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바로가기본문 바로가기
편집자의 말

나라 지키려는 같은 마음

서울 광화문 광장에는 이순신 장군 동상과 거북선이 있습니다. 이 동상은 1968년에 건립되었는데, 이순신 장군에 대한 우리들의 마음으로 인해, 오래도록, 오래될수록 우리에겐 호국의 상징이 되고 있습니다. 이순신 장군의 거북선에 관한 기록은 《난중일기(亂中日記)》를 비롯해서 당시의 기록물에서 찾아볼 수 있는데, 여기에는 거북선의 승전 소식뿐만 아니라 그 외부 형태와 전투력 등이 기록되어 있습니다. 그러나 구체적인 구조나 건조를 위한 치수 등에 관한 기록은 찾아볼 수가 없고 1795년(정조 19)에 간행된 『이충무공전서(李忠武公全書)』에서야 관련 기록들을 볼 수가 있습니다. 여기에는 ‘전라좌수영 거북선’ 및 ‘통제영 거북선’의 그림과 함께 건조에 필요한 부분적인 치수가 기록되어 있습니다.

그런데, 현종 때 간행된 이덕홍(李德弘)의 『간재집(艮齋集)』에서 거북선에 대한 구체적인 기록들을 볼 수가 있습니다. 이덕홍이 1592년에 호종 중이던 ‘세자에게 올린 글[上王世子書]’에는 호남의 장수들이 건조한 귀갑선에 대해 구체적으로 묘사하면서 이를 전쟁에 활용하자는 내용이 있고, 1593년 영천에서 ‘선조에게 올린 상소[上行在疏]’에는 귀갑선의 구조를 그린 그림이 첨부되어 있습니다. 이덕홍과 류성룡이 퇴계선생님의 제자였다는 인연을 고려하면 거북선을 두고 이덕홍-류성룡-이순신 이 세 사람이 정보와 생각 그리고 마음을 공유하지 않았을까 하는 추측을 해 보게 됩니다. 왕을 모시고 피난길에 떠난 재상, 전장을 누비는 장군, 전장을 수습하는 지방관이 같은 마음이었기 때문에, 거북선을 만들어 나라를 지켰고 기록으로 남겼다고 생각됩니다. 그 마음에서 왕과 조선 조정도 예외는 아니었습니다.

허인욱 선생님은 〈무예를 익혀야 나라를 지킬 수 있다〉는 글에서 임진왜란 중에 명의 무예와 일본의 검술을 익히고 그것을 자신의 것으로 만들려고 한 조선의 노력을 이야기해 주셨습니다. 조선은 왜구를 막는데 효과적인 척계광의 『기효신서(紀效新書)󰡕를 받아들였고 낙상지(駱尙志)와 같은 명나라 장수들에게 가르침을 청했으며 무예훈련을 전담하는 훈련도감(訓鍊都監)을 만들었습니다. 적국인 일본의 총술과 검술, 무기까지도 배우려고 했습니다. 그리하여 항왜인들에게 군직을 주고 총과 검을 만들게 하고 검술과 총술을 가르치게 했습니다. 특히 “그들을 얕보거나 무시하지 말고 착실히 익히라”는 선조의 비망기에서 나라를 위해 자존심도 굽힌 선조의 마음을 읽을 수 있습니다. 이렇게 익힌 무예들을 우리 것으로 만들고 공유하기 위해 각종 무예서들을 남기는 일도 계속했습니다.

이런 노력이 왜란 때만 있었던 것은 아닙니다. 권병훈 선생님은 〈등투구 유물로 보는 조선 말기 군사 복식 이야기〉란 글에서 조선 고종 때 열강의 침략을 대비하던 조선의 노력을 ‘등투구와 면제배갑’이란 유물을 통해서 이야기해 주셨습니다. 조선 시대에는 병사들이 군장을 스스로 준비해야 했습니다. 징병으로 인한 노동력 손실도 큰 데 군장까지 마련하려면 부담이 이만저만 큰 게 아니었습니다. 병사들의 군장 부족이나 부실은 그대로 군사력의 부족과 부실로 이어지기 때문에, 이를 보완하는 것은 나라의 부담이 될 수밖에 없었습니다. 조선 고종 때 대원군은 외세 침략에 대비해 무기와 무구를 개발하려고 했습니다. 그러나 이미 재정 상태가 매우 안 좋았던 조선 조정에서는 어느 것 하나 성공할 수 없었습니다. 등투구와 면제배갑 또한 백성과 나라의 부담을 줄일 수 있는 무구로 개발된 것이었지만 결국 실전에서는 쓸모가 없었습니다. 병인양요와 신미양요 두 전투에서 조선의 병사들은 군사력 열세라는 열악한 환경에도 불구하고 투항하지 않고 죽음을 각오하고 싸웠습니다.

