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바로가기본문 바로가기
페이스북E-bookPDF
Cover Story

어머니와 딸이 본 조선 예술가의 삶 :
퉁소 부는 노인

유순덕 ‧ 이민주

가을 밤, 술과 소리에 취하다

“탁, 탁, 탁, 탁......” 먼지 쌓인 고서들 사이, 홀로 침잠하듯 서실에 외로이 박혀있던 이정구의 귓가에 맑은 목탁소리가 들려왔다.

“거 누구요?”
“중흥사의 성민의 서신입니다.”

근래에 쓸쓸한 나날을 보내던 이정구에게 그는 진정 반가운 이가 아닐 수 없었다. 성민은 이정구의 불문의 벗이었다. 이정구는 단숨에 성민이 보내 온 편지를 읽었다.

“삼각산에 유람오기로 약속 하셨지요? 산에 가을이 깊어 단풍이 절정입니다. 며칠만 지나면 단풍잎이 모두 떨어질 테니 만약 방문하려는 생각이 있다면 오늘 오셨으면 합니다.”

홀연히 바람을 따라 떠나고 싶다는 생각을 했던 이정구는 성민의 제안에 무척이나 설렜다. 이정구는 신응구 형님에게도 동행하자는 편지를 보냈다. 그리고 그 편지의 말미에 또 한 명의 동행을 요청했다.

“산에 가면서 퉁소가 없으면 재미가 없지요. 형님 댁에 퉁소 잘 부는 그 노비도 데려오면 좋겠습니다.”

퉁소 부는 것으로 장안에 이름이 난 그의 이름은 억량이었다.

신응구를 만나기로 한 홍제교 앞, 이정구는 도착해 주위를 둘러보았지만 신응구는 보이지 않았다. 이정구는 머쓱해졌다. 오랜만의 나들이에 옆집의 자제들도 대동하고 나왔는데, 신응구가 약속장소에 보이지 않았기 때문이다.

“일단 길이 엇갈렸을 수 있으니 중흥동 석문으로 올라가 봅시다.”
“혹... 바람 맞으신 건 아니겠지요?”

자제의 물음에 이정구는 체면이 확 상했다.

‘형님이 이런 적이 없는데...’

이정구는 불안함을 애써 누르고 태연한 척 산을 올랐다.

“정구야!”

신응구가 중흥동 석문의 바위에 걸터앉은 채 이정구 일행에게 손을 흔들었다.

“형님, 왜 홍제교에서 있잖구 여기서 기다리신 거예요?”

“말 마라, 우리가 늦는다고 성민 스님은 벌써 술자리를 시작하였다고 해서 급하게 왔다. 어서 올라가세.”

이정구는 한시름이 놓였다. 그의 마음이 다시 설레기 시작했다. 그런데 신응구의 옆엔 억량이 보이지 않았다.

“헌데 형님, 퉁소 부는 노비랑 함께 오지 않았소?”
“보통 바쁜 게 아니다. 지금도 아마 남의 잔치에 가 열심히 불어재끼고 있을 것이다.”

신응구는 사람 좋은 웃음을 지어 보였다. 이정구는 대꾸하지 못했지만, 아쉬운 마음은 어쩔 수 없었다.

정신없이 서둘러 민지암으로 들어가는 입구, 시냇물을 타고 맑은 퉁소 소리가 들려왔다.

‘아니 이 동네에 억량만큼이나 퉁소를 잘 부는 노비가 또 있던가!’

이정구는 속으로 감탄하며 걸음을 재촉했다. 어느 새 해는 뉘엿뉘엿 산허리로 숨어들고 있었다. 우여곡절 끝에 도착한 절에서 성민과 여러 중들이 이정구 일행을 맞아 들였다.

“오시느라 고생 많았소. 이리와 앉으시오.”

이정구 일행은 월대에 걸터앉아 숨을 골랐다. 자제들은 목이 말랐는지, 술 한 주발을 벌컥벌컥 들이켰다.

“참으로 시원합니다. 선생도 한 주발 하시오.”

이정구도 단숨에 한 주발을 들이켰다. 갈증이 가시며 속이 탁 트이는 기분이 들었다. 기분 좋은 어지러움과 약간의 취기가 올라오는 가운데, 멀리서 퉁소 소리가 들려오는 것 같았다. 그러더니 이내 그 소리가 크게 들렸다.

“억량, 인사드리옵니다.”

그의 앞에 절을 하는 이, 그가 찾던 명인 억량이었다!

“안 그래도 잔치에 가 있는데, 삼각산에 이정구 선생이 온다하지 않소? 배탈이 났다 핑계를 대고 샛길로 얼른 와부렀소!”

