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엄마야 누나야 강변 살자/뜰에는 반짝이는 금모래 빛/뒷문 밖에는 갈잎의 노래/엄마야 누나야 강변 살자//, (「엄마야 누나야」 전문)”면서 강변의 풍경을 자신이 나아가고자 하는 이상향에 은유한 소월 김정식(1902~1934)부터 “저것 봐, 저것 봐,/네보담도 내보담도/그 기쁜 첫사랑 산골 물소리가 사라지고/그 다음 사랑 끝에 생긴 울음까지 녹아 나고/이제는 미칠 일 하나로 바다에 다 와 가는/소리 죽은 가을 강을 처음 보것네.//, (「울음이 타는 가을 江」 부분)” 라고 노래했던 박재삼(1933~1997), “강은 물소리를 들려주었고/물소리는 흰 새떼를 날려보냈고/흰 새떼는 눈발을 몰고 왔고/눈발은 울음을 터뜨렸고//울음은 강을 만들었다/너에게 가려고//, (「강」 부분)”라고 이야기한 안도현(1961~)까지 강을 동경하고 문학적 자양분으로 삼았던 많은 시인처럼 돌아보면 내 일상도 강과 밀착돼 있다.
피치 못할 사정이 있는 경우를 제외하고 나는 강변으로 자주 나가 걷는다. 집에서 오분 정도를 걸어 나가면 영산포 홍어거리에 이르게 되는데 이곳은 담양에서 목포로 이어지는 영산강 자전거길의 정확히 중간 지점이다. 홍어 삭히는 향기가 강바람에 실려 알싸하게 풍기는 산책로를 거닐다 보면 가깝게는 나주 지역민들, 멀게는 담양, 광주 등에서 출발해 목포로 향하거나 목포에서 올라오는 자전거 라이더들과 만나곤 한다.
영산포 홍어거리에서 바라본 영산대교(광주 방향) 모습 (출처: 작가 제공)
늘 제자리에서 흐르는 듯하지만 계절, 기분 등의 환경적 요소에 따라 이따금 다르게 느껴지곤 하는 강변에서 나는 작고 빛바랜 수첩이나 스마트폰을 이용해 그때그때 생각나는 단상을 메모해 둔다. 강과 함께 흐르는 풍경을 바라보며 쓰는 글은 도시에서 창작되는 것과는 형식이나 정서적 측면에서 확연히 구별되는 점이 있다. 인위적으로 정제되지 않은 날것의 감정이 솔직담백하게 담긴다고 해야 할까. 그것은 어쩌면 시인들이 강을 노래한 이유와도 상통할지 모른다.
영산강은 예로부터 ‘남도의 젖줄’이라는 별칭으로도 불렸다. 그도 그럴 것이 전라남도 담양군 병풍산 북쪽에 소재한 용흥사 계곡에서 발원하여 장성, 광주, 나주, 함평, 영암, 무안 전남의 여러 시·군을 차례로 거쳐 종국에는 목포 앞바다로 흘러드는 전라남도에서 시작해 끝나는 강인 까닭이다. 영산강이라는 이름은 강의 중류 지점에 있는 영산포에서 유래되었는데 여기에 대해서는 여러 가지 설이 있지만, 고려말 공민왕(1330~1374) 때 왜구의 약탈이 끊이지 않자 신안군 흑산면에 속한 섬인 영산도 주민들이 상대적으로 안전한 나주 남쪽 강변으로 터전을 옮겨 정착하기 시작했고 마을이 형성되면서 이 일대를 영산포라고 부르게 되었다는 것이 가장 유력하다.
이러한 영산강 이야기를 하면서 왕건과 견훤의 이야기는 단연 빼놓을 수 없는 이야기다. 당나라와 손을 잡고 백제와 고구려를 차례로 멸망시킨 뒤 삼한을 통일한 신라는 이백여 년 동안 찬란한 황금기를 누렸으나 점차 말기로 접어들면서 귀족들 사이에 왕위쟁탈전이 빈번했고 그 여파로 국력이 쇠퇴하면서 중앙정부는 지역 세력을 제대로 통제하지 못했다. 그러자 전국 각지에서 일부 관리들과 호족들이 반기를 들기 시작했고 옛 고구려 지역에서는 승려 출신인 궁예(?~918)가, 서남해를 비롯한 옛 백제 지역에서는 견훤(?~936)이 새로운 세력을 형성하면서 후삼국시대가 도래했다.