성패를 떠나 나라를 지키기 위한 조선의 왕과 관리들의 노력은 계속되었고, 그런 관리가 되기 위해 백성들의 노력도 계속되었던 것 같습니다. 권숯돌 작가님은 『노상추일기(盧尙樞日記)』에 있는 노상추(盧尙樞)의 무과도전기를 〈이달의 일기-김일병에게〉에 담아주셨습니다. 노상추는 이런저런 이유로 번번이 낙방을 거듭했지만 결국에는 등과하여 훌륭한 무관이 되었습니다. 이분도 류성룡이나 이순신, 이덕홍과 같이 나라라는 공동체에 속한 구성원을 지키는 일을 사명으로 생각했던 분들 중에 한 분이었던 것 같습니다. 『노상추일기』는 노상추의 일생뿐만 아니라 그가 무관이 되기 위해 노력한 것, 무관이 되려던 마음도 담겨 있습니다. 이분께서 일기를 남겨주신 덕분에 몰랐을 뻔 한 조선시대 무관을 일기를 통해 만났습니다.

그러나 이렇게 이름이나 기록을 남기지 못한 채 임진왜란의 전장에서, 신미양요와 병인양요의 전장에서, 그리고 수많은 전장에서 사라진 이들이 더 많다는 걸 우린 잘 알고 있습니다. 홍윤정 작가님은 영화 속에서나마 자신들의 목소리를 낸 그들을 이야기해 주셨습니다. 6․25 전쟁터에서의 지게부대, 황산벌과 평양성에서의 거시기, 명랑 바다에서의 수군, 3․1 만세 현장에서의 여성들. 그들은 왕도, 재상도, 장군도, 지방관도, 무관도 아니지만 그들과 같은 마음이었습니다. 누군가 그들에게 “왜 그렇게까지 하는 거요”라고 묻는다면 왕도, 재상도 그리고 거시기까지 모두 한 마음으로 이렇게 대꾸할 것 같습니다. “그럼 누가합니까?”(홍윤정 작가님 글 제목입니다.)

〈이번 달 편액〉에서는 앞에서 언급한 간재 이덕홍 선생과 선생을 모신 오계서원(迃溪書院)을 소개합니다.

〈스토리이슈〉에서는 제2회 전통 기록문화 활용 영화 시나리오 공모전을 소개합니다. 제1회 공모전 수상작들의 내용과 제2회 공모전의 내용과 응모요령에 대한 내용이 있습니다. 영화 속에 담길 기록들과 그 기록들 사이에 담길 목소리가 벌써부터 궁금해집니다.




편집자 소개

글 : 조경란
조경란
재밌는 이야기를 좀 더 많이 알고 싶어서, 서강대에서 역사 공부를 하였습니다. 박사과정(한국사전공)을 마치고 나서는 사단법인 세종대왕기념사업회에서 연구원으로 일하면서 계속 역사 공부를 하고 있습니다. 스승님께 배운 수많은 이야기를 혼자만 알고 있는 게 안타까워 알고 있는 것을 나눌 수 있는 방법을 찾다가, 드라마 “주몽” 작가와 같이 공부할 기회를 얻게 되었습니다. 그때부터 시작해서, 드라마 제작진의 역사 자문에 응한 드라마가 “정도전”, “징비록”, “장영실”, “역적”, “녹두꽃” 등 약 15편 정도 됩니다.
“조선시대 군인들의 강무”


마상재(馬上才)는 달리는 말 위에서 사람이 행하는 갖가지 재주로, 농마(弄馬), 희마(戱馬), 마희(馬戱), 곡마(曲馬), 원기(猿騎), 무마(舞馬), 표기희(驃騎戱), 마기(馬技), 마기(馬伎), 입마기(立馬技), 마술(馬術) 또는 말광대, 말놀음 같이 다양한 용어로 불린다. 이들 용어 가운데 훈련된 말에게 여러 기예를 익히게 하는 무마(舞馬)를 제외하고, 그 나머지 용어는 기수가 달리는 말 위에서 여러 가지 동작을 취하여 재주를 부리는 기예를 뜻하는 말이다. 특히 마상재는 조선시대에 이르러 붙여진 명칭으로 민간에서는 주로 마기(馬伎)라 불렀다. 하지만 마기가 아니라 희마(戱馬)가 옳다는 주장이 『무예도보통지(武藝圖譜通志)』에서 확인되는 것으로 미루어 희마가 옳은 표현으로 보인다.

