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바로가기본문 바로가기


아내를 묻고 돌아오다


1740년 7월 7일, 견우와 직녀가 만나는 칠석이라 그런가 새벽부터 많은 비가 내렸다. 부인동 동약소의 상여꾼들을 새벽부터 불러 날이 개기를 기다렸다가 발인할 계획이었다. 아침밥을 먹고 난 뒤 비가 개니, 상여꾼들이 모두 와서 발인하기를 청하였다. 발인을 보기 위해 최광석씨, 류상일, 이항좌 등 평소 최흥원과 깊이 교유하던 이들이 찾아왔다.

비가 개어 발인을 하려 하였으나 문제는 또 있었다. 새벽에 워낙 많은 비가 내린 탓에 강물이 불어났던 것이다. 사고가 날까 우려했던 진장이 아전과 사령 한 명을 보내와서 상여를 호송하도록 하였다. 진장의 배려가 무척 고마웠다.

강물이 잦아들기를 기다리니, 결국 하루를 넘길 무렵인 자시에 발인하였다. 부슬비가 다시 내리기 시작하여 상여가 비를 맞으며 장지로 이동하였다. 용암 마을에 당도하였는데, 구름과 안개가 자욱하게 끼고 비가 더욱 세차게 쏟아 붓는 것처럼 내려서 횃불이 꺼지기에 이르렀다. 사람과 상여가 서로 길을 잃어버릴 지경이어서 결국 인근 나무 밑에서 비를 피하며 날이 밝기를 기다렸다. 우여곡절 끝에 비가 그치고 날이 밝으니 겨우겨우 묘에 당도하였다.

묘에 당도한 시각이 이미 늦어서 서둘러 하관하였다. 살아서도 고생만 하더니, 죽어서 묻히는 날까지 날씨에 이토록 고생이라니. 최흥원은 땅 밑으로 내려가는 아내의 관을 바라보며 고달픈 아내의 일생이 생각나 콧잔등이 시큰해졌다. 이제 부디 편히 쉬시오. 최흥원은 마지막 인사를 건냈다.

출전 : 역중일기(曆中日記)
저자 : 최흥원(崔興遠)
주제 : ( 미분류 )
시기 : 1740-07-07 ~ 1740-07-08
장소 : 대구광역시
일기분류 : 생활일기
인물 : 최흥원, 최광석, 류상일, 이항좌

관련자료링크  더보기


노비들의 계모임과 싸움,
하늘 두려운 줄 모르고 사건을 조작하다


1607년 5월 22일, 우리 집 종들이 계모임을 만들어 환난을 당했을 때 서로 돌보아 주곤 했다. 지난 달 그믐쯤에 이동이 그의 계집 상을 당했다. 이동은 오랫동안 호적에 들어 있어서 종과 다름없기 때문에 그도 계에 들었다.

그들은 계모임에서 각자 힘을 보태 서로를 도와주었는데, 장례를 치른 후 무명이 남아 그것을 술로 바꾸기로 하여 모이게 되었다. 모인 자들은 모두 계원이라 다른 사람은 참여할 수도 없었다.

그런데 어젯밤에 봉춘네 집에서 모였는데, 국룡이라는 자가 이웃에 사는 안월의 서방을 불러 모임에 참여하도록 했다. 안월의 서방 줏동이라는 자는 평소에 술주정이 있었는데, 이날 밤에 역시 취해서는 갑자기 옷을 벗어 한귀동에게 던지면서 둘이 싸움이 붙었다. 싸움이 붙자 줏동의 계집이 또한 좇아오는 둥 형세가 아주 요란스러워졌다.

우리 집 종들 중 몇 명이 뜯어 말리니 그 자는 더욱 난폭해졌다. 어젯밤의 시끄러운 소리는 바로 이 사건이었다.

이날 아침에 안월의 아비라며 수천이란 자가 와서, “어젯밤에 수년이 등 4명이 우리 사위를 마구 두들겨 패는 바람에 내 딸의 6개월 된 태아가 낙태되었다.”고 했다. “그 낙태된 아이가 이미 아들인지 딸인지 구별이 가능할 정도여서, 장차 관에 고소하고 동네에 고발할 것이다.”라고 했다.

김령은, “네가 하고 싶은 대로 해라.”라고 말했다.

그런데 자세히 들어보니, 수년은 실제로 뜯어 말려 구해 준 자였고, ‘마구 두들겨 팼다’는 말도 모두 거짓으로 꾸며낸 말이었다. 또 한 가지 사실을 들으니 더욱 한심했다. 그의 딸 안월이, “나는 본래 아이를 밴 적도 없는데 어디서 이런 말이 나왔소?”라고 말했다. 아니, 갖지도 않은 아이가 낙태가 된단 말인가? 무고하여 살인 사건을 만들고, 이웃을 심하게 해치려 했으니 그가 꾸민 계책이 참으로 참혹하기 짝이 없다.

