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바로가기본문 바로가기
  • 검색

상세검색

디렉토리검색
검색어
시기
-
포로가 된 고려 사람, 돌아가지 못하고 요동에 묻혀 고려총을 이루다
왕보대(王寶臺) 40리를 가서 진씨(陳氏) 성의 민가에서 점심을 먹고 영수사(迎水寺) 30리를 가서 기하(旗下)의 주씨(朱氏) 성의 집에서 묵었다.
마천령(摩天嶺)은 낭자산(狼子山) 북쪽에 있는데, 높이가 하나의 산언덕에 지나지 않았으니 이름과 실제가 너무나 어울리지 않는다. 마천령 서쪽에 주필산(駐蹕山)과 마제산(馬蹄山)이 있는데 당 태종(唐太宗)이 요동을 정벌할 때 지나간 길이다.
앞으로 30여 리를 가면 큰 물이 셋 있다. 이것을 삼류하(三流河)라고 부른다. 삼강(三江) 이북은 강물이 크거가 작거나 다 하(河)라고 부른다.
왕상령(王祥嶺)은 세상에 전해지기로는 진(晉) 나라의 태부(太傅) 왕상(王祥)이 살던 땅으로 영 아래의 물이 곧 얼음을 깨고 잉어를 얻은 곳이라고 하는데, 진실로 허황된 말이다.
석문령(石門嶺) 마루터기의 석벽이 딱 벌리고 있는 것이 문짝을 훤하게 열어 놓은 것과 같았다. 고개에 올라와 앞을 바라보니, 산봉우리가 둘러서 있는 것은 전연 보이지 않고, 다만 흙무더기와 돌덩어리가 아득하게 둘러막고 있을 뿐이다.
왕보대(王寶臺)는 바윗돌이 층지어 걸려 있는 것이 돌 축대를 쌓은 것 같은데, 석문령(石門嶺) 서쪽 5리 지점에 있다. 어떤 사람이 말하기를, ‘왕보(王寶)는 곧 왕팔(王八)로써, 중국어의 발음이 비슷하다. 속칭 왕팔(王八)은 자라이다. 이곳에 별봉(鱉峯)이 있기 때문에 그렇게 말한 것이다.’라고 한다. 냉정(冷井)이 길 곁에 있는데 호된 추위에도 얼지 않는다.
고려총(高麗叢)은 다른 한 명칭은 고려총(高麗塚)이다. 고려 사람으로 포로가 되었다가 돌아가지 않은 자들이 죽어서 이곳에 묻힌 것 같다. 길 왼쪽에 10여 개의 무덤이 있는데 무덤 앞에 간혹 비석을 세우고 돌 향로를 마련한 것도 있다. 혹시 그것들이 고려총일까. 왕보대(王寶臺) 북쪽 5리 지점에 있다.
요(遼)는 조선의 옛 땅이다. 진(秦) 나라 때는 요동(遼東)이라고 하였고, 한(漢) 나라 때는 양평 요양(襄平遼陽)이라고 하였고, 당(唐) 나라 때는 안동도호부(安東都護府)라고 하였고, 요(遼) 나라 때는 동평 학야(東平鶴野)라고 하였고 또 남평(南平)이라 하였다가 동경(東京)이라고 고치기도 하였다. 원(元) 나라 때는 요양로(遼陽路) 관할의 개(蓋)ㆍ의(懿) 두 주(州)였으며, 명(明) 나라 때에는 정료위(定遼衛)와 동녕위(東寧衛)라고 하였다. 청(淸) 나라 때에는 성경(盛京)에 예속하였다가 숭덕(崇德) 연간에 태자하(太子河) 동쪽에다 요성을 옮겨다 설치하였다. 이것을 신료성(新遼城)이라고 하는데 구성(舊城)에서는 10리 되는 지점이다. 어떤 사람은 말하기를, ‘말 위에서 벽돌을 전해 주어 하룻밤 사이에 성을 완성했기 때문에 마상성(馬上城)이라 한다.’고 하였다. 건륭(乾隆) 갑진년(1784, 정조 8)에 와서 인구와 물산이 늘지 않아 다시 옛 요(遼)에다 성을 옮겼다. 이곳이 바로 그것이다. 성 북쪽에 흙 언덕이 구릉같이 둘러 있는데 바로 구성(舊城)의 기초이다. 성의 둘레는 20리 높이가 5, 6장(丈)인데, 밖에는 감시용 내장(內障)성가퀴가 설치되어 있다. 성 위에 넓은 길이 열려 있는데 다섯 필의 말이 떼지어 갈 수 있다. 성 밖에는 호(壕)가 있는데 태자하(太子河)의 물을 끌어 넣었다. 성의 4개의 문은 수원(綏遠)ㆍ풍락(豐樂)ㆍ순안(順安)ㆍ공극(拱極)이라고 한다. 문에는 여초(麗譙)옹성(甕城)이 있다. 옹성에도 문이 있으나 문에는 문을 달지 않았다. 성 현판에다 문 이름을 썼고 그 곁에다 만주 글자로 번역을 달았다.
