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바로가기
본문 바로가기
전통과 기록
유교문화관
조선의 교육
조선의 가례
옛문서 생활사 박물관
사행록 역사여행
안동 하회마을
조선의 전통건축
스토리 테마파크
스토리테마파크
웹진
공모전
콘퍼런스
테마스토리
가정
가족, 친족과의 왕래와 갈등
개인의 일생과 통과의례
그리운 가족
노비들의 삶
경제
가계경영과 노동
고달픈 세금과 부역
시장과 거래
자연재해와 흉년의 기록
공동체
사람들과의 교유와 어울림
울고 웃기는 소문과 이야기들
지방관, 관청과의 공조와 대립
지역 사업의 추진과 운영
지역사회내의 정치와 갈등
지역사회의 사건과 재해
근대화와 식민지의 시대
구국에 나선 의인들
나라를 위한 무장투쟁
신문물의 물결과 변화하는 조선
이역만리에서의 독립운동
혼란한 정국
나라의 정치
관직생활
국가의 경조사
국왕의 명령
왕실 사람들의 이야기
조정의 갈등과 대립
조정의 사건과 사고
외교와 사행
사행길의 사건사고들
사행길의 여정
외교정책의 수행
외국 사람들과의 만남
외국의 자연과 문물의 경험
전쟁, 혼란의 기록
전장에서 들려오는 소식들
전쟁을 극복하기 위한 노력들
전쟁의 진행과 양상
피난과 궁핍의 기록
풍류와 놀이, 여행의 기록들
유람과 감상
유람과 여행에서 만난 사람들
유흥의 기록
자연과 고적에 얽힌 이야기
하층민의 놀이와 즐거움
학문과 과거
과거 급제의 영예
과거의 부정부패
끝없는 학문의 세계
어렵고 힘든 과거시험
인물스토리
관리
가족, 동료와 교류하는 관리
나라의 변란을 맞이한 관리
무인의 길을 걷는 관리
바른말을 하는 관리
부정부패를 저지르는 관리
선정을 베푸는 청렴한 관리
외교를 수행하는 관리
인사발령을 받은 관리
정치적 갈등에 직면한 관리
죄를 지은 관리
지방을 다스리는 관리
직무를 수행하는 관리
양반
가정의 대소사를 챙기는 양반
고을일에 참여하는 양반
과거시험을 치르는 양반
나랏일을 걱정하는 양반
난리를 만난 양반
대립과 갈등에 놓인 양반
사람들과 교유하는 양반
일상을 고찰하는 양반
일신상의 문제가 생긴 양반
풍류와 유람을 즐기는 양반
풍문과 소식을 듣는 양반
학문하는 양반
여성
기생
양반가의 여성
왕실의 여인들
풍류와 유람을 즐기는 양반
하층민 여성
왕실
국난을 만난 국왕
국정을 돌보는 국왕
왕실의 사람들
왕을 보필하는 세자
한 집안의 가장인 국왕
외국인
군대를 이끌고 온 외국장수
외국의 외교관
조선인을 만난 외국인
중인
의료를 담당하는 의원(의관)
향리
하층민
고된 삶을 사는 노비
기술자의 삶, 장인
무속인
부역과 노동에 지친 백성
장사로 삶을 영위하는 상인
천대받는 승려
배경이야기
경제
군제와 군역
농업과 가계경영
산업과 시장
세금과 부역
환경과 재해
교육과 과거
과거
교육기관
학문과 출판
인물
문화
고사, 고적
관습, 풍속
군제와 군역
놀이
예술
의례
의식주
종교
질병과 의료
사회
가족과 일상의례
신분
지역공동체
질병과 의료
전쟁과 외교
국제정세
민간인 교류
외교
전쟁
정치와 행정
사건
사법
왕실
정쟁
정치행정제도
지방제도
일기정보
서명별
전체
가
나
다
라
마
바
사
아
자
차
카
타
파
하
저자별
전체
가
나
다
라
마
바
사
아
자
차
카
타
파
하
멀티미디어
내용유형
공간자료
사건자료
소품자료
인물자료
절차자료
참고자료
미디어유형
3D
그래픽
애니메이션
이미지
공지사항
활용사례
로그인
소개
웹진담담신청하기
활용가이드
용어사전
전통과기록
페이스북
블로그
▲ top
전체
출전
이야기소재
배경
멀티미디어
유교넷일기
상세검색
디렉토리검색
전체
전체
출전
이야기소재
배경
멀티미디어
유교넷이야기
검색어
시기
-
검색
다시입력
인물스토리
관리
양반
여성
왕실
외국인
중인
하층민
Home
>
인물스토리
>
>
페이스북
스크랩
포로가 된 고려 사람, 돌아가지 못하고 요동에 묻혀 고려총을 이루다
왕보대(王寶臺) 40리를 가서 진씨(陳氏) 성의 민가에서 점심을 먹고 영수사(迎水寺) 30리를 가서
기하(旗下)
의 주씨(朱氏) 성의 집에서 묵었다.