나주 느러지 전망대(동강면 소재)에서 바라본 늘어지 마을(무안군 몽탄면 소재) 모습 (출처: 작가 제공)
당시 나주의 명칭은 금성(錦城)으로, 수로와 육로가 만나는 전략적 요충지인 동시에 서남부 지역의 해상 세력이 중국과 교역을 하던 거점이기도 했다. 이러한 사실을 모르지 않았던 태봉의 궁예는 수하 장수였던 왕건(877~943)으로 하여금 이곳을 장악하게 하여 후백제가 남중국의 오월(907~978)과 교류하는 것을 차단·봉쇄하려고 하였다.
후백제는 나주를 포함한 서남해 일대를 기반으로 삼아 건국되었는데 초기에는 무진주(광주광역시)를 점령하는 등 해당 지역에서 영향력을 확장해 나갔다. 그러나 이후 견훤이 도읍을 완산주(전주)로 옮기면서 중심지에서 밀려난 나주 지역 호족들 사이에서 소외감과 정치적 박탈감이 확산되었을 가능성이 농후하다. 더불어 전남 동부 지역의 호족들, 예를 들어 순천의 박영규와 김총, 광주의 지훤 등 일부가 견훤과 인척 관계로 얽혀 있었으며, 이들과 견훤 사이에는 이해관계의 유대감이 끈끈했던 반면, 나주 세력과는 다소 거리감이 존재했을 것으로 여겨진다.
이러한 정치적 상황에서 901년, 견훤은 신라를 공격하였으나 대야성 전투에서 패배하고 만다. 그러자 그는 신라 본토로의 진격을 보류하고 군세를 남하시켜 나주 남쪽 해안가 마을들을 중심으로 군사 활동을 전개하였다. 이 과정에서 빚어진 충돌은 당시 지역 사회에 상당한 압박을 가했을 것으로 추정된다. 이전까지만 해도 나주 일대가 아직은 후백제의 직접적인 통제를 받았던 것은 아니지만, 견훤의 군사 활동을 계기로 정치적·군사적 독립성을 점차 상실하며 후백제의 영향권에 들어간 것으로 보인다. 그렇지 않아도 중앙 정치에서 밀려나 거리감을 갖고 있었을 나주 호족들은 후백제 정권에 더욱 반감을 가졌을 것이다. 이에 왕건은 이 지역의 유력한 호족이었던 오다련을 포섭하여 이 일대를 태봉의 영토로 편입시키는 데 성공한다. 이 일은 단순한 정치적 전환을 넘어 후삼국 통일의 주도권을 고려가 갖는 결정적 사건이었다. 견훤으로서는 참으로 뼈아픈 실수일 수밖에 없었다.
이처럼 역사의 갈피 속에서 단순한 자연지형에 그치지 않고 서로 다른 두 세력이 충돌하고 정치 권력의 흐름까지도 바꾸는 길목이었던 영산강은 고려를 지나 조선시대로 접어들면서 경제활동의 공간으로 자리매김했다. 영산강 유역에는 농경지와 마을이 번성했고 각종 어업 활동이 이루어졌는데 이 지역에서 생산된 상품들은 영산창을 통해 서울까지 운송되었다. 영산창은 조선 정부가 곡물을 저장하고 관리하던 조창 중 하나로, 영산강 유역의 내륙 수운 중심지인 영산포에 설치되었다. 이러한 흐름은 일제강점기에도 이어져 목포에서 영산포까지 선박이 운행되면서 영산포는 해상 운송과 철도 교통이 연결되는 남도의 물류 중심지로 기능하였다. 그러나 그 목적이 전라도 내륙에서 생산된 쌀과 각종 자원을 보다 효율적으로 징집하고 일본으로 반출하기 위한 것에 있었다는 점을 생각하면 심히 씁쓸할 따름이다.
