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국학진흥원에는 〈한국의 유교책판〉이란 유네스코 세계기록유산이 있습니다. 2015년 세계기록문화유산에 등재된 유교책판은 한국 지식인의 500년 역사가 담겨 있는 조선시대 집단 지성의 모습을 담고 있습니다. 이번 스토리이슈에서는 〈한국의 유교책판〉과 학생들의 체험 연수에 대한 이야기를 전하고자 합니다.
세계유산활용프로그램 (출처: 문화재청)
인간은 기록을 통하여 자신을 표현하고, 자신의 발자취를 후대에 전합니다. 이러한 경험이 축적되어 문화가 되고, 해당 지역의 역사가 되며, 나아가 민족의 역사성을 담아내는 그릇이 됩니다. 인류는 다양한 형태의 문자, 도구를 이용하여 축적한 정보를 기억하고, 보급·전파하게 되었습니다. 문자의 기록은 처음에는 동물의 뼈나 상아, 나무, 돌 등의 도구를 이용했습니다. 이후 붓, 먹, 종이 등의 서사재료와 도구가 발달하면서 붓으로 글씨를 쓰는 필사를 통하여 책의 형태를 처음으로 갖추게 되었습니다. 필사는 직접 써야하기 때문에 동일한 내용이 담긴 여러 권의 책을 다시 만드는 것이 어려우며, 글자의 모양도 일정하지가 않았습니다. 그래서 필사는 단일 정보를 기록하는 수단만 되었을 뿐 정보를 보급하기에는 역부족이었습니다. 정보를 오래도록 보존하고 널리 보급하기 위해서는 획기적인 인쇄 수단이 필요하였습니다. 인쇄방법 중 가장 대표적인 것이 바로 목판과 활자를 이용한 인쇄술입니다. 목판은 문자를 나무에 새겨 종이에 찍는 기술로 인쇄방법 중 가장 먼저 고안되어 널리 사용되었습니다.
무구정광대라니경 (출처: 한국학중앙연구원_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목판은 음각(陰刻) 또는 양각(陽刻)으로 문자를 판각하여 책판(冊板)을 만들고, 종이로 찍어 책을 만든 인쇄방법입니다. 서기 636년경 중국에서 처음 시작되어 전파되었으며, 인쇄방법 중 최초로 고안해낸 것입니다. 우리나라의 대표적인 목판인쇄물로는 세계에서 가장 오래된 목판본으로 알려진 신라의 『무구정광대다라니경(無垢淨光大陀羅尼經)』, 고려의 『보협인다라니경(寶印陀羅尼經, 1007)』, 초조대장경(初雕大藏經) 및 재조대장경(再雕大藏經)이 대표적입니다. 조선 초기부터 각종 경서(經書), 불경(佛經), 문집(文集) 등 다양한 주제의 문헌을 찍어내는데 가장 보편적으로 사용되었습니다.
해인사 대장경판 (출처: 한국국학진흥원_스토리테마파크)
목판은 최초의 인쇄 수단이면서 근대까지 가장 광범위하게 활용되었던 인쇄 방식이었습니다. 목판은 보존이 편하고 계속적인 인쇄가 가능하며, 세밀한 그림과 지도를 표현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어서 오래도록 성행하면서 기술과 전통이 계승되었습니다. 조선시대에는 중앙에서 배포된 서적을 번각, 간행하여 민간에 유포하는 목판인쇄가 널리 활용되었습니다. 우리나라 목판인쇄의 꽃은 문집 목판이라 할 수 있습니다. 목판 판각의 70% 이상을 차지했던 문집 목판은 유교 공동체에서 살던 우리 선조들의 뛰어난 문화의식을 보여주는 훌륭한 지적 자산입니다.
성학십도 책판 (출처: 한국국학진흥원_스토리테마파크)
‘유교책판(儒敎冊版, Confucian Printing Woodblocks in Korea)’은 조선시대에 718종의 서책을 간행하기 위해 판각한 책판으로, 305개 문중과 서원에서 기탁한 총 64,226장으로 되어 있습니다. 유교책판은 시공을 초월하여 서적을 통하여 학생이 선인들의 사상을 탐구하고 전승하며 소통하는 ‘텍스트 커뮤니케이션(text communication)’의 원형입니다. 책판에 수록된 내용은 문학, 정치, 경제, 철학에 걸친 다양한 분야를 다루고 있습니다. 궁극적으로는 유교의 인륜공동체(人倫共同體) 실현이라는 주제를 담고 있는 것이 공통적인 특징이 있습니다.