마천령(摩天嶺)은
낭자산(狼子山)
북쪽에 있는데, 높이가 하나의 산언덕에 지나지 않았으니 이름과 실제가 너무나 어울리지 않는다. 마천령 서쪽에 주필산(駐蹕山)과 마제산(馬蹄山)이 있는데
당 태종(唐太宗)
이 요동을 정벌할 때 지나간 길이다.
앞으로 30여 리를 가면 큰 물이 셋 있다. 이것을
삼류하(三流河)
라고 부른다.
삼강(三江)
이북은 강물이 크거가 작거나 다 하(河)라고 부른다.
왕상령(王祥嶺)은 세상에 전해지기로는 진(晉) 나라의 태부(太傅)
왕상(王祥)
이 살던 땅으로 영 아래의 물이 곧 얼음을 깨고 잉어를 얻은 곳이라고 하는데, 진실로 허황된 말이다.
석문령(石門嶺)
마루터기의 석벽이 딱 벌리고 있는 것이 문짝을 훤하게 열어 놓은 것과 같았다. 고개에 올라와 앞을 바라보니, 산봉우리가 둘러서 있는 것은 전연 보이지 않고, 다만 흙무더기와 돌덩어리가 아득하게 둘러막고 있을 뿐이다.
왕보대(王寶臺)는 바윗돌이 층지어 걸려 있는 것이 돌 축대를 쌓은 것 같은데, 석문령(石門嶺) 서쪽 5리 지점에 있다. 어떤 사람이 말하기를, ‘왕보(王寶)는 곧 왕팔(王八)로써, 중국어의 발음이 비슷하다. 속칭 왕팔(王八)은 자라이다. 이곳에 별봉(鱉峯)이 있기 때문에 그렇게 말한 것이다.’라고 한다. 냉정(冷井)이 길 곁에 있는데 호된 추위에도 얼지 않는다.
고려총(高麗叢)은 다른 한 명칭은 고려총(高麗塚)이다. 고려 사람으로 포로가 되었다가 돌아가지 않은 자들이 죽어서 이곳에 묻힌 것 같다. 길 왼쪽에 10여 개의 무덤이 있는데 무덤 앞에 간혹 비석을 세우고 돌 향로를 마련한 것도 있다. 혹시 그것들이 고려총일까. 왕보대(王寶臺) 북쪽 5리 지점에 있다.
요(遼)는 조선의 옛 땅이다.
진(秦)
나라 때는
요동(遼東)
이라고 하였고, 한(漢) 나라 때는 양평 요양(襄平遼陽)이라고 하였고, 당(唐) 나라 때는 안동도호부(安東都護府)라고 하였고, 요(遼) 나라 때는 동평 학야(東平鶴野)라고 하였고 또 남평(南平)이라 하였다가 동경(東京)이라고 고치기도 하였다. 원(元) 나라 때는 요양로(遼陽路) 관할의 개(蓋)ㆍ의(懿) 두 주(州)였으며, 명(明) 나라 때에는 정료위(定遼衛)와 동녕위(東寧衛)라고 하였다. 청(淸) 나라 때에는
성경(盛京)
에 예속하였다가
숭덕(崇德)
연간에
태자하(太子河)
동쪽에다 요성을 옮겨다 설치하였다. 이것을 신료성(新遼城)이라고 하는데 구성(舊城)에서는 10리 되는 지점이다. 어떤 사람은 말하기를, ‘말 위에서 벽돌을 전해 주어 하룻밤 사이에 성을 완성했기 때문에 마상성(馬上城)이라 한다.’고 하였다.
건륭(乾隆)
갑진년(1784, 정조 8)에 와서 인구와 물산이 늘지 않아 다시 옛 요(遼)에다 성을 옮겼다. 이곳이 바로 그것이다. 성 북쪽에 흙 언덕이 구릉같이 둘러 있는데 바로 구성(舊城)의 기초이다. 성의 둘레는 20리 높이가 5, 6장(丈)인데, 밖에는 감시용
내장(內障)
과
성가퀴
가 설치되어 있다. 성 위에 넓은 길이 열려 있는데 다섯 필의 말이 떼지어 갈 수 있다. 성 밖에는
호(壕)
가 있는데 태자하(太子河)의 물을 끌어 넣었다. 성의 4개의 문은 수원(綏遠)ㆍ풍락(豐樂)ㆍ
순안(順安)
ㆍ공극(拱極)이라고 한다. 문에는
여초(麗譙)
와
옹성(甕城)
이 있다. 옹성에도 문이 있으나 문에는 문을 달지 않았다. 성 현판에다 문 이름을 썼고 그 곁에다 만주 글자로 번역을 달았다.
