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간일기』는 권문해(權文海)가 47세부터(1580년 11월 1일)부터 58세(1591년 10월 6일)까지 쓴 일기로써, 2,187일에 대한 기록이다. 임진왜란 이전에 관료가 쓴 일기이기 때문에, 임진왜란 이전의 역사적 자료를 보완하는 중요한 자료로 평가받는다. 『초간일기』는 『실록』 편찬에 주요한 자료로 사용되기도 했으며, 1986년 보물 제879호로 지정되었다. 『초간일기』는 현재 경상북도 예천군 권씨 종가에서 소장하고 있다. 1990년대 후반부터 역사학을 비롯한 다양한 분야에서 일기를 본격적으로 연구하기 시작하였는데, 1997년 한국정신문화연구원에서 『초간일기』를 출판하기에 이른다. 이후 한국국학진흥원에서 2012년에 국역으로 펴냈고, 대중들에게 일기의 내용을 쉽고 재미있게 전달하기 위해 136건의 이야기 소재로 개발해 스토리테마파크에서 서비스하고 있다.
『초간일기』는 권문해의 일상생활에서 일어난 모든 일을 상세히 적고 있어 사대부들의 생활상을 엿볼 수 있게 한다. 특히 가족들과의 만남과 이별, 친구와의 교우 관계에서 느낀 감정과 소회를 생생하게 남겨 그 시대 누군가의 아들이자, 아버지, 남편, 친구로서 살았던 한 사람(남자)의 감성을 읽어내는 데 매우 유용하다. 또한 자신이 중앙의 관료직과 지방직을 지내면서 직무수행에 관한 여러 문제를 다룬 일기인 만큼 조정에서 일어난 일은 물론 지방관아의 기능과 관리들의 생활, 당쟁관련 인물 및 정치, 국방, 사회, 교육, 문화, 지리 등 전반에 걸쳐 살필 수 있게 해주는 아주 중요한 자료로 평가되어진다.
『초간일기』의 원본‧국역본
일기를 활용한 이야기 소재 구축 사이트
권문해의 자는 호원(灝元), 호는 초간(草澗)이며, 1534년 7월 28일 경북 예천군 용문면 죽림리(竹林里)에서 태어났다. 아버지는 (참의參議에 증직된) 지(址)이고 어머니는 동래 정씨 참봉 정찬종(鄭纘宗)의 딸로서 문학과 명절(名節)을 소중히 여기는 집안에서 태어나 가학적(家學的) 전통을 이어받았다. 그는 어려서부터 행동거지가 뛰어나 사람들이 “권씨 가문에 또 사람이 났다”고 하였다.
권문해는 19세에 향시에 장원을 하였으며, 23세 때인 1556년 퇴계 이황의 가르침을 받았다. 그는 1560년 별시 문과에 급제하고 이후 형조 좌랑, 예조 정랑 등 여러 관직을 거쳤으며, 지방관으로는 영천군수, 안동부사, 공주 목사, 대구 부사를 역임하였다. 1591년 사간원 사간 등을 거쳐 7월 승정원 동부승지가 되었고, 8월 좌부승지가 되었다. 그는 수십 년 동안 여러 관직을 거치면서도 당쟁에 휘말리기도 하였으나 청렴과 정직을 신조로 삼았으며 지방관으로 있는 동안에는 선정을 베풀어 고을 사람들로부터 칭송받았다. 또한 역사에 정통하고, 학문에도 밝았던 그는 단군에서부터 조선 명종 이전까지의 우리나라의 역사와 인물, 사회, 문학을 총망라하는 백과사전 『대동운부군옥(大東韻府群玉)』의 저자이다. 여기에서는 관료로서, 학자로서, 한 개인으로서 『초간일기』의 저자 권문해의 일면을 살펴보고자 한다.