영산강 하구에서 바라본 목포대교
근래에 와서 영산강 주변으로 사람들이 모여들고 도시화가 진행되면서 수질 오염과 농업용수 부족, 홍수 피해 같은 문제가 대두되기 시작했다. 이 같은 문제를 해결하고자 지난 1972년부터 1981년까지 정부 차원에서‘영산강 종합개발계획’이 추진되어 목포와 영암 사이에 ‘하굿둑’을 지어 바닷물이 강으로 들어오는 것을 막음과 동시에 농사에 쓸 깨끗한 물을 안정적으로 공급할 수 있게 했으나 이 일로 인해 강물의 흐름이 멈추고 바닷물과 민물이 만나는 구역이 사라지면서 생태계가 붕괴되고 오염 물질이 강바닥에 쌓이는 문제를 초래했다. 더욱이 영산강은 한강, 낙동강, 금강에 비해 유량이 적어 오염에 특히 취약했다. 여기에 2008년, 4대강 사업의 일환으로 죽산보(나주)와 승촌보(광주) 같은 새로운 구조물이 생기면서 강물 유속은 더 느려지고 녹조와 악취 같은 환경 문제도 심화되었다. 이 때문에 한때 보를 철거하자는 의견도 있었지만 그대로 존치하기로 결정하면서 영산강은 옛날처럼 자연스럽게 흐르는 강이 아니라 인위적으로 물을 조절하는 강이 되고 말았다.
최근 들어 사람들은 강이 지니는 가치에 주목하고 있다. 기후위기에 대한 심각성이 주요 화두로 떠오르면서 보존하고 계승해야 할 자연 존재의 일부로서 영산강도 그 흐름 안에 있다. 자전거길이 강을 따라 놓이는가 하면 악화된 영산강의 수질을 개선하기 위한 각계각층의 노력도 이어지고 있다. 그러나 일부에서는 보와 댐의 철거 여부를 두고 찬반이 엇갈리고 있다. 누군가는 생태 복원을 위해 과감히 철거해야 한다고 주장하고, 또 다른 이는 농업용수와 치수 문제를 이유로 현 상태를 유지해야 한다고 맞선다. 이러한 논쟁 속에서 영산강은 환경과 산업, 자연 생태와 인간의 삶이 맞부딪히는 경계선으로 존재한다.
그러나 영산강을 그저 환경과 개발, 찬반의 갈등 구도로만 바라보는 것은 이 강의 존재 의미를 축소하는 일일지도 모른다. 누군가에게는 농업의 생명선으로, 또 다른 누군가에게는 자연 생태의 보고로 혹은 고향의 기억이 깃든 삶의 배경으로 자리한 이 강은 각기 다른 삶과 시선들을 따뜻하게 포용하며 흐른다. 그러므로 무엇인가를 나눈다기보다는 서로 다른 존재를 이어준다고 하는 것이 적합할 것이다.
영산포 홍어거리에서 바라본 늦가을 오후 영산강(목포 방향) 모습 (출처: 작가 제공)
강은 단순히 자연의 일부가 아니다. 그것은 인간의 역사와 감정, 그리고 공동체의 기억이 스며든 거대한 생명체와 같다. 영산강이 남도의 젖줄이라 불리는 이유는 단순히 농업적 가치 때문만이 아니다. 사람과 사람을 이어주고 과거와 현재를 잇고 나와 타인을 연결한다. 물길을 따라 흐르는 모든 생명과 기억은 서로 얽히고 스며들며 장대한 서사를 만들어낸다. 때로는 인간의 과도한 욕망이 강의 숨통을 틀어막고 개발이라는 명분으로 그 흐름을 함부로 재단하기도 하지만 강은 기어코 다시 스스로 길을 찾아 흐른다. 그것이 자연의 섭리이며 동시에 회복의 언어다. 그렇기에 그 자체로 시간의 노래이자 존재의 증언이라고 할 수 있다.
강은 서두르지 않는다. 굽이진 곳을 만나면 느리게 걸어가다가 낮은 곳으로 다시 천천히 나아가며 목마른 세상을 적시고 어루만진다. 그 움직임 속에서 강은 자신만의 길을 완성한다. 인간의 삶도 이와 다르지 않아서 때때로 멈추고 돌아섰다가 다시 흐르기를 거듭한다. 중요한 것은 그 흐름을 계속하는 마음 아닐까. 수많은 세월의 이야기와 자취를 품은 채 오늘도 바다를 향해 나아가는 영산강을 바라보며 나는 문득 나를 돌아본다. 언젠가 나의 삶 역시 저 한 줄기 강처럼 또 다른 누군가의 시간 속에서 잔잔히 흘러갈 것이다.

| 시기 | 동일시기 이야기소재 | 장소 | 출전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