성안에는
도독(都督)
ㆍ수위(守尉)ㆍ역승(譯丞)의 관원이 있다. 동쪽 문으로 들어가니 길 좌우에 늘어선 가게들이 서로 마주 보고 온갖 상품이 치쌓여 있으며 각기 깃발과 방(榜)을 세우고 있는데 군데군데 금으로 글씨를 메웠다. 옛 시에 이른바, ‘깃발 세운 정자 백이나 모여 새 시장을 열었다.’라고 한 것이 그것이다.
영안사(永安寺)는 성안의 북쪽 거리에 있다. 앞뒤에 불전(佛殿)이 마련되어 있는데 불전 가운데는 100여 개의 보살이 놓여 있다. 불전 앞에 비석을 세우고 기록했는데, 이 절은 회순제(懷順帝)가 창건한 것이다. 약국이 뒤에 있는데 안에 층진 궤에 약품을 저장하고 종이를 붙여 이름을 써 붙인 것이 우리나라 약국의 예와 같다. 상에는 갑에 넣은 여러 가지 책이 있는데 그것들은 의서이다. 주인은
화편(和扁)
을 아는 사람 같다.
성의 서쪽 문으로 나가면 쌍교(雙橋)가 그 남쪽에 있는데 그 다리에는 중수비(重修碑)가 세워져 있다. 다리 북쪽에 관제묘가 있는데, 그 규모가 아주 크고 웅장하였다. 홍살문 좌우에 종과 북의 누각을 세웠는데 왼쪽의 것을 용음루(龍吟樓)라 하고, 바른쪽의 것을 호명루(虎鳴樓)라고 했다. 본전의
소상(塑像)
은 거의 3장(丈) 남짓 되고 현판에는 관성인(關聖人)을 찬양한 글귀가 많다.
장비(張飛)
와
조운(趙雲)
이 동서의 곁채에
배향(配享)
되어 있고 앞에는 소상 하나가 결박된 형상을 하고 있는데 역사(力士)가 칼로 겨누는데도 그 사람은 얼굴을 쳐들고 장비를 보며 두려워하는 기색이 없는 것 같았다. 이는 촉(蜀) 나라의 장수 엄안(嚴顔)이다. 밖에 한 쌍의 장대가 세워져 있고 높이는 10장 가량인데 매달 초하루와 보름에 장대 끝에 기를 꽂고 두 누각의 종과 북을 치고 반드시 향을 피운다는 것이다.
순안(順安) 밖에서 비스듬히 북쪽으로 2리를 가면 백탑이 치솟아 있다. 탑은 8각에 13층으로 높이가 36장, 둘레가 17, 8칸이다. 탑면에 전에 파넣었던 동비(銅碑)에 기록된 것이 그러하다. 그 밑에 돌로 네모나게 쌓았는데 네 모퉁이가 똑같이 가지런하고 평지보다 한 자 남짓 높다. 아래에 일곱 층을 마련하고 그 위에다 탑신(塔身)을 앉혀 놓았는데, 여덟 면에는 면마다
나한(羅漢)
하나와
신장(神將)
둘이 새겨져 있어 위아래를 모두 합하면 104가 된다. 또 중간 층에 나무
서까래
를 얹어서 소슬처마를 만들었는데, 한 면이 각기 35개 씩의 서까래이고 한 면마다 쇠 풍경을 달아 놓아 바람이 한번 그것들을 흔들면 동댕거리는 소리가 구름 밖까지 어지럽게 흩어져 나간다. 꼭대기에는 구리 기둥을 세웠는데 그 줄기에 마디를 지워 5층으로 만들었고 철사로 매어 놓았다. 탑 위 넷째 층에 ‘벽한유광(碧漢流光)’ 네 글자가 크게 쓰여져 있는데 날이 맑을 때 천리경(千里鏡 : 망원경)으로 볼 것 같으면 글자를 알아볼 수 있다는 것이다. 그 곁에 비석 하나가 서 있는데 구문석(龜文石)이다.
귀부(龜趺)
로 받치고 있는데 반들거리고 글자의 흔적이 없다. 세상에 전해지기로는 당 나라 군대가 원정할 때 태종(太宗)이
울지공(尉遲恭)
에게 명해 이것을 세웠다고 한다. 어떤 사람은 말하기를, ‘
이성량(李成樑)
이 만든 것이다.’고도 하고, 또 ‘
동한(東漢)
이래로 이미 이 탑이 있었다.’고도 하는데, 다 믿을 수 없다. 그리고
화표주(華表柱)
라고 하는 것은 더욱 망녕된 말이다. 옛사람이 전하는 기록에는 ‘화표(華表)로 성문의 기둥을 만들어, 전에는 성안의 한 민가에 그것이 있었으나 지금은 그 장소를 모르게 되었다.’는 것이다. 탑 뒤에 큰 전각(殿閣)이 있는데 부처 3구를 모시고 있다. 어떤 사람은 광우사(廣祐寺)라 부르기도 한다. 절 마당에 철기(鐵器)가 있는데 그 형상은 말구유 같아 10여 섬이 들어갈 것 같다. 절 안의 옛 물건이다.