권문해는 정치적으로 동인(東人)에 속한다. 그래서 이 일기에는 정파적 입장에 따라 동인계에 속하는 김효원․허봉 등의 입장과 서인계에 속하는 이이․성혼․정철 등의 입장이 달리 나타나 있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1583년 2월에 북방에 호란이 있었을 때 병조 판서 율곡 이이의 처사에 대하여 비판한다. 이는 오랑캐의 침입사건을 처리할 때 이이는 사림의 공론을 무시하고 독대를 청하여 동인들에게 비난을 받게 된다. 독대란 고위직에 있는 신하가 사관(史官)을 물리치고 임금을 혼자 만나 자신의 정견(政見)을 밝히는 제도지만, 공론을 무시한 독대는 폐단이 있을 수밖에 없다고 지적하였다. 평소 공론에 의한 정치를 강조했던 권문해는 가차 없이 자신의 정치적 입장에 의해 비판을 가하였다.
“병조판서 이이는 막 논계하여 추고하려던 중이었는데, 공론을 돌아보지 않고 언연(거드름을 피우며 잘난 체 함)히 예궐하였다.” (1583년 2월 16일)
1575년 시작된 동인과 서인의 갈등은 1584년 1월 16일, 서인세력의 정신적 버팀목이었던 이이의 갑작스런 죽음으로 동인은 큰 위기를 맞게 된다. 이이의 죽음의 탓을 동인에 돌리며 모함과 질타가 끊이질 않았고, 이에 선조는 조정의 주요 요직에 있는 동인을 지방의 외직으로 보낸다. 권문해는 이러한 상황을 매우 한스럽게 바라본다.
동인으로서 입장과 소신이 확실했던 권문해는 관료로서도 확고한 신념으로 일했는데, 그는 민심을 헤아리고 살피는 관리였던 것으로 보인다. 대구 부사로 부임해 활동하던 중 흉년으로 먹을 것이 부족하여 굶주린 사람들이 늘어 갔다. 그러자 권문해는 직접 마을을 돌아다니며 구휼 활동을 펼치는데, 사흘 넘도록 관아에 들어오지 않고 인근 지인의 집을 찾아 신세를 지고 새벽부터 밤까지 이어간다. 권문해는 마을을 순회하며 쌀과 소금, 간장을 나누어주었다. 흉년으로 온 나라가 어려워 특별한 대책 마련이 어려웠던 권문해는 발품을 팔아 직접 사람들을 만나는 정성으로 민심을 돌보았던 것으로 보인다.
“『대동운부군옥[大東韻府群玉]』 정서(正書) 작업을 27일부터 시작하였다.”
(1587년 10월 30일)
1587년 10월 27일, 권문해는 드디어 오랫동안 공부하고 준비했던 일을 시작한다. 그것은 바로 우리나라의 역사, 지리, 문학, 인물, 식물, 동물 등 총망라한 백과사전의 집필이다. 그는 공부를 시작한 이후, 조선 선비들이 중국 역사에 대해서는 상세히 알고 있으면서도 정작 우리 역사에 대해선 문외한인 현실을 한탄하였다. 권문해는 차근차근 우리의 역사와 문화를 정리하고 체계적으로 보여주리라 각오한다. 권문해는 조선[大東]의 여러 귀중한 것들[群玉]을 운(韻)의 순서대로 배열한 책[韻府]이라는 뜻을 담은 “대동운부군옥(大東韻府群玉)”이라 책이름을 정하고 본격적으로 집필을 시작한다. 그리고 8년 후, 완성시킨다. 이 책을 집필하기 위한 준비과정이 일기 곳곳에 남아 있는데, 난생 처음 본 공작새를 보고 남긴 기록은 읽는 이에게 마치 공작새를 눈앞에서 보고 있는 듯 세밀하고 정갈하게 정리된 느낌을 준다.