억량은 호탕하게 웃었다. 이정구가 전에도 그의 소리를 높게 평가해준 것을 잊지 않고 있었던 것이다. 이정구는 박수를 치며 기뻐했다.

“역시 시냇물을 타고 들려오던 퉁소 소리는 억량의 것이었군!”

깊은 산 속의 푸른 밤, 억량의 맑고 고운 퉁소 소리가 귀를 씻을 듯, 울려 퍼졌다. 이정구는 억량의 퉁소 소리에 묵은 체증이 내리는 듯, 깊은 청량함을 느꼈다.


맑은 계곡물에 발을 담구고 여름의 정취와 풍류를 즐긴 선비들의 모습
맑은 계곡물에 발을 담구고 여름의 정취와 풍류를 즐긴 선비들의 모습
강세황 <태종대太宗臺>,《송도기행첩松都紀行帖》중 / 국립중앙박물관 소장


조선후기 선비들의 풍류문화 속 퉁소

위의 내용은 1603년 9월 15일 월사 이정구가 삼각산을 유람하면서 풍류를 즐기며 노닐었던 이야기를 담은 『유삼각산기(遊三角山記)』에서 전하는 내용이다. 이처럼 선비들이 풍류생활을 즐길 때 퉁소와 함께 했다는 이야기는 200년이 넘는 세월이 흐른 1850년의 서찬규가 쓴 『임재일기(林齋日記)』에서도 그 기록을 확인할 수 있다. 1850년 7월 16일 서찬규는 뱃놀이 당시를 다음과 같이 기록하고 있다.

7월 16일. 맑음.
... 이날 밤은 고요하고 하늘과 강은 공활하여, 노 젓는 소리에 다만 물새들이 놀라고 마을에서 달을 보고 짖는 개소리만 들릴 뿐이었다. 갈대만한 작은 배에서 서로 어지럽게 떠들며 객의 퉁소가 노래에 화답은 이루지 못하였으나, 바가지 술을 서로 권하니 그 즐거움이 적벽의 신선 소동파에 양보되지 않았다. ...

여름 밤, 고즈넉한 정취와 퉁소 소리와 사람들의 담소 소리가 이어지는 풍경은 선비들의 풍류생활의 여유로움과 아름다움을 보여준다. 조선시대 선비들은 이와 같이 좋은 자연경관 속에서 ‘시서금주(詩書琴酒)’로 노니는 것을 풍류라 하여 생활의 주요 영역으로 삼았다고 한다. 여기서 거문고(琴)는 피리나 퉁소 등으로 대체되기도 했다. 중요한건 이와 같은 문인들의 풍류생활이 단순히 즐기는 데에서 머무르지 않았다는 것이다. 풍류 속에서 나온 시나 글은 문학적 축적을 가능케 했고 풍류생활의 주내용 중의 하나인 음악은 나름대로 뚜렷한 음악문화를 형성할 수 있게 하였다. 위에서 본 두 문인의 일기만으로도 퉁소가 선비들의 일상생활 속의 음악으로써 자리한지 200년을 훌쩍 넘는다는 것을 알 수 있다. 그렇다면 선비들의 풍류 생활 속에 퉁소가 들어온 것은 언제부터였을까?

퉁소라는 용어가 우리나라에 공식적으로 소개된 시기는 고려시대로 거슬러 올라간다. 이후 궁중과 민간에서 사용되었고, 조선후기에는 풍류방에서 널리 사용되는 악기로 발전되었다. 조선후기의 여러 『진찬의궤』, 『진연의궤』, 『진작의궤』에 의하면 궁중잔치 때마다 퉁소는 연례악 연주에 사용되는 악기였다고 한다. 이러한 형태의 퉁소가 다양하게 개량되면서 선비와 서민들의 음악에 합류하게 된 것이다. 그 때 선비들이 풍류를 즐기는 자리에서 퉁소를 부는 음악 수요에 응하는 이를 적노(笛奴)라 했다. 즉 젓대를 부는 노비(奴婢), 억량(億良)과 같은 이라고 할 수 있다.