태자하(太子河)는 일명은 연수(衍水)다. 역사책에 ‘연 태자 단(燕太子丹)이 진(秦)을 피해 연수로 들어갔다.’고 한 것이 이곳이다.
개요
배경이야기
원문정보
멀티미디어
관련이야기
출전 :
계산기정(薊山記程)
전체이야기보기
저자 :
미상
주제 : 사행, 학문
시기 : 1803-12-02 ~
동일시기이야기소재
장소 : 중국
일기분류 : 사행일기
인물 : 이해응
참고자료링크 :
승정원일기
웹진 담談 16호
조선왕조실록
◆ 조선시대 중국 사신단의 여정 - 마천령에서 요동성까지
조선시대에는 중국에 사신을 파견하는 것을 사대사행이라 하였다. 명나라에 가는 것을 조천(朝天), 청나라에 가는 것을 연행(燕行)이라 하였다. 이 사행에는 정례사행과 임시사행이 있다. 동지(冬至)·정조(正朝)·성절(聖節)·천추(千秋) 등은 전자에, 사은(謝恩)·주청(奏請)·진하(進賀)·진위(陳慰)·진향(進香) 등은 후자에 해당된다. 대체로 사신 일행이 중국에 가는 길은 한양을 출발하여 의주에 도착, 압록강을 건너면서 중국의 땅에 들어가는 육로가 있다. 또한 선천(宣川) 선사포(宣沙浦)에서 바다로 등주(登州)를 거쳐 북경에 이르는 해로가 있다. 그런데 동팔참이란 이른바 중국과의 첫 접경지역인 주롄청(또는 鎭江城)에서부터 시작해, 탕참(湯站)-책문(柵門)-봉황성(鳳凰城)-진동보(鎭東堡, 또는 松站)-진이보(鎭夷堡, 혹은 通遠堡)-연산관(連山關)-첨수참(甛水站)-요동(遼東)-십리보(十里堡)-심양(瀋陽, 또는 盛京)에 이르는 육로에 있는 지역을 지칭하였다. 그러나 이와 같은 동팔참에 대한 사신들의 중국 사행기록에는 약간의 차이를 보이고 있다. 1712년(숙종 38)에 동지사 겸 사은사인 김창집(金昌集)의 군관으로 북경에 다녀온 김창업(金昌業)의 ≪연행일기≫에는 “의주에서 봉성까지 2참(二站)인데, 인가가 없어 노숙하며, 봉성에서 북경까지 31참인데 모두 찰원(察院)이 있고 봉성에서 요동까지를 일러 동팔참이라 한다.”고 하여 봉황성에서 요동까지를 동팔참이라 하였다. 1798년(정조 22)에 서장관으로 다녀온 서유문(徐有聞)의 ≪무오연행록(戊午燕行錄)≫에서는 책문에서 심양까지를 동팔참이라 하였다. 또, 1832년(순조 32)에서 그 이듬 해 사이에 동지사 겸 사은사의 서장관으로 중국에 다녀온 김경선(金景善)의 ≪연원직지(燕轅直指)≫에 의하면 “책문에서부터 영수사(迎水寺)까지를 동팔참이라 하는데, 하루 두 역참씩을 합해 팔참이 되어 이름지은 것이다.”라고 한 데서 동팔참의 유래와 지역을 파악할 수 있다. 그러면서도 같은 책의 다른 기록에는 주롄청에서 십리하보(十里河堡 : 十里堡를 말함.)까지를 동팔참이라고 하였다. 따라서 동팔참은 대체로 주롄청에서부터 요동 또는 심양까지를 포함하는 지역의 역참인 것을 알 수 있다. 본문에서는 봉황성 이후부터를 동팔참이라고 하는 것으로 보아 동팔참의 시작지점은 때마다 조금씩 다르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원문정보가 존재하지 않습니다.
이미지
마천령에서 바라본 연행길
「요동백탑」
마천령
마천령
요동성
요동성
영안사
태자하
태자하
3D
청포(靑袍),복건(幅巾)
화표(華表)
천리경(千里鏡)
옹성
여장(女墻)
귀부(龜趺)
게시판 리스트
번호
제목
날짜
장소
멀티미디어
1
고려보, 병자호란 당시 납치된 자들과 그 자손의 보금자리
1803-12-22
중국 허난성
닫기
출전정보
출전정보가 없습니다.
저자정보
저자미상
저자정보가 없습니다.
원문보기
닫기
관련목록
시기
동일시기 이야기소재
장소
출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