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바로가기본문 바로가기
  • 검색

상세검색

디렉토리검색
검색어
시기
-
청과의 국경, 압록강에서 책문에 이르는 비무장지대가 존재하다
우리 일행은 일찍 일어나 채비를 차렸다. 나도 좁은 소매의 군복으로 갈아입고, 대로 짠 양전립(涼戰笠)을 썼다. 그리고 말을 나란히 하여 길을 떠나니 어딘지 모르게 갑옷을 입고 종군하는 것 같아졌다.
의주성 남문으로 해서 나가니 의주 부윤이 강 언덕에 장막을 쳐 놓고 열지어서 압록강을 건너가는 인마를 대조 검사하였다. 그러더니 기악(妓樂)을 마련하여 떠나가는 것을 전송하는 것이었다. 압록강은 옛날에는 마자수(馬訾水)라고 불렀다. 강은 세 갈래가 져 두 나라의 경계를 이루고 있다. 압록강과 중강(中江)소서강(小西江)이 그것이다. 강의 얼음이 굳어지지 않아서 그 위에다 바자를 깔고서 건너갔다.
강 서쪽에는 누런 띠풀과 허연 갈대가 들판에 가득 차 있는데 꿈틀꿈틀 작은 길이 미미하게 그 가운데에 통해져 있다. 길에는 한 그루 늙은 나무가 있는데 말을 모는 사람들은 으레 이곳에 이르면 종이 한 장을 나뭇가지 끝에 걸어 놓고 절을 한 뒤에 지나간다. 잠깐 사이에 종이가 쌓여 하나의 흰 보장(步障)이 되어 버린다.
어두워져서 구련성(九連城)에 다다랐다. 이곳은 명나라 때의 진강보(鎭江堡)유격장군(遊擊將軍)을 두었던 곳이다. 어떤 사람은 말하기를, “9개의 성이 연달아 있기 때문에 이 이름이 생겼다.” 하고 혹은 애양성(靉陽城)에서 금(金)과 고려가 대치하고 있을 때 금의 장군 알로(斡魯)가 이곳에다 성을 쌓았다고도 한다. 압록강에서부터 책문(柵門)까지는 그 사이의 땅을 비워 놓고 피아(彼我)의 백성들이 농사와 건축을 못하는 것이, 전탈지(䩅脫地, 완충지대) 같았기 때문에 사신 행차는 반드시 이곳에 이르러서는 노숙(露宿)을 해야 한다. 윗 휘장과 장막을 치고 땅을 파서 온돌 모양 같이 만들어 불을 때는데, 이런 장막을 치는 곳이 도합 10여 군데나 된다.
그러나 아랫사람들은 몸을 가릴 곳이 없었다. 다만 이따금 나무를 태우며 둘러앉아 있는데 연기와 불이 들판을 뒤덮어 도성에 있는 것 같다. 의주 장교들이 창을 가지고 장막을 돌고, 밤에는 또 호각을 불며 일제히 함성을 내어서 범을 쫓는다. 눈이 내릴 기색이 자욱한데, 우는 말이 서로 호응하여 비로소 변경을 나선 시름을 알게 된다.

닫기
닫기
관련목록
시기 동일시기 이야기소재 장소 출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