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바로가기
본문 바로가기
전통과 기록
유교문화관
조선의 교육
조선의 가례
옛문서 생활사 박물관
사행록 역사여행
안동 하회마을
조선의 전통건축
스토리 테마파크
스토리테마파크
웹진
공모전
콘퍼런스
테마스토리
가정
가족, 친족과의 왕래와 갈등
개인의 일생과 통과의례
그리운 가족
노비들의 삶
경제
가계경영과 노동
고달픈 세금과 부역
시장과 거래
자연재해와 흉년의 기록
공동체
공동 목표를 위한 조직과 협동
관리와 공조 및 대립
사람 사이 갈등과 범죄
이웃과 어울리는 삶
근대화와 식민지의 시대
구국에 나선 의인들
나라를 위한 무장투쟁
신문물의 물결과 변화하는 조선
이역만리에서의 독립운동
혼란한 정국
나라의 정치
관직생활
국가의 경조사
국왕의 명령
왕실 사람들의 이야기
조정의 갈등과 대립
조정의 사건과 사고
외교와 사행
사행길의 사건사고들
사행길의 여정
외교정책의 수행
외국 사람들과의 만남
외국의 자연과 문물의 경험
전쟁, 혼란의 기록
전장에서 들려오는 소식들
전쟁을 극복하기 위한 노력들
전쟁의 진행과 양상
피난과 궁핍의 기록
풍류와 놀이, 여행의 기록들
유람과 감상
유람과 여행에서 만난 사람들
유흥의 기록
자연과 고적에 얽힌 이야기
하층민의 놀이와 즐거움
학문과 과거
과거 급제의 영예
과거의 부정부패
끝없는 학문의 세계
어렵고 힘든 과거시험
인물스토리
관리
가족, 동료와 교류하는 관리
나라의 변란을 맞이한 관리
무인의 길을 걷는 관리
바른말을 하는 관리
부정부패를 저지르는 관리
선정을 베푸는 청렴한 관리
외교를 수행하는 관리
인사발령을 받은 관리
정치적 갈등에 직면한 관리
죄를 지은 관리
지방을 다스리는 관리
직무를 수행하는 관리
양반
가정의 대소사를 챙기는 양반
고을일에 참여하는 양반
과거시험을 치르는 양반
나랏일을 걱정하는 양반
난리를 만난 양반
대립과 갈등에 놓인 양반
사람들과 교유하는 양반
일상을 고찰하는 양반
일신상의 문제가 생긴 양반
풍류와 유람을 즐기는 양반
풍문과 소식을 듣는 양반
학문하는 양반
여성
기생
양반가의 여성
왕실의 여인들
풍류와 유람을 즐기는 양반
하층민 여성
왕실
국난을 만난 국왕
국정을 돌보는 국왕
왕실의 사람들
왕을 보필하는 세자
한 집안의 가장인 국왕
외국인
군대를 이끌고 온 외국장수
외국의 외교관
조선인을 만난 외국인
중인
의료를 담당하는 의원(의관)
향리
하층민
고된 삶을 사는 노비
기술자의 삶, 장인
무속인
부역과 노동에 지친 백성
장사로 삶을 영위하는 상인
천대받는 승려
배경이야기
경제
군제와 군역
농업과 가계경영
산업과 시장
세금과 부역
환경과 재해
교육과 과거
과거
교육기관
학문과 출판
인물
문화
고사, 고적
관습, 풍속
군제와 군역
놀이
예술
의례
의식주
종교
사회
가족과 일상의례
신분
지역공동체
질병과 의료
전쟁과 외교
국제정세
민간인 교류
외교
전쟁
정치와 행정
사건
사법
왕실
정쟁
정치행정제도
지방제도
일기정보
서명별
전체
가
나
다
라
마
바
사
아
자
차
카
타
파
하
저자별
전체
가
나
다
라
마
바
사
아
자
차
카
타
파
하
멀티미디어
내용유형
공간자료
사건자료
소품자료
인물자료
절차자료
참고자료
미디어유형
3D
그래픽
애니메이션
이미지
공지사항
활용사례
로그인
소개
웹진담담신청하기
활용가이드
용어사전
전통과기록
페이스북
블로그
▲ top
전체
출전
이야기소재
배경
멀티미디어
유교넷일기
상세검색
디렉토리검색
전체
전체
출전
이야기소재
배경
멀티미디어
유교넷이야기
검색어
시기
-
검색
다시입력
테마스토리
가정
가족, 친족과의 왕래와 갈등
개인의 일생과 통과의례
그리운 가족
노비들의 삶
경제
공동체
근대화와 식민지의 시대
나라의 정치
외교와 사행
전쟁, 혼란의 기록
풍류와 놀이, 여행의 기록들
학문과 과거
Home
>
테마스토리
>
가정
> 노비들의 삶
페이스북
스크랩
늙은 종 범정(凡丁)의 죽음
1584년 1월 17일, 밤 늙은 여종
범정(凡丁)
이 죽었다. 범정은 권문해의 집안에서 4대째 살아온 종으로서 권문해가 태어나기도 훨씬 전부터 이 집안일을 도맡아 처리해 온
세노(世奴)
이다. 범정은 가녀린 여자임에도 그 성품이 굳세고 부지런하여 무슨 일을 하더라도 마음을 다하였으며 일절 기망하는 일이 없었다. 권문해가 태어나면서부터 한 집안에서 함께 살아온 범정의 죽음에 권문해는 가족을 잃은 것만큼이나 큰 슬픔에 빠진다. 범정은 집안일을 돕고, 일을 부리는 종(奴)이었으나 그의 죽음에 시를 지어 애도하였다.
