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바로가기본문 바로가기
  • 검색

상세검색

디렉토리검색
검색어
시기
-
얼어붙은 압록강을 건너다
1911년 1월 8일, 김대락은 신의주의 한 객점에서 눈을 떴다. 어제 아들 형식을 찾아 나섰건만 아들을 찾지 못하였다. 아침은 객점에서 손자사위 등과 함께 밥을 먹었다. 김대락의 다른 식구들은 신의주 10리 못 미쳐 있는 객점에 머물고 있었다. 김대락이 아침을 뜨고 막 숟가락을 내려놓을 즈음, 식구들이 머물고 있는 객점에서 손자 창로가 편지를 써서 그 객점의 주인을 보내 자신을 찾고 있었다. 식구들도 적잖이 김대락을 걱정했던 모양이다. 하지만 김대락은 그 객점 주인을 시켜 다시 아들 형식을 찾도록 하였다. 잠시 후 객점 주인으로부터 좋은 소식이 들어왔다. 아들 형식은 이미 압록강을 건넜으며, 또 압록강에는 검문 등이 없다는 것이다.
김대락은 곧장 식구들이 머물고 있는 객점에 인력거 세 대를 보냈다. 이윽고 식구들은 모두 도착하였다. 김대락은 점심을 먹고 나서 모두 얼어붙은 압록강을 도보로 건널 계획을 하였다.
김대락은 압록강에 나와 울진에서 온 손자사위 등의 사람들을 먼저 보냈다. 그러고 나서 자신과 식구들은 차례대로 얼어붙은 압록강을 건넜다. 한 걸음에 온갖 생각이 떠올랐다. 노구를 이끈 몸 얼어붙은 압록강 위에서 감회가 없을 수 없었다. 강을 간신히 반쯤 건너가니 건너편에서 얼음수레를 타고 아들이 오고 있었다. 마치 10년 만에 아들을 보듯 놀랍고 반갑기가 그지없었다. 아들은 아버지에게 다가가 인사를 하였다. 우선 아들이 가지고 온 얼음수레에 식구들은 나누어 올랐다. 수레는 금세 김대락 일행을 강 건너로 데려다 주었다.
강 언덕에 올라 중국 시내를 둘러보니 건물은 조선의 건물과 달리 위로 솟아 있었다. 다시 안내를 받아 동취잔(東聚棧)이란 곳으로 갔다. 그곳에서는 조선인 주인 김준선(金駿善)이 안내하였다. 그는 청나라 말을 잘해 소통에 별 문제가 없었다. 그러나 안동(丹東, 중국 단동)에서 머문 객점은 조선과 달리 바깥 창문만 있고, 내부 구조는 문이 없이 방만 구분되어 있었다. 그의 눈에 중국의 객점은 어설퍼 보이기만 하였다.

닫기
닫기
관련목록
시기 동일시기 이야기소재 장소 출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