려보다
1925-04-16
경상북도 영덕군
7
한 해가 가기 전에 서가의 책을 정리하는 일은 마땅히 해야...
1926-12-28
경상북도 영덕군
8
『인극대전(人極大全)』 중국명현편을 모두 베껴 1책으로 묶...
1927-08-17
경상북도 영덕군
9
바쁜 일정에 학문에 힘쓰지 못한 것을 후회하다
1927-10-27
경상북도 영덕군
10
59세가 된 남붕, 평생 읽은 책을 떠올려보다
1928-01-15
경상북도 영덕군
11
관뚜껑을 닫을 때까지 책을 읽겠다는 다짐을 하다
1932-11-20
경상북도 영덕군
닫기
출전정보
출전정보가 없습니다.
저자정보
저자미상
저자정보가 없습니다.
원문보기
닫기
관련목록
시기
동일시기 이야기소재
장소
출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