“사족의 필수교양, 활”

금난수, 성재일기,
1592-11-20 ~ 1592-12-29

금난수와 그 벗들은 젊을 적부터 간간히 활을 쏘며 놀았다. 활쏘기는 사족들이 반드시 익혀야 할 교양 중 하나였다. 나라에서도 『국조오례의(國朝五禮儀)』에도 향사례(鄕射禮)를 「군례(軍禮)」 의식으로 규정하여 매년 3월 3일과 9월 9일에 여러 도, 주, 부, 군, 현에서 행하도록 하였다. 하지만 성종 때 까지도 제대로 시행되지 않다가, 이후 향촌사회의 안정을 도모하는 정책이 논의되면서 향사례가 시행되었다. 활쏘기는 단순히 화살로 과녁을 맞히는 데 목적이 있는 것이 아니라 뜻을 바로 하는 예의와 덕과 선을 권하는 데 의의가 있었다.
그리하여 금난수를 비롯한 사족들은 젊을 때부터 활을 쏘는 데 익숙하였다. 비록 평소엔 붓보다 무거운 것은 들지 않는 백면서생이라 할지라도 모두 활은 쏠 줄 알았던 것이다. 금난수는 활쏘기를 구경하는 것도 좋아했는데, 11월 20일에는 이성여의 집으로 가서 활쏘기를 구경하였다. 활을 쏘는 사람들은 젊은이들이 아니었다. 젊은이들은 왜적에 대항하기 위해 의병으로 나가 있었기 때문이었다. 지금 향촌을 지키고 있는 것은 노인들이었다. 노인들은 오랜만에 활을 들어 보았다. 모인 사람들은 금응훈, 이공숙, 박몽담 등 10여 명이었다.
활쏘기 구경만 하고 돌아왔던 금난수는 12월 29일에는 직접 아들들을 거느리고 집 뒤 정자에서 활쏘기를 익혔다. 오랜만에 활을 든 이유는 둘째 아들 금업이 두 손자 정일(貞一)과 일생(一生)를 데리고 왔기 때문이었다. 어린 손자들과 세 아들 앞에서 금난수는 노익장을 가감 없이 발휘하였다. 손자들은 과녁에 화살을 꽂아 넣는 할아버지의 모습을 보며 천진하게 박수를 쳤다..

“활 입문자에게 무과응시는 아직 먼 이야기”

노상추, 노상추일기,
1770-11-03 ~ 1770-11-11

무과시험을 준비하기 위해 지난 5월부터 활쏘기에 여념이 없었던 노상추는 슬슬 좋은 활을 가지고 싶었다. 마침 공성(功城)에 사는 궁인(弓人) 김룡(金龍)이 노상추가 활을 쏘러 다니는 고남(古南)에 왔다고 하기에 김룡을 만나러 갔다. 노상추는 김룡과 더불어 한동안 활 이야기며, 무과 시험에 관한 이야기를 하며 노닥거렸다. 하지만 노상추는 지금 노닥거릴 때가 아니었다. 곧 과거시험이 열릴 예정이었기 때문이다.
왕이 한동안 병환에 시달리다가 얼마 전 병을 털고 일어났는데, 이를 기념하기 위한 정시(庭試)의 초시가 열흘 뒤인 11월 17일에 치러진다는 소식이 횡성(橫城)으로부터 전해졌다. 노상추와 함께 활을 쏘며 과거시험을 준비하던 동접(同接)들이 모두 술렁였다. 신포(新浦)의 활터에서 언제 과거를 보러 출발할 예정이냐는 등, 지금부터 출발하면 도성에서는 어디에서 묵을 것이냐는 등 서로 대화를 나누는 동접들을 보면서 노상추는 자신도 과거시험을 보러 가야 할지 고민에 빠졌다. 아직 무과를 위한 준비를 한 지가 반년밖에 안 된 터라 자신이 없었다. 노상추는 잠자코 활을 집어 들고 과녁을 향해 활을 쏘면서 상념에 빠졌다.

