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바로가기본문 바로가기
  • 검색

상세검색

디렉토리검색
검색어
시기
-
시관의 밥그릇에 날아든 돌멩이, 답을 제출하지 말자는 응시생들의 담합 - 과거시험장 천태만상
1606년 7월 17일, 김령은 과거를 치르기 위해 16일에 용궁(龍宮, 경상북도 예천)을 향해 길을 나섰다.

18일에 김령은 시험장으로 들어갔다. 논제(論題)를 세 번이나 고쳤는데 조즙(趙濈)이 눈을 부릅뜨고 기세를 부리며 많은 사인들에게 욕을 해대며 말했다.
“일찍이 영남은 추로(鄒魯)와 같은 풍속이 있다고 여겼는데, 지금 선비들의 습속이 아름답지 못한 것이 우도(右道)와 다름없으니, 어찌하여 이와 같은가?”
여러 사인들이 매우 분통을 터뜨리며 글을 짓지 않으려 했으나, 비안(比安 : 경상북도 의성)에서 있었던 일을 돌아보게 되어 결국 실행하지 못했다.
즙이 비안에서 일어난 일 때문에 묵은 분노가 가슴속에 꽉 차 있어서 이런 말을 내뱉었을 것이다.

19일, 이보다 앞서 우도(右道)의 감시(監試)는 고령(高靈)에서 시행되었다. 그곳에서 이런 일이 있었다고 한다.
도사(都事) 이언영(李彦英)이 유생들의 차림새를 정돈하기 위해 반드시 예복을 착용해야만 입장이 가능하며 그렇지 않으면 정거(停擧)시키겠다고 선언했다. 이 말을 들은 사람들은 모두 불쾌하게 여겼다.
시험장 문을 여는 날이 되자 언영이 애써 위엄을 과시하려고 군졸에게 매질을 매우 심하게 했다. 언영은 성주 사람으로 시험장에 고향 친구들이 많이 오자, 짐짓 엄하게 호령해서 체모(체면)를 과시하려고 했다.
성주 사람 몇 명이 명지(名紙 : 과거시험에 쓰던 종이)를 언영에게 던져 그가 그들을 알아보기를 바랐으나 언영이 모른 척하자 그들도 성을 냈다.

문제를 낼 때가 되자 여러 번 시제를 고쳤는데, 시관이 꺼려 하자, 젊은 무리들이 마침내 뜬소문에 고무되어 시험장 안이 크게 소란스러워지고 거의 시험장을 나갈 지경이었다. 날이 저물자 시권을 제출한 자가 겨우 백 명쯤 되었다.
시험 마지막 날에 총각 아이들이 시제를 바꾸어 주도록 요구했는데, 들어주지 않았다. 젊은 사람들이 말버릇이 매우 거만해지고, 여러 사람들이 큰 소리로 왁자지껄 떠들썩하더니, 돌멩이가 날아들어 시관의 밥그릇을 깨부쉈다. 풍기(豊基) 수령 윤길(尹(日+吉))은 부시관으로 자리에 앉아 있다가 돌멩이에 가슴까지 맞게 되었다.
언영은 방 안으로 달아났다. 기왓장과 돌이 날아들어 기둥과 벽이 모두 부서지고 사태가 장차 예측할 수 없는 지경이 되었다. 언영이 다급한 처지에 다시 나와 말했다.
“이왕 죽을 바엔 차라리 여러 사람 앞에서 죽는 것이 더 나을 것이다.”
그러자 돌멩이가 조금 그쳤다. 감사(監司 : 도의 장관) 류영순(柳永詢)이 주동자 엳아홉 명을 잡아 가두고 조정에 보고했다.

7월 20일, 김령은 시험장에 들어갔다. 표제(表題)는 ‘풍인이제(豊人已製)’였고 부제(賦題)는 ‘의인이제(義人已製)’였다. 나이든 유생 네댓 명이 시관에게 시제를 바꾸어 줄 것을 요구해서 새로 시제가 나왔다.
‘예조(禮曺)에서 서울과 지방의 시험장에 요청하기를, 일체 시제를 바꾸는 것을 금지하여 사자(士子)들의 부박(浮薄)한(천박하고 경솔한) 습속을 진정시켜야 한다[禮曺請於京外場屋一切勿許改題以定士子浮薄之習]’라는 뜻으로 전(箋)을 지으라는 것이었고, ‘절의(節義 : 절개와 의리)는 천하의 큰 방한(防閑 : 불행 따위를 막음)[節義天下之大閑]’이라는 부제(賦題)가 게시되었다.
여러 사람들이 다 읽어 보기도 전에 분통을 터뜨리지 않는 사람이 없었다. 서로 연락하기를, 시끄럽게 떠들거나 따질 것도 없이 종일 한가롭게 앉아서 날이 저물 때까지 기다렸다가 조용히 시험장을 빠져나가는 것이 좋겠다고 중론을 모으니, 아무도 어기는 사람이 없었다.

조금 있다가 조즙이 서리(書吏)를 시켜 고함을 지르게 했다.
“여러 유생들은 속히 글을 짓되, 어제처럼 늦게 제출하는 일이 없도록 하라.”

시험장에 간혹 동갑들끼리 모이거나 혹은 한가하게 이야기를 늘어놓기도 했다. 해가 막 기울어지자, 부시관인 김상용(金尙容)이 서리들을 불러 말했다.
“늦도록 글을 짓지 않는 자는 반드시 먹은 마음이 있을 것이니 반드시 와서 말하라.”
그러나 모두가 대답하지 않았다. 어두워지자 시관에게 문을 열어달라고 요청하여 밖으로 나왔다.

8월 2일, 오시쯤 상주(尙州)·생원(生員) 두 형과 자개(子開), 대이(大而)·이실(以實).서숙(庶叔)·구(坵) 등 모두가 보러왔다. 저녁에 좌도의 방목(榜目)이 삭제되었다는 소식을 들었다.

닫기
닫기
관련목록
시기 동일시기 이야기소재 장소 출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