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바로가기본문 바로가기

요건 몰랐지?

작품소개

우리가 몰랐던 역사 속의 이야기들을 ‘삿갓 김씨’와 ‘종놈 칠복’이 깨알같이 파헤치는 스펙터클 버라이어티 조선 유랑기!

캐릭터 소개

몰락한 양반가의 자제 삿갓 김씨! 넉살좋고, 뻔뻔한 성격으로 만사태평하다.
하지만, 종놈 칠복의 식성을 감당하느라 등골이 빠진다.
단순, 무식, 팔랑귀에 식탐까지 두루 갖춘 종놈 칠복! 의리를 가장 소중히 생각하지만, 여자 앞에선 처참히 무너진다.

작가의 말

웹툰 ‘요건 몰랐지’는 지난해 ‘스토리 테마파크 창작 콘텐츠 공모전’에서 수상한 작품입니다. 이 작품은 스토리텔링하기 참 좋은 ‘나라’, 조선을 배경으로 왕의 이야기가 아닌 평범한 일상인들의 삶과 그들이 남긴 흔적의 의미를 담긴 위해 기획했습니다. 평소 사극 매니아인 동생(이승훈 작가)과 저(장순곤 작가)는 영화나 드라마를 보며 조선의 사람들은 ‘어떻게 살았고, 무엇을 생각했을까?’ 정말 궁금했습니다. 그 궁금증을 ‘삿갓 김씨’와 ‘종놈 칠복’이를 통해 풀어보려고 합니다.

작가소개

장순곤
장순곤
콘텐츠 개발자.
디즈니, 워너브라더스, 니켈로디언 등의 애니메이션 제작에 참여.
현재 애니메이션을 잠시 접어두고, 새로운 일에 도전 중.
이승훈
이승훈
콘텐츠 기획 및 제작자.
스폰지밥, 내 친구 아서, 코르토 말테즈, 키오카 등의 애니메이션 작품에서
배경, 콘티, 연출에 참여. 회사 생활 틈틈이 창작활동 중.
“세곡선이 난파되면 뒷감당은 모두 불쌍한 백성들의 몫이다”

조재호, 영영일기(嶺營日記),
1751-07-10
1751년 7월 10일, 쌀과 콩을 합하여 1872섬 13말 6되 3홉 8작을 실은 배가 김해(金海) 명지도(明旨島) 아래 웅천(熊川) 정거리 위에 도착했을 때 풍랑을 만나 난파되었다. 두 고을에서 건져 올린 것이 쌀이 1101섬, 콩이 45섬이고 건져 올리지 못한 것은 쌀이 419섬 1말 4되 4홉 2작이고 콩이 307섬 2말 1되 9홉 6작이니 사분의 일의 손실을 본 것이다. 조재호는 법령에 따라 하룻길 거리에 있는 밀양부(密陽府) 백성들에게 건져 올린 건열미(乾劣米)를 개색(改色)하도록 하였으며, 가을에 다시 받자[捧上]하라 하고 건져 올리지 못한 쌀의 수량만큼은 기간을 정하셔서 거두어 올릴 것이며, 건열미와 아울러 같은 시기에 상납하도록 하겠음을 장계로 써서 올렸다.

“난파된 세곡선의 일로 세금을 징수하려는 것에 대해 법을 근거로 선처를 요청하다”

조재호, 영영일기(嶺營日記),
1751-09-30 ~
1751년 9월 30일, 호조(戶曹)에서 관문이 내려왔는데 그 내용인 즉, 병인년(1746)에 감관(監官) 신윤보(辛胤寶)와 색리(色吏) 김윤택(金允澤) 등이 납부할 것이 각각 쌀 34섬 8되 3홉과 콩 16섬 10말 9되라는 것이었다.

이에 조사하고 심문해 보니 감관 신윤보는 작년 3월에 전염병으로 온 집안이 몰사하였고, 색리 김윤택은 정묘년(1747) 5월에 대동미 실은 배에 탔다가 8월 22일에 남양(南陽) 경내의 창도(倉島) 앞바다에 이르러 배가 난파되어 사공과 격군 3명이 물에 빠져 죽었고 감관과 색리 및 격군 8명은 요행이 살아났으나 침몰한 곡물은 끝내 1섬도 건지지 못하는 일이 발생한 경우였다.