“활쏘기 시합에서 첨사에게 멋지게 복수하다”

박계숙, 부북일기,
1606-04-03 ~ 1606-04-04

1606년 4월 3일, 함경도 최북단 회령에도 완연한 봄이 찾아왔다. 박계숙(朴繼叔)이 이곳 보을하진에서 근무한지도 어언 4개월이 되었다. 부임 초 몸에 병도 들고, 습진에 참석하지 못해 곤장도 맞아 곤경에 처한 일도 있었지만 이제 이곳에서 생활도 제법 익숙해져가고 있었다.
어제 3일에는 보을하진의 무사들과 박계숙(朴繼叔)처럼 남쪽에서 온 일당백장사들 사이에 큰 내기가 벌어졌다. 바로 활쏘기 시합을 하기로 한 것이다. 보을하진에서는 첨사 민열도가 주장이 되고, 남쪽 장사들 중에서는 박계숙(朴繼叔)이 주장이 되었다. 한 사람이 활 5순씩 쏘아 종일토록 쏘았다. 시합 결과 박계숙(朴繼叔)과 남래장사들이 14발을 더 맞추어 이겼다. 박계숙(朴繼叔)은 총 48발을 명중시켰고, 첨사는 46발을 명중시켰다. 항상 원칙을 내세워 부하들을 엄하게 다루는 첨사(僉使)이지만, 활쏘기에서 지고 나니 크게 멋쩍어 하였다.
어제의 패배가 분했던지 오늘 첨사가 다시 한번 활쏘기 시합을 제안하였다. 그러나 오늘도 역시 박계숙(朴繼叔)과 남래장사들이 11발을 더 맞추어 이겼다. 첨사가 3순씩만 더 쏘아 승부를 겨루자하여 하는 수 없이 3순씩을 더 쏘기로 하였다. 그러나 그래도 남래장사편이 4발을 더 맞추어 이겼다. 첨사는 분한 마음을 숨기지 못하고 얼굴이 울그락불그락하였다. 보을하진 소속 무사들 중에 토병군관인 서기충이란 자가 있는데, 두 번 시합에서 모두 꼴찌를 하였다. 가뜩이나 분한 마음이 들었던 첨사는 서기충에게 곤장 5대를 치도록 지시했다. 박계숙(朴繼叔)은 쌀 1석과 콩 1석을 상으로 받았다. 몇 달전 첨사에게 곤장을 맞고 분해했던 것을 멋지게 복수한 것 같아 박계숙(朴繼叔)은 마음이 뿌듯해졌다.

“김덕령의 군대 구성과 그의 복장”

정경운, 고대일록,
1594-02-07 ~ 1594-02-08

1594년 2월 7일, 김덕령(金德齡)은 함양에 이르렀다. 김덕령의 군대는 왼쪽에는 충용기(忠勇旗)를 세우고, 오른 쪽에는 익호기(翼虎旗)를 세웠으며, 또 삼군사명표(三軍司命標)를 세웠다.
군(軍)은 충용군(忠勇軍)이라 하고, 군관(軍官)은 부절사(赴節師)라 부르고, 대장 밑에 있는 군사인 아병(牙兵)은 첩평려(捷平旅)라고 불렀다. 군의 모습이 매우 엄숙했고, 호령이 엄정하고 분명하여 참으로 옛 양장(良將)의 풍모가 있었다.
2월 8일, 김덕령의 복장과 그의 풍모를 기록하였는데, 철립(鐵笠)을 쓰고 두 겹의 갑옷을 입었으며, 철혜(鐵鞋)를 신었고 철상(鐵裳)을 둘렀고, 칠척의 장검을 쥐었다고 한다. 또한 말에 뛰어올라 앞서 달리면서 스스로 진법(陣法)을 펼치고 몸소 지휘한 연후에, 산으로 올라가 명령을 내려 싸우고 달리고 격돌하는 것을 익히게 하니, 그 진법은 그가 스스로 만든 것이었다고 한다. 김덕령의 사람됨은 매우 무게가 있으며, 완력이 뛰어나, 그의 날랜 용맹은 비할 데가 없어서 사람들이 한계를 알지 못했다고 한다.
낮엔 흐리고 비가 내렸지만 저녁에는 날이 개고 달빛이 밝았다.

닫기
닫기
관련목록
시기 동일시기 이야기소재 장소 출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