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621년 11월 30일, 예안의 선비 김령金坽(溪巖, 1577~1641)은 설레는 마음으로 바삐 아침상을 물렸다. 추운 날이기는 했지만, 오늘은 현사사玄沙寺에서 배원선과 밤을 새면서 술 한잔 할 요량이었다. 주위 사촌 형제들과 아들까지 대동하고 현사사에 도착을 했지만, 배원선은 갑자기 일 때문에 안동에 나가야 한다고 횡하니 가버렸다. 배원선이 급히 떠난 자리는 그의 둘째 동생이 대체하기는 했지만, 여간 섭섭한 것이 아니었다. 선방에서 기분 좋게 유숙하니, 12월 초하루 아침부터 벗들이 현사사에 찾아왔다. 아침 식사도 하기 전에 술 동이를 가져온 친구의 권유로 아침 술에 취해 버렸다. 정성스럽게 준비한 두부와 밥으로 아침 식사는 마쳤지만 취기는 쉬 가시지 않았다.
예안으로 돌아 온 뒤에도 술 기운이 남아 있었던지, 몇몇 사람들이 어제 먼저 간 배원선에게 약속을 어긴 죄를 물어 ‘제마수齊馬首’로 처벌한다는 편지를 보냈다. 배원선에게 보낸 편지는 술기운을 담아 장난으로 보낸 벌칙이었지만, 원래 제마수는 향약에서 자주 실시하곤 했던 벌칙 의례였다. 몇 년 뒤인 1626년 음력 윤6월 12일에는 경북 예천에 살았던 권별權鼈(竹所, 1589~1671)의 제마수 행사 기록이 있다. 같은 고을 사람인 신백순이 마을에 잘못을 범한 게 있어서, 그것을 사죄하는 의미로 제마수 행사를 개최했던 것이다.
‘제마수’라는 말을 한자 그대로 풀이 하면 “말의 머리를 나란히 하다”라는 뜻이다. 이 행사는 원래 생원과 진사를 뽑는 사마시司馬試 결과를 발표하면, 합격자들이 말을 타고 시내를 행진했던 것에서 유래했다. 합격자 가운데 형편이 넉넉한 사람이 합격자 전원에게 점심을 한 턱 내면, 그 사람은 그날 장원한 사람과 말 머리를 함께 한 채 행진할 수 있는 특권을 주었던 것이다. 한 턱 내기만 하면, 장원한 사람과 함께 제일 앞에서 말머리를 나란히 하고 행진할 수 있었던 것이다.
그런데 이 말이 이후 자치규약이나 향약 등에 오면서 ‘한 턱 내는 벌칙’을 의미하는 것으로 바뀌었다. 다만 그 벌칙 대상은 ‘한 턱 내는 것’으로 충분히 무마될 수 있는 비교적 가벼운 잘못에 한정했다. 잘못을 한 사람이 자기 잘못을 인정하고, 임원들이나 지역민들에게 한 턱 냄으로써 그 잘못을 용서받는 것이다. 따라서 제마수의 예는 우선 잘못한 사람이 자기 잘못에 대한 인정을 함으로써 시작된다. 잘못에 대한 인정은 사죄의 예를 생각하게 되면, 향약의 경우 유사에게 제마수의 예를 청하고, 유사가 그것을 받아들여 제마수의 예가 열리게 된다. 잘못한 사람은 우선 지역의 명망가와 나이가 70이 넘은 어른들을 일일이 찾아가 자기 잘못을 고하고, 제마수 행사에 참석을 청하곤 했다. 그리고 모든 회원들에게 참석을 부탁하는 글도 돌려야 했다. 1626년 권별이 참석한 제마수의 예는 이러한 순서에 따라 진행되었다. 비록 장난삼아 보내기는 했지만, 김령이 배원선에게 보낸 제마수는 ‘약속을 어겼으니 한 턱 내라’는 의미를 담고 있다.
그런데 이러한 제마수 행사를 곰곰이 생각해 보면, 참으로 재미있다. 이것은 벌의 수위가 낮은 가벼운 죄에 대한 지혜로운 처리의 과정이다. 잘못을 범한 사람에게는 잘못을 뉘우치고 책임 질 수 있는 기회를 준다는 측면에서는 분명한 벌칙이다. 같은 잘못을 다시 범하지 않도록 하는 것이다. 그런데 책임지는 구체적 방법이 바로 공동체가 결속할 수 있는 장을 열게 하는 것이다. 잘못한 사람이나 피해를 당한 사람 모두가 마음의 상처 없이 한 턱 내고 대접 받으면서 공동체의 결속을 강화할 수 있도록 했던 것이다.
예나 지금이나 사람들이 저지르는 잘못의 대부분은 큰 처벌을 필요로 하지 않는 가벼운 것들이다. 그런데 대부분의 공동체 해체는 이 같은 가벼운 잘못들을 지혜롭게 처리하지 못하기 때문에 발생한다. 잘못한 사람은 잘못에 대한 뉘우침이나 책임질 기회를 갖지 못해서 잘못을 지속하고, 피해를 입는 사람들은 그 사람과 관계를 깨는 방식을 선택하기 때문이다. 마음의 상처는 깊어질 수밖에 없고, 이것은 공동체를 내부에서부터 철저하게 해체시키는 결과로 이어지기 마련이다. 어떤 공동체도 가벼운 문제가 없을 수는 없다. 사소한 잘못들이 공동체의 해체로 이어지지 않도록 했던 제마수의 예를 다시 한 번 더 곱씹어 볼 필요가 있는 이유이다.
김령 , 계암일록(溪巖日錄)
1621년 11월 30일 맑음.
밥을 먹은 뒤 여희, 이실 형제, 요형 및 참 등과 현사사(玄沙寺)에 갔다. 배원선(裴元善)은 일 때문에 안동에 갔고, 그의 둘째 아우가 소식을 듣고 와서 선방에서 함께 잤다.
1621년 12월 1일 맑음.
아침에 류의언(柳宜彦)이 왔는데 어제 이실이 전한 말을 듣고 온 것이다. 의언 및 배 군이 모두 술을 가지고 와서 아침술에 취하였다. 술자리가 끝나고 밥 및 두부가 들어왔다. 밥을 먹은 뒤 의언은 안동으로 돌아가고 우리들은 오천(浯川)으로 돌아왔다. 돌아올 때 배원선이 약속을 어겼기 때문에 장난으로 글을 보내어 제마수(齊馬首)로 처벌한다고 했다.
시기 | 동일시기 이야기소재 | 장소 | 출전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