“잠수부를 많이 동원하여 시신을 건지도록 하였다”

조재호, 영영일기(嶺營日記),
1752-02-18 ~
1752년 2월 18일, 창원부 병선의 사공과 격군으로서 북관에 운반해갈 곡식으로 진주(晉州)의 곡식을 받아서 싣고 색리, 사공, 격군 모두 15명이 같이 배를 타고 출발하였다가 풍랑을 맞아 난파되어 곡물은 모두 물에 빠지고 8명은 죽고, 7명은 살아남게 되었다. 죽은 사람은 진주 색리 김순은(金舜殷) 나이 25세, 사공 물선군(物膳軍) 임악(林岳) 나이 42세, 격군 양인 유선(劉先) 나이 58세, 금위군(禁衛軍) 정정의(鄭正儀) 나이 43세, 사노(寺奴) 시돌이(時乭伊) 나이 43세, 칠장보(漆匠保) 김석제(金石諸) 나이 18세, 봉군(烽軍) 박선학(朴善鶴) 나이 32세, 봉군(烽軍) 장귀발(張貴發) 나이 25세 등 8명인데, 그 가운데 사노인 시돌이의 시신이 떠서 나왔기에 나룻가에 임시로 매장하였고 나머지 7명의 시신은 끝내 건져내지 못했기에 잠수부를 많이 동원하여 사방으로 흩어져 수색하고 건지도록 지시를 내린다.

“조선시대의 소방관, 도처의 화재에 대응하다”

서찬규, 임재일기(林齋日記),
1847-01-16 ~ 1858-02-09
1847년 1월 16일, 서찬규는 영천 은해사에 불이 났다는 것을 들었다.
1853년 12월 4일, 밤에 순영(巡營, 감영)의 방에서 불이 났다고 한다.
1858년 2월 9일, 정군백의 편지에 답장을 썼다. 요즘 도처에서 화재가 많으니 괴이하다.

“임금의 능에서 발생한 화재, 왕릉을 지키던 자 모조리 잡혀가다”

김종, 임진일록(壬辰日錄),
1592-03-24
1592년 3월 24일 저녁, 명종(明宗)의 능인 강릉(康陵)에서 화재가 발생하였다. 화재는 강릉을 감싸는 담장 안에서 발생하였는데, 왕릉에 입힌 무덤의 떼까지 태웠다. 다음날(3월 25일) 강릉을 지키고 있던 참봉(參奉) 이귀(李貴)가 궁으로 들어와 지난밤 화재를 아뢰었다. 선조(宣祖)와 조정에서는 이를 불미스러운 일로 받아들였다. 또 행여 왕실에 거역하는 무리가 있을까 하여 우선 왕릉을 지키고 있었던 사람들부터 잡아들였다. 이귀는 물론이고 능을 지키고 있던 수호군(守護軍)인 경국(敬國)과 그의 아비 홍순(洪順)을 모두 붙잡아 가두었다. 그리고는 선조는 조정의 당상관(堂上官)들과 예조의 당상관, 해당 관사의 제조(提調), 승지(承旨) 이정형(李廷馨)과 내관(內官)들을 파견하여 곧장 강릉으로 가서 왕릉을 살피도록 하였다.

“안동 태사묘만 화재를 면하다”

권상일, 청대일기(淸臺日記),
1721-03-23
1721년 3월 23일, 권상일이 들은 이야기였다. 안동에서 일주일 전 큰 바람이 일었다고 한다. 그런데 서문 밖에 어느 작은 집에서 불이 났는데 그로 인하여 불이 성 벽을 넘어 성 안쪽으로 옮겨 붙었다고 한다. 성안으로 옮겨진 불은 삽시간에 400여 채를 모두 불태우고 관아도 피해를 입어 객사와 공수청 이외에는 모두 불타 버렸다고 한다.

그런데 유독 태사묘(太師廟)만은 살아남았다고 한다.

닫기
닫기
관련목록
시기 동일시기 이야기소재 장소 출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