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계 경제 불황으로 실직과 퇴사가 거듭되고 있습니다. 사회에 첫발을 내딛는 젊은이들은 취업을 위한 준비에서부터 포기와 좌절을 경험하고 직장인들은 평생고용이란 단어를 잊은 채 투잡과 쓰리잡을 뛰기도 합니다. 이 같은 현상은 38세 직장인들이 평균 10~14개의 직업을 가지는 경험을 한다는 조사 결과로 나타나기도 했습니다.
이처럼 평생 직업이라는 의미가 사라진 지금은 일과 관련된 자아에서 삶과 관련된 자아로 패러다임이 전환되는 시대입니다. 이러한 시대 속에서 저희 웹진 담談은 “직업이 무엇이오”라는 주제로 조선시대의 직업에 대해 준비했습니다. 신분제 사회인 조선에서도 형성되었던 전문 직업들을 살펴보며 직업의 사회적 역할에 대해 고민하는 계기를 마련하는 기회가 되었으면 좋겠습니다.
박종천 선생님은 〈‘직업(職業)’의 세계, 그 오래된 미래〉에서 유교 사회에서 직업이 갖는 의미와 가치사슬이라는 관점에서 조선시대 사(士), 농(農), 공(工), 상(商)의 사민(四民)의 직업 체계에 대한 글을 펼쳐 주셨습니다. 조선시대 유교 사상과 문화를 중심으로 연구해 오신 관점에서 ‘생존에서 보람을 거쳐서 즐거움으로 나아가는 직업의 세계’란 어떤 의미를 갖는지에 대한 내용을 담아 주셨는데요. 격변하는 직업 생태계의 맥락에 대한 냉철한 판단과 온고지신(溫故知新)을 기반으로 ‘직업이라는 오래된 미래’를 성찰하는 지혜를 가져다 줄 것입니다.
장경희 선생님은 〈조선 시대 유행을 이끌어간 패션 디자이너, 조선의 여성 장인〉에서 조선 왕실의 패션 아이템에 종사한 여성 장인에 대해 이야기해 주셨습니다. 조선 시대 여성 장인은 침선비(針線婢), 수비(繡婢), 봉조비(縫造婢), 염모(染母), 수모(首母), 진소장(眞梳匠), 양태장(凉太匠), 모의장(毛衣匠), 복완재작장(服琬裁作匠), 상화장(床花匠) 등이 존재했는데요. 이들은 왕실과 관련된 일은 물론이고 민간에서도 자신들의 역할을 톡톡히 해냈습니다. 이 글을 통해 K-컬처의 뿌리가 되는 조선의 여성 장인들의 활동을 눈앞에서 관찰하는 경험을 할 것입니다.
서은경 작가님은 〈사방탁자〉에서 작은 가구들을 만들던 소목장(小木匠) 장인들이 어떻게 솜씨를 깃들여 가구를 만들었는지에 대해 그려주셨습니다. 금난수(琴蘭秀)가 지은 『성재일기(惺齋日記)』를 기반으로 사방탁자가 주문되어 필요한 집에 오랫동안 사용되는 과정을 재미있는 웹툰으로 보여 주십니다.
이수진 작가님의 〈세월이 흐르고 노래의 흐름도 변하고〉에서는 '스웨그 에이지: 외쳐 조선!' 속 시조꾼들이 꾸미는 멋진 무대를 소개해 주십니다.
이문영 작가님의 비야의 사건일지는 〈책 읽어주는 여자〉로 이어집니다. 이번 일지에서도 산비는 관아에 들른 오빠 정훈과 연서 사건으로 내쫓긴 똘똘한 하녀 채비의 사이를 파헤치며 재미난 이야기들이 펼쳐집니다.
‘스토리 이슈’에서는 지난 해 11월 22일 시작되어 올해 5월 28일까지 한국국학진흥원 유교문화박물관에서 특별전으로 열리고 있는 〈빙옥처럼 깨끗하고 화살처럼 곧아라〉를 소개합니다. 이번 전시는 한양조씨 옥천문중에서 기탁한 자료를 통해 기탁 자료의 소중한 가치를 소개하는 자리입니다. 옥천문중은 지조와 절의로 상징되는 옥천 조덕린(玉川 趙德鄰, 1658~1737) 선생을 중심으로 합니다. 조덕린 선생의 강직함을 보여주는 「을사십조소(乙巳十條疏)」를 비롯하여 조덕린 선생의 신원을 촉구하는 후손들의 통문(通文) 등을 만나 볼 수 있는 전시에 웹진 독자 여러분들을 초대합니다.
조선 후기 현실 개혁을 주장한 실학자들은 신분제적 직업관보다는 개인의 재능과 지식에 따른 사회 분업 관점에서 직업을 바라보았습니다. 혼돈이 일상화되는 경제 생태계에서 새해를 맞은 웹진 담談의 독자님들이 조선의 직업과 선인들의 모습에서 통찰을 얻기를 바라는 마음을 담아 다산 정약용이 『여유당전서(與猶堂全書)』에서 밝힌 직업에 대한 내용을 정리하여 배달합니다.
“농사짓는 사람은 땅을 얻어 곡량을 얻게 되고, 공장(工匠)은 기구(器具)로서 곡식을 바꾸어 상인은 물화로서 곡식을 바꾸는 것을 해로울 바 없다. 놀고서는 곡식을 얻을 수 없음을 알게 되면 아침에는 들에 나가서 밭을 갈고 밤에는 돌아와서 자제를 가르치고 옛사람의 글을 읽을 것이다. 밥이 귀한 것이나 백성 모두를 농사로 돌리면 곤란해져서 죽게 될 뿐이다. 장인이 쇠, 나무, 질그릇, 기와, 벽돌을 다음을 만들고 상인이 재화를 유통시키고, 우인(虞人)이 산에 나무를 심고 새나 짐승을 번식하고 여인들이 명주실과 삼, 칡, 모시의 실을 다듬어야 구성원 모두 삶이 원만하며 어떤 직업이든 중요하지 않은 직업이 없다.”
미상, 봉강영당이건일기, 1862-06-03
1862년 6월 3일, 기와장이[瓦匠]에게 지붕을 덮게 했는데, 이 일을 5일만에 마쳤다. 마친 날이 1862년 6월 3일이다.
미상, 봉강영당영건일기, 1866-05-01
1806년 4월 2일에 화공승(畵工僧) 2명을 시켜서 단청을 하기 시작했는데, 전후로 30여 일이 지나서 일을 마쳤다.
시기 | 동일시기 이야기소재 | 장소 | 출전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