구십에서 여섯을 뺀 팔십 넷에 九旬除六八旬餘
우리 집 일 처리하며 4대를 종살이 하였네 幹事吾家四代奴
주인 위해 너처럼 마음 다하고 부지런한 이 드무리니 爲主忠勤如爾少
전의 일 생각하매 눈물이 소매를 흥건히 적시네 憶前時事淚盈裾
권문해는 종의 죽음 앞에 정성스런 시와 함께 여든넷의 나이까지 장수하며 아들과 딸, 손자까지 두며 누구보다도 온전히 한 평생을 살다간 그의 삶에 경의를 표하였다.
1584년 1월 21일, 종 범정을 부항산(釜項山)에 묻었다.
개요
배경이야기
원문정보
멀티미디어
관련이야기
출전 :
초간일기(草澗日記)
전체이야기보기
저자 :
권문해(權文海)
주제 : 예천, 교우관계, 세노의 죽음, 범정
시기 : 1584-01-17 ~ 1584-01-21
동일시기이야기소재
장소 : 경상북도 예천군
일기분류 : 생활일기
인물 : 권문해, 범정
참고자료링크 :
웹진 담談 12호
한국역대인물 종합정보 권문해
◆ 권문해와 세노 범정
1584년 1월 8일 갑자기 여종 범정이 시령(時令:일정한 계절에 유행하는 질병)을 얻어 자리에 누웠다. 권문해는 그 때부터 여종의 건강을 매일같이 살폈다. 계절병이니 곧 쾌차 할 거라 기대했으나 그 증세가 심하여 귀가 안 들리고 몸이 야위었고 결국 84세의 나이로 세상을 떠났다. 범정은 권문해보다도 서른한 살이나 만은 여종으로 권문해가 태어나기 30년 전부터 권문해의 집안에서 일을 했던 사람이다. 그 때문에 권문해는 누구보다도 세노 범정과는 오랜 시간 정을 나누었다. 권문해는 늙도록 집안일을 맡아 다스림에 오직 자신의 직분을 다하였으니 그에 대한 감사와 예의를 다하는 것이 도리라 여겼던 것으로 보인다.
◆
원문 이미지
◆ 원문 번역
1584년 1월 17일 맑음. 춘대(春代)의 병이 잦아든 후 귀가 안들리고 몸이 무거운 것으로 보아 반드시 시령(時令, 계절병)은 아닐 것이라 곧 바깥 처소[外處]로 내보내도록 하였다. 밤 2경(二更) 중에 늙은 종 범정(凡丁)이 죽었다. 이 종은 우리 집에서 4대째 살아온 종으로서 성품이 굳세고 부지런하여 상전의 집안일을 도맡아 처리하매 온 마음을 쏟아 하고 일절 기망하는 폐단이 없었다. 참으로 이른바 ‘세노(世奴, 대대로 부리던 종)’이다. 나이 여든넷에 아들도 있고 딸도 있고 손자도 있으니, 보통사람 중 수명과 복을 모두 온전히[全] 누린 자이다. 이에 애도하는 시를 지어 그를 보낸다. 구십에서 여섯을 뺀 팔십 넷에 九旬除六八旬餘 우리 집 일 처리하며 4대를 종살이 하였네 幹事吾家四代奴 주인 위해 너처럼 마음 다하고 부지런한 이 드무리니 爲主忠勤如爾少 이전의 일 생각하매 눈물이 소매를 흥건히 적시네 憶前時事淚盈裾 1584년 1월 21일 맑음. 종 범정(凡丁)을 부항산(釜項山)에 묻었다.
관련 멀티미디어가 존재하지 않습니다.
게시판 리스트
번호
제목
날짜
장소
멀티미디어
1
노비의 제사를 위해 절을 찾다 - 아끼던 노비의 죽음, 슬...
1616-12-05
경상북도 안동시
2
노인이 되어도 잊지 못하는 유모의 사랑
1638-05-04
경상북도 안동시
3
노비가 죽어도 가야금 뜯으며 노래하는 밤
1770-09-16
경상북도 구미시
4
5대에 걸쳐 노역한 여종의 죽음
1776-03-24
경상북도 구미시
5
각별한 존재 노비 연금이, 군대에 갔다가 한 달 만에 돌아...
1593-05-09
경상남도 합천군
6
어머니의 오랜 몸종 서대가 죽다
1593-11-05
전라북도 장수군
7
종 막정이 죽다
1595-12-18
8
자손이 없는 노비들의 제사를 지내주다
1597-08-15
강원도 평강군
9
유모 옥례에게 마지막 인사를 하고오다
1747-07-17
대구광역시
10
막내 제수씨가 세상을 떠나다
1758-02-17
대구광역시
닫기
출전정보
출전정보가 없습니다.
저자정보
저자미상
저자정보가 없습니다.
원문보기
닫기
관련목록
시기
동일시기 이야기소재
장소
출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