성안에는 도독(都督)ㆍ수위(守尉)ㆍ역승(譯丞)의 관원이 있다. 동쪽 문으로 들어가니 길 좌우에 늘어선 가게들이 서로 마주 보고 온갖 상품이 치쌓여 있으며 각기 깃발과 방(榜)을 세우고 있는데 군데군데 금으로 글씨를 메웠다. 옛 시에 이른바, ‘깃발 세운 정자 백이나 모여 새 시장을 열었다.’라고 한 것이 그것이다.
영안사(永安寺)는 성안의 북쪽 거리에 있다. 앞뒤에 불전(佛殿)이 마련되어 있는데 불전 가운데는 100여 개의 보살이 놓여 있다. 불전 앞에 비석을 세우고 기록했는데, 이 절은 회순제(懷順帝)가 창건한 것이다. 약국이 뒤에 있는데 안에 층진 궤에 약품을 저장하고 종이를 붙여 이름을 써 붙인 것이 우리나라 약국의 예와 같다. 상에는 갑에 넣은 여러 가지 책이 있는데 그것들은 의서이다. 주인은 화편(和扁)을 아는 사람 같다.
성의 서쪽 문으로 나가면 쌍교(雙橋)가 그 남쪽에 있는데 그 다리에는 중수비(重修碑)가 세워져 있다. 다리 북쪽에 관제묘가 있는데, 그 규모가 아주 크고 웅장하였다. 홍살문 좌우에 종과 북의 누각을 세웠는데 왼쪽의 것을 용음루(龍吟樓)라 하고, 바른쪽의 것을 호명루(虎鳴樓)라고 했다. 본전의 소상(塑像)은 거의 3장(丈) 남짓 되고 현판에는 관성인(關聖人)을 찬양한 글귀가 많다. 장비(張飛)조운(趙雲)이 동서의 곁채에 배향(配享)되어 있고 앞에는 소상 하나가 결박된 형상을 하고 있는데 역사(力士)가 칼로 겨누는데도 그 사람은 얼굴을 쳐들고 장비를 보며 두려워하는 기색이 없는 것 같았다. 이는 촉(蜀) 나라의 장수 엄안(嚴顔)이다. 밖에 한 쌍의 장대가 세워져 있고 높이는 10장 가량인데 매달 초하루와 보름에 장대 끝에 기를 꽂고 두 누각의 종과 북을 치고 반드시 향을 피운다는 것이다.
순안(順安) 밖에서 비스듬히 북쪽으로 2리를 가면 백탑이 치솟아 있다. 탑은 8각에 13층으로 높이가 36장, 둘레가 17, 8칸이다. 탑면에 전에 파넣었던 동비(銅碑)에 기록된 것이 그러하다. 그 밑에 돌로 네모나게 쌓았는데 네 모퉁이가 똑같이 가지런하고 평지보다 한 자 남짓 높다. 아래에 일곱 층을 마련하고 그 위에다 탑신(塔身)을 앉혀 놓았는데, 여덟 면에는 면마다 나한(羅漢) 하나와 신장(神將) 둘이 새겨져 있어 위아래를 모두 합하면 104가 된다. 또 중간 층에 나무 서까래를 얹어서 소슬처마를 만들었는데, 한 면이 각기 35개 씩의 서까래이고 한 면마다 쇠 풍경을 달아 놓아 바람이 한번 그것들을 흔들면 동댕거리는 소리가 구름 밖까지 어지럽게 흩어져 나간다. 꼭대기에는 구리 기둥을 세웠는데 그 줄기에 마디를 지워 5층으로 만들었고 철사로 매어 놓았다. 탑 위 넷째 층에 ‘벽한유광(碧漢流光)’ 네 글자가 크게 쓰여져 있는데 날이 맑을 때 천리경(千里鏡 : 망원경)으로 볼 것 같으면 글자를 알아볼 수 있다는 것이다. 그 곁에 비석 하나가 서 있는데 구문석(龜文石)이다. 귀부(龜趺)로 받치고 있는데 반들거리고 글자의 흔적이 없다. 세상에 전해지기로는 당 나라 군대가 원정할 때 태종(太宗)이 울지공(尉遲恭)에게 명해 이것을 세웠다고 한다. 어떤 사람은 말하기를, ‘이성량(李成樑)이 만든 것이다.’고도 하고, 또 ‘동한(東漢) 이래로 이미 이 탑이 있었다.’고도 하는데, 다 믿을 수 없다. 그리고 화표주(華表柱)라고 하는 것은 더욱 망녕된 말이다. 옛사람이 전하는 기록에는 ‘화표(華表)로 성문의 기둥을 만들어, 전에는 성안의 한 민가에 그것이 있었으나 지금은 그 장소를 모르게 되었다.’는 것이다. 탑 뒤에 큰 전각(殿閣)이 있는데 부처 3구를 모시고 있다. 어떤 사람은 광우사(廣祐寺)라 부르기도 한다. 절 마당에 철기(鐵器)가 있는데 그 형상은 말구유 같아 10여 섬이 들어갈 것 같다. 절 안의 옛 물건이다.
태자하(太子河)는 일명은 연수(衍水)다. 역사책에 ‘연 태자 단(燕太子丹)이 진(秦)을 피해 연수로 들어갔다.’고 한 것이 이곳이다.

닫기
닫기
관련목록
시기 동일시기 이야기소재 장소 출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