맑은 계곡물에 발을 담구고 여름의 정취와 풍류를 즐긴 선비들의 모습
퉁소는 어느 한쪽도 막혀 있지 않고 위 아래가 통하는 관대의 모습의 관악기
악학궤범(樂學軌範) 권 7에 실려 있는 퉁소


적노(笛奴)에서 젓대 명인이 된 억량

『한겨레 음악 대사전』에 기록된 바에 의하면 억량은 광해군(1608~1623) 때 젓대(大琴)명인이다. 광해군 시기에 앞서 1603년 이정구가 『유삼각산기(遊三角山記)』에 먼저 억량을 언급하여 사실상 오늘날 전해오는 억량에 대한 기록은 이것이 전부이다. 사전의 기록에 따르면 억량은 평천군수 신공(申公)이 참석한 잔치판에서 이정구 선생이 자신을 초대했다는 이야기를 듣고 가능하면 그곳을 빨리 빠져 나올 궁리를 찾았다고 한다. 누구보다 자신의 음악을 알아주는 이정구였기 때문이다.

그가 적노(笛奴)에서 젓대 명인의 칭호를 얻기까지 신분 상승의 과정은 이정구와 같이 억량의 음악적 재능을 알아주는 이가 있었기에 가능했을 거라 추측된다. 이정구가 기록한 가을산에서 풍류를 즐긴 어느 날의 일기에는 비교적 억량의 능력과 등장이 세세하게 기록되어 있다. 이정구는 처음부터 억량에 대해 ‘퉁소 부는 것으로 장안에 이름이 났다’고 언급하며 그가 실력을 인정받은 이라는 것을 언급했고, 시냇물을 타고 들려오는 퉁소 소리에 ‘억량의 퉁소 소리와 비슷했다’라고 말할만큼 그만의 특별함을 알아주었다.

서찬규의 『임재일기』를 비롯한 다른 문헌을 보아도 퉁소를 부는 이는 풍경으로 존재할 뿐이지, 이처럼 그 자신이 주체가 될 만큼 기록되지 않았다. 이정구가 노비인 억량에게 어떤 태도를 가졌는지 짐작되는 대목이다. 풍류생활 속의 풍경으로 존재했던 억량을 예술가로 이끌어 낸 것은 바로 이정구 선생이었다.

여러 잔치판에 불려 다니며 사대부들의 호사취미에 하는 수 없이 부응하는 것과 달리 자신의 음악적 재능을 알아주는 이정구 선생과의 풍류자리는 억량이 예술적 기지를 뽐내는 자리가 되었을 것이다. 잔치판에서 꾀를 내어 빠져 나온 뒤 이정구 선생에게 들뜬 마음으로 달려왔을 억량의 마음을 헤아려 본다. 예술가의 기질은 자신을 알아봐 주는 이의 앞에서 더욱 빛난다. 억량에게 이정구는 자신의 소리를 알아주는 지음이었는지도 모른다. 그 앞에 있을 때 억량은 적노(笛奴)라는 현실의 제약을 뛰어넘은 예술가였을 것이다.

스토리테마파크 참고스토리

작가소개

유순덕‧이민주 모녀
유순덕‧이민주 모녀
유순덕 관장
2009년에서 2011년까지 강남구립 역삼푸른솔 도서관 관장을 지내고 2011년 이후 현 대치도서관 관장을 맡고 있다. 2010년부터 2014년까지 세계인재개발원 외래교수로 활동하며 철학과 인문학을 강의했다. 그 경험을 바탕으로 「길 위의 인문학」 "철학에 길을 묻다", 강남구 「북페스티벌」 "인문독서논술 공모전"과 같은 인문학을 바탕으로 한 다수의 도서관 프로그램을 기획 및 진행하고 있다.
이민주 AD
서울예술대학교 미디어창작학부를 졸업 후 방송국 AD로 근무하고 있다. 재학 당시 영화 연출과 시나리오 공부했던 것을 계기로 졸업 후에도 영화 시나리오 공부를 이어가고 있다.
“ 조선시대의 디자이너, 철학에 기초하여 옷을 짓다 ”

서찬규, 임재일기,
1849-06-15 ~ 1859-07-17
1849년 6월 15일, 안동의 신재기(申在箕)[자는 범여(範汝)]씨가 서찬규를 찾아와서 위문하고 제복(祭服)을 만들었다.
1853년 1월 19일, 안동의 신재기 씨가 내방하였다.
1854년 2월 24일, 춘당대에 국왕이 친림하는 인일제를 설하여 시제(詩題)에 내었는데 근래에 없던 것이었다. 과거에 응시한 후에 곧 노량진에 가서 선생의 제사상에 조문을 드리고 곧바로 성균관에 들어갔다.