아! 하늘이 내려다보고 있건만 이처럼 놀라운 일을 뻔뻔스럽게도 조작하다니, 하늘이 두렵지도 않은 걸까.

윤6월 2일, 아침에 지난번 술주정으로 서로 싸운 일 때문에 잇달아 사람을 보내 유사를 재촉해서 동네 사람들이 사첨(士瞻)의 집에 모이게 되었다. 수년과 청산을 각각 볼기 50대를 치고, 묵은 감정 때문에 진수를 곤장치려고 제천 표숙에게 극렬하게 간청했다. 하지만 들어주지 않자 저들이 또 헛된 말로 무고하기를, 진수가 멀쩡한 소를 죽였다고 했다.

제천 표숙이 전에 동네 상것들이 사사로이 소를 잡고도 양반에게 알리지도 않으면 반드시 벌을 주었다. 그러므로 이것을 빙자해서 계책을 꾸며 기어코 죄에 빠뜨리려는 것이었다.

출전 : 계암일록(溪巖日錄)
저자 : 김령(金坽)
주제 : 신분, 노비 계모임, 사건 조작
시기 : 1607-05-22 ~ 1607-06-02 (윤)
장소 : 경상북도 안동시
일기분류 : 생활일기
인물 : 김령, 수천, 이동, 봉춘, 국룡, 안월, 줏동, 한귀동, 수년, 청산, 진수, 제천 표숙

관련자료링크  더보기




집필자 소개

글 그림 | 권숯돌
권숯돌
1972년 부산에서 태어났다. 방송작가 일을 하다가 이십대 후반에 심리학을 공부하러 일본으로 와서는 지금까지 눌러살고 있다.
글과 그림으로 소통하는 일을 좋아한다.
2019년 다음웹툰에 연재된 독립운동가 윤희순 선생의 일대기 <희순할미> 스토리를 썼다.
“존애원, 그 탄생의 시초”

이준, 존애원기, 미상

1598년, 임진왜란은 겨우 끝났다. 그러나 전란이 수습되기도 전에 정치는 또다시 붕당의 세력 싸움으로 정국이 흘러가고 있었다. 정경세(鄭經世), 그는 관직에 몸을 담고 있었지만 그 역시 붕당의 세력 싸움에 밀려, 아니 정인홍(鄭仁弘)에 밀려 조정에서 쫓겨났다. 무엇보다 서애 류성룡도 탄핵을 받고 있었고, 그 역시 사직소를 올리고는 고향으로 돌아왔다. 류성룡과 정경세는 사제지간이었다. 정경세는 스승의 탄핵을 막지도 못하고, 자기 역시 스승과 함께 탄핵을 받았다. 스승 류성룡은 조정에 나갈 생각 없이 고향인 안동 풍산에 낙향하였다. 그래서 정경세 역시 사직상소를 올리고는 고향으로 돌아왔다. 1598년 겨울, 정경세는 다시 청송부사(靑松府使)에 임명되었다는 교지가 내려졌지만 벼슬자리에 나가지 않았다. 이후 또다시 벼슬이 내려졌지만 그저 고향 상주에 머물며 마음을 가다듬을 따름이었다.
하지만 아무리 정치를 떠나 있어도 백성을 사랑하는 마음은 변할 수 없었다. 더군다나 조정에서 이미 녹을 먹었던 것에 크나큰 책임감을 느끼고 있었다. 그는 비록 유학자였지만 보살과 같은 자비심을 지녔고, 세상을 경영하여 백성들을 구할 포부를 지니고 있었다.

“존애원을 설립하다”