성학십도 책판 인출본 (출처: 한국국학진흥원_스토리테마파크)
문중-학맥-서원-지역사회로 연결되는 네트워크를 형성한 지역의 지식인 집단은 ‘공론(公論)’을 통해 인쇄할 서책의 내용과 이후의 출판 과정을 결정하였습니다. 공론을 통한 제작 과정부터 자체적으로 비용을 분담하는 ‘공동체 출판’ 방식은 유례를 찾기 힘든 매우 특별한 출판 방식입니다. 또한 네트워크의 구성원들은 20세기 중반까지 지속적으로 스승과 제자의 관계로 서로 밀접하게 연관되었습니다. 그리고 이 관계는 500년 이상 지속되면서 ‘집단지성(集團知性)’을 형성하였습니다. 영구적으로 보존되어온 영원한 학문의 상징으로서 유교책판은 서책을 원활하게 보급하기 위해 제책(codex) 형태로 인출하도록 제작되었습니다. 더욱이 현전하는 모든 책판은 지금도 인출이 가능할 정도로 원형의 상태 그대로 유지되어 있습니다
그렇습니다. 이처럼 오랜 역사와 전통을 가진 〈한국의 유교 책판〉은 보존과 가치 전승을 위해 세계기록유산에 등재되었습니다. 이를 보존하고 관리하는 한국국학진흥원에선 학생들에게 기록유산의 가치를 확산하고 문화 자긍심을 제고하기 위해 〈한국의 유교 책판〉의 가치와 중요성을 알리는 체험 연수를 기획하였습니다. 이번 연수를 통해 한국의 유교책판과 책판이 제작되고 사용된 한국의 서원(세계유산)에 대한 종합적인 이해를 통해 유네스코 유산 사업에 대한 이해를 돕고자 하였습니다. 이를 위해서 체험 연수 프로그램은 이론 강의와 체험 프로그램을 함께 운영하였습니다.
전진성 강사(유네스코 한국위원회 문화팀장)의 강의 (출처: 한국국학진흥원)
먼저, 유네스코 한국위원회의 담당자 및 대학 교수진의 유네스코 세계기록유산 사업과 등재 유산인 한국의 유교책판에 대한 강의가 이루어졌습니다. 유네스코 역할과 세계기록유산 사업에 대한 기본적인 설명 및 유교책판에 대한 심도 깊은 강의가 이루어졌습니다.
유네스코 세계유산 ‘도산서원’ 답사 (출처: 한국국학진흥원)
세계기록유산 전시체험관 체험 (출처: 한국국학진흥원)
체험 프로그램으로 유네스코 세계유산인 ‘도산서원’과 세계기록유산 전시체험관, 유교문화박물관을 답사하였습니다. 먼저, 조선시대 유교책판이 제작되고 실제로 사용되었던 도산서원에서 선인들의 공부법과 서적 및 책판 보관법을 배웠습니다. 그리고 한국국학진흥원의 세계기록유산 전시체험관에서 AR과 VR을 이용하여 실감나게 세계유산 문화콘텐츠를 체험했습니다. 유교문화박물관에선 조선시대 유교의 인륜공동체와 선인들의 생활상을 확인하였습니다.
고서 인출 및 만들기 체험 (출처: 한국국학진흥원)
그리고 유교문화박물관의 학예사와 함께 세계기록유산인 한국의 유교책판의 체험용 복제 목판을 활용한 고서 인출 및 만들기 체험을 하였습니다. 선인들이 고서를 만드는 과정을 하나하나 배우고 실제로 인출해보고 책을 묶어 볼 수 있었습니다.
2021년 연수는 중고등학생과 대학생으로 나누어 각각 10차에 걸쳐 진해되었고, 제반 비용은 한국국학진흥원에서 부담하였습니다. 하지만 안타깝게도 2021년 연수는 코로나19 때문에 숙박을 하기 어려운 상황으로 당일에 모든 강의와 체험 프로그램을 할 수 밖에 없었습니다. 2022년 새해에는 부디 코로나19가 종식되어 인문정신연수원에서 숙박을 하면서 보다 여유로운 일정으로 체험 연수가 진행되길 희망합니다. 강의와 체험이 함께하는 〈한국의 유교책판〉 체험 연수 프로그램! 여러분의 많은 참여를 기다립니다.
시기 | 동일시기 이야기소재 | 장소 | 출전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