“공작새는 마치 꿩 같은데, 크기는 강가에 있는 학과 같았다. 온 몸은 푸르고 검으며 사이사이 무늬가 있었다. 긴 꼬리는 묵은 깃이 털갈이를 한 것이고 새로 나온 것은 아직 길지 않았다. 9~10월에 이르면 길이가 서너 자쯤 되는데, 얼룩무늬가 다 드러난다고 하였다. 정수리 뒤에도 긴 털이 있고, 해오라기의 정강이와 닭의 부리를 하여 병풍 속에 그려진 그림과 대체로 비슷하였다. 먹는 것은 벼와 기장, 개구리와 게, 지렁이와 벌레로부터 오이·수박, 술과 밥 등 먹지 않는 것이 없었다. 암컷은 무늬가 없고 긴 꼬리도 없다.” (1589년 7월 13일)
『대동운부군옥』 초고본
1589년 7월 13일 권문해가 본 공작새는 일본 국왕의 사신으로 조선을 방문한 현소(玄蘇)가 임금에게 바치기 위해서 가져온 것으로, 그림으로 보았던 공작새를 실제 볼 수 있는 기회를 놓치지 않았고, 아주 세밀하게 기록하였다.
『초간일기』에 실린 여러 편의 시에서 권문해는 고향으로 돌아가고 싶은 심정을 읊고 있다. 여러 지역의 지방관을 역임하면서 고향을 떠나 살아야했던 그는 타향에서의 외로움을 일기에 고스란히 담았다. 1580년 11월 29일, 눈발이 흩날리는 밤, 공주목사 권문해는 텅 빈 관아에 홀로 앉아 시를 읊었다. 그는 목사로서 관아의 주인이었으나, 한편으로는 고향을 떠나 낯선 땅에 온 심상으로 ‘객이 되어 읊는다[客中卽事]’며 다음과 같은 시를 지었다.
눈발은 먼 산에 흩날리는데
하늘 끝에는 얼어붙은 구름이 머물러 있네
얼음 밑에는 어룡이 몸을 웅크려 있고
숲속에는 참새가 추위에 떨고 있네
이불 뒤집어쓰고 있으려니 바람은 지게문을 때리고
밥을 훔치려는 쥐새끼는 밥상 위로 오르네
반달은 공산(公山)의 관아를 비추는데
부질없이 거울 속 얼굴만 시들어가네
1582년 1월, 권문해는 옥에 갇혀 있던 죄수의 탈옥 사건(1581년 9월 23일)으로 공주 목사에서 파직되어 고향으로 돌아온다. 고향이 그리웠던 권문해는 파직이 한편 반갑기도 했다. 그는 예천으로 돌아오자 바로 자신의 호를 딴 정사, 초간정사(草澗亭舍)를 짓기 시작한다. 오랜 관직 생활에 지쳐 있었던 권문해는 고향에서 자연을 벗 삼아 살고 싶었다. 조선시대 선비들은 경치 좋은 곳에 단을 높이 쌓고, 마루가 넓은 누정을 지었다. 누정은 선비들의 공간이자, 남자의 공간이었다. 좋은 벗을 만나 술과 시를 나누기도 하고, 깊은 사색과 사유에 빠져들기도 했다. 1582년 2월 26일 권문해는 초간정사를 완성한 이후, 매일 같이 그곳에서 생활한다. 실로 그에게는 꿈꾸어 오던 쉼터의 역할은 한 듯하다.
봄의 초간정사 모습
이상의 몇 가지 기록을 통해 권문해와 그가 쓴 『초간일기』의 진면목을 드러낼 수는 없다. 분명한 것은 기록은 기억을 이어주고, 시대와 시대를 연결한다는 것이다. 권문해는 그의 삶 속에서 잊고 싶지 않은 순간을 기억하기위해, 특별한 감정을 훗날 잊지 않기 위해 일기를 썼을 것이다. 권문해는 2,187일의 기록을 통해 400여 년이 지난 지금 무엇을 기억하고, 말하고 싶었던 것일까? 그가 없는 지금, 그것이 가진 의미를 해석하는 것은 이제 우리의 몫일 것이다.
시기 | 동일시기 이야기소재 | 장소 | 출전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