“ 20년만에 만난 관기 몽접, 그녀의 노래실력은 여전하다 ”

양경우, 역신연해군현잉입두류상쌍계신흥기행록,
1618-05-05 ~
1618년 5월 5일, 남도일대를 유람중이던 양경우가 수령에게 접대를 받았다. 관기인 몽접(夢蝶)이란 이가 들어와 인사를 드리는데, 이 기생은 젊었을 때 노래를 잘 불렀다. 난리를 만나 떠돌아다니다가 용성에 이르러 내가 거처하는 촌사(村舍)에 3년 동안 붙어살았는데, 그 이후로 20년간을 어디에서 사는지 알 수가 없었다. 지금 문득 만나니 또한 세상사는 사람의 우연한 일이다. 서로 옛날이야기를 하였고 그녀로 하여금 노래를 부르게 하였다. 아직도 옛날과 마찬가지로 한들한들 멋들어지게 노래를 부른다. 태수가 나를 위하여 술자리를 마련하니 밤늦도록 즐겁게 이야기를 나누다가 파하였다.

“ 음악과 시로 어울렸던 광대와 양반, 눈물로 헤어지다 ”

서찬규, 임재일기,
1846-09-16
1846년 9월 16일, 서찬규는 며칠 간 망설였던 일을 하고 말았다. 창부(倡夫)들을 내보낸 것이다. 사실, 반년 동안이나 와서 의지했던 터라 그의 마음도 참으로 서운하고 허전하기 짝이 없었다.
창부 일행의 마음도 착잡하긴 마찬가지였다. 모두 돌아간다고 말해놓고 행장은 이미 꾸렸음에도 눈물이 앞을 가려 쉽게 발길이 떨어지지 않았다. 그간 서찬규 생원 댁에서 편안하게 지냈는데, 이제 어디로 가서 입에 풀칠을 해야 할지 막막하기만 했다. 비라도 오면 좋으련만, 맑은 날씨가 발길을 재촉하는 것 같아 원망스럽기까지 했다.

“ 아름다운 노랫말과 슬픈 과거를 지닌 여인, 시희(詩姬) 얼현을 만나다 ”

김령, 계암일록,
1625-01-03 ~
1625년 1월, 추운 겨울 고향을 떠나온 지 오래된 나그네 신세의 김령에게 아침 일찍 지인들이 찾아왔다. 김령은 놀랍고 기쁜 마음으로 회포를 풀고, 날이 저물 때까지 그들과 함께 했는데, 무리 중에는 김령을 찾아온 시희(詩姬) 얼현(乻玄)이 있었다.
그녀는 천성(川城) 청암(靑巖) 권동보(權東輔)의 여종이었다. 20년 전에 고향을 떠나 이리저리 떠돌다가 서울에 들어와서 어떤 자의 첩이 되었는데, 미모가 시들자 이별을 당했다. 이때 와서 시권(詩卷)을 가지고 김령을 찾아왔는데, 그 시어(詩語)가 매우 맑고 아름다웠다. 창석(蒼石) 이준(李埈) 어른이 때마침 왔다가 그 시를 보고 칭찬하면서 그것을 소매 속에 넣어서 돌아갔다.

“ 밀양 기생 보금을 연주하다 ”

황사우, 재영남일기,
1519-02-04 ~ 1519-07-09
1519년 2월 4일, 황사우는 밀양의 수산현과 금동역을 거쳐 밀성(密城)에 들어갔다. 집무를 마친 황사우는 저녁에 기녀를 불러 거문고를 연주하게 하고 회포를 풀었다.
7월 8일, 아침 일찍 양산군을 출발하여 밀양에 이르렀다. 춘추 포폄 때문에 감사가 좌수사와 우수사와 함께 집무를 보았다. 황사우는 이들을 뵙고 저녁 식사를 함께 하였다. 그리고 이날 황사우는 밀양에 처음 왔을 때 만났던 기녀를 다시 불렀다. 그녀를 보자 황사우의 가슴이 뛰었다. 그녀의 이름은 보금(寶琴). 보배로운 거문고라는 뜻이었다.
7월 9일, 밀양. 감사와 좌수사, 우수사가 누각에서 집무를 하고, 여러 사람들이 모두 머물렀다. 여러 훈도를 고강하였다. 황사우는 저물 무렵 방으로 내려와 밀양현감과 전 고령현감과 잠깐 술자리를 하고 잤다. 좌수사와 우수사가 감사에게 고기를 먹고 술 마시기를 권하여 밤중까지 이르렀다. 황사우는 그 자리에 끼지 않았는데, 내심 다행으로 여겼다. 칠원현감과 영산현감에게 대전(大典)을 고강했다. 이날도 황사우는 보금을 몰래 연주하였다.

닫기
닫기
관련목록
시기 동일시기 이야기소재 장소 출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