이준, 존애원기, 미상

정경세(鄭經世)와 성람(成覽)은 의국(醫局, 의료원)을 세워 각기 약재의 수급과 진료를 맡았다. 우선 정경세는 약재의 수급을 맡았다. 다행히 도와주는 사람들이 있었다. 도와주는 사람들은 이른바 낙사계(洛社契)의 사람들이었다. 낙사계란 명망 있는 선비들의 모임이다. 정경세는 낙사계를 위한 글을 쓰기도 하였다. 낙사계에 모인 사람은 거의 서른 명이나 되었다. 여기에 모인 사람들은 정경세가 의국을 세워 백성들을 구제하겠다는 뜻에 모두 동의하였다. 그들은 각기 쌀과 포를 내었다. 이것이 의국을 운영하는 기본 자금이 되었다.
정경세는 이를 이용하여 우선 노는 일손부터 모았다. 정경세는 그들로 하여금 우리나라에서 나는 약재들을 채집하게 하였다. 정경세는 또한 중국 약재를 구할 방안을 마련하였다. 중국 약재는 무역을 통해서만 얻을 수 있었다. 정경세는 쌀과 포로 중국과 무역을 하여 이를 마련코자 하였다. 일은 순조로웠다. 얼마 지나지 않아 우리나라 약재는 물론 중국의 약재까지 마련되었다.
약재가 그럭저럭 마련되자 이를 보관하고 출납할 장소가 필요하였다. 정경세는 낙사계로부터 모은 종자돈으로 약재 보관 창고를 지었다. 그리고 성람은 병자들을 진료하기 시작했다. 의국에 대한 소문이 퍼지고 퍼져 진료 받으려는 병자들이 몰리기 시작했다. 찾아오는 병자들이 북적였지만 그들을 수용할 공간이 없었다. 정경세는 그들을 위해 다시 집을 짓기 시작했다. 집이 완성되자 이곳은 병사(病舍, 병자들이 머물며 치료를 받는 병동)로 바뀌었다. 이곳에서 성람은 꾸준히 병자들을 진료하였다.

“노비들의 계모임과 싸움, 하늘 두려운 줄 모르고 사건을 조작하다”

김령, 계암일록,
1607-05-22 ~ 1607-06-02

1712년 4월 5일, 박권(朴權)은 아침 일찍 출발하여 함관령을 넘었다. 그런데 고갯길이 높고 가파른 것이 철령보다 훨씬 더했다. 도중에 교체되어 이동하는 길주부사 박내경(朴來卿)을 만나 매우 기뻤다. 함원참에서 점심을 먹고 저녁은 홍원현에서 유숙하였다. 이 날은 70리를 갔다. 객사의 벽에 지천(芝川) 황정욱(黃廷彧)과 택당(澤堂) 이식(李植) 등 여러 사람의 천도(穿島)를 읊은 시가 걸려 있었다. 사람들에게 물으니 천도는 홍원에서 동쪽으로 5리쯤 가면 있다고 하여 즉시 가마를 타고 갔다.
이른바 천도는 포구 가에 긴 둑이 있어 가로로 길게 뻗어 있었다. 그런데 둑 가운데 굴이 하나 있었으며, 그 굴은 사방이 다 암석이었다. 한편으로 맷돌에 구멍이 패인 듯하여 대문과 같았으며, 높이는 30자, 폭은 40자 정도였다. 바닷물이 밀려오고 밀려나가는 것이 참으로 특이한 구경거리였다. 조금 남쪽으로 대가 하나 있는데 평평하고 넓어서 수백 명이 앉을 수 있다. 앞으로는 큰 바다가 끝없이 펼쳐져 있고, 좌우로는 12개의 섬들이 고리처럼 둘러있다. 그 중에 가장 기이하게 생긴 섬이 주도(珠島)라고 하였다. 시를 읊으며 오래 즐기고 돌아와서 지천 황정욱의 시에 차운하여 시를 지었다.
어떤 기생이 시 두루마리[詩輔] 4권을 올리면서 자기는 옛 기생 조씨의 손녀라고 하였다. 대개 참의 윤선도(尹善道)가 광해군 때 상소로 인해 북쪽에 유배되었는데, 기생 조씨가 술을 갖고 와서 위로하여, 이때 말하고 침묵하는 사이에 시대를 비난하는 뜻이 있으니, 윤선도가 5언시 1절을 지어 주었으며, 백사(白沙) 이항복(李恒福)이 북청에 유배되었을 때에 또한 7언시 한 수를 지어 주었다고 한다. 그 후 여러 사람이 그 시에 화답하였다. 박권도 재주 없음을 잊고 그 시 두루마리 끝에 차운하여 시를 지었다.

“달빛이 밝은 어느 여름날, 모두 모여 마을 공금으로 빚은 일곱병의 술을 마시다”

김령, 계암일록, 1605-07-14

1605년 7월 14일, 김령의 동네에서는 오늘 양정당(養正堂)에서 모임을 가졌다. 얼마 전에 마을 공금으로 술을 빚었기 때문이다.
술이 일곱 병, 참석한 사람은 열네 명이었다. 권인보(權仁甫)도 와서 참여했다.
낮엔 흐리고 비가 내렸지만 저녁에는 날이 개고 달빛이 밝았다.

닫기
닫기
관련목록
시기 동일시기 이야기소재 장소 출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