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바로가기본문 바로가기

나무판에 새긴 이름, 편액

선조의 유훈(遺訓),
독서종자실(讀書種子室)

인간이 탄생함에 있어 죽음은 피할 수 없는 숙명적인 단어입니다. 그래서 인간에게 죽음은 항상 슬프고 무서운 것입니다. 또한 젊은 시절과 비교하여 한 없이 나약해진 모습으로 죽음을 기다리는 인간은 한없이 초라해 보이기까지 합니다.

그렇다면 조선시대 선인들은 죽음을 어떻게 생각했을까요? 선인들은 자기가 맡은 일을 열심히 하다 떠난다면 남겨진 후손의 마음속에 영원히 기억되어 죽음이 두렵진 않았다고 합니다. 그들은 죽음을 막연한 두려운 대상으로 생각하지 않았습니다. 자신의 삶을 정리하고 유훈을 통해 후대에도 계승하기를 희망하였습니다.

이번 이야기는 자신이 닦은 학문을 유훈을 통해 후대에 계승하고자 했던 편액을 조명하고 선인의 일화를 통해 우리에게 교훈으로 삼고자 합니다. 응와(凝窩) 이원조(李源祚, 1792~1871)의 유훈이 담긴 ‘독서종자실’ 편액은 경상북도 성주군 한개마을에 건립한 응와종택 사랑채에 걸려있습니다. ‘독서종자’는 ‘글을 읽는 씨앗’이 되라는 의미입니다. 응와 이원조가 할아버지 이민겸의 자녀 교육과 집안 대대로 전해 오는 학문을 기념하고 자손들의 글 읽는 소리를 기대하며 건 편액입니다.

조선시대 웰-다잉(Well-Dying)이라는 주제를 맞이하여, 선조의 유훈 ‘독서종자’라는 가르침을 대대로 실천한 성산이씨 응와종가의 이야기를 시작하겠습니다.


개국공신의 씨앗, 성주군에 뿌리 내리다



경원사(景源祠) (출처: 성산이씨대종회)


경북 성주군은 성산이씨의 성역이자, 1천여 년 이상 터 잡고 살아온 곳입니다. 성주읍 경산동 324번지의 성산재(星山齋)에는 성산이씨 시조 이능일(李能一)의 위패를 모신 경원사(景源祠)가 있습니다. 그는 12년 동안 태조 왕건을 도와 후삼국 통일에 수훈을 세워 개국공신(開國功臣)이 되었습니다. 고려 건국 후 태조왕건의 딸 정순공주와 결혼하여 임금의 사위가 되었고, 벼슬은 정1품에 해당하는 사공(司空)에 이르렀습니다. 성산재 안에는 그가 물을 마셨던 우물이 그대로 보존되어 있습니다.


한개마을 전경 (출처: 한국국학진흥원)


응와종택 북비(北扉) (출처: 경북나드리)


성주군에 위치하는 한개마을은 영남지방에서 안동 하회마을과 경주 양동마을에 이어 세 번째로 민속마을(국가민속문화재 제255호)로 지정되었습니다.

한개마을은 1445년에 이우(李友, 1905~1950))가 처음 들어온 이래로 현재까지 성산이씨 집성촌을 이루고 있습니다. 이 마을을 빛나게 한 인물은 조선 영조 때 사도세자의 호위무관이었던 돈재(遯齋) 이석문(李碩文, 1713~1773)입니다. 1762년 사도세자가 갇혀 있는 뒤주 위에 영조가 이석문에게 큰 돌을 올려놓으라고 지시하자 “신은 죽더라도 명을 받들 수 없습니다.”라고 하였습니다. 지시를 어긴 이석문은 이튿날 곤장 50대를 맞고 벼슬을 강탈당한 뒤에 고향인 성주로 돌아왔습니다. 그는 고향으로 돌아온 뒤에도 절의(節義)를 지키며 살았습니다. 노론 인사들이 집 앞을 지나자 남쪽으로 있던 문을 뜯어 북쪽으로 옮기고 사도세자를 향한 그리움을 달랬다고 합니다. 그때부터 북문은 북비(北扉)라 편액하고 이석문의 의리와 지조를 상징하게 되었습니다.



선조의 가르침을 실천하다



만귀정(晩歸亭) (출처: 한국국학진흥원)


한개마을 성산이씨 집안은 대가 끊이지 않고 가학을 이어가며 후손이 대성하길 원했습니다. 이석문 이후 응와 이원조에 이르기까지 두 아들이 양자로 나가고 양자로 들어와 두 집의 가계를 계승했습니다. 이원조도 큰 집의 대를 잇기 위해 이규진의 양자로 들어갔습니다. 이러한 관계에서 할아버지 이민겸(李敏謙, 1736~1807)의 엄격한 자손 교육에 따라 아버지와 아들, 삼촌과 조카가 스승과 제자가 돼 학문에 힘썼습니다. 그 결과 아버지 이규진(李奎鎭, 1763~1822)에 이어 이원조도 문과에 급제했습니다.

그들의 가르침에 바탕으로 아들과 손자들은 가족 간의 교육을 통해 집안 대대로 학문을 전승해 학문과 덕행으로 이름을 알렸습니다. 이원조는 1809년에 18세로 문과에 급제해 좌부승지, 군자감 정, 병조 참판 등의 내직과 제주 목사, 경주 부윤 등의 외직을 거쳤습니다. 만년에는 성주군에 만귀정을 세워 학문 연구와 후학 양성에도 힘썼습니다. 이처럼 이원조는 20대 초반부터 1871년 세상을 떠날 때까지 60여년을 내직과 외직에서 종사하면서 수많은 학자들과 교류하며 많은 서적을 남겼고 후학을 양성하며 강학활동을 하였습니다.

이원조의 후손으로는 조카 한주(寒洲) 이진상(李震相, 1818~1886)이 있습니다. 그는 이원조의 학문과 성산이씨의 가학을 계승하였습니다. 나라에서 여러 차례 벼슬에 임명하였으나 일체 나가지 않았으며, 수많은 저술을 하여 퇴계 이황, 율곡 이이, 화담 서경덕, 노사 기정진, 녹문 임성주 등과 함께 조선 이학육대가(理學六大家)로 알려져 있습니다. 또한 이원조의 손자 이관희(李觀熙, 1824~1892)가 있습니다. 그는 의금부 도사에 제수되었을 때 사람을 대할 때에는 정성을 다하여 모두가 그의 덕에 감탄하여 ‘살아있는 부처[活佛]’라고 하였습니다. 이에 해당하는 일화는 1894년 동학당이 마을을 약탈하자 몸소 그 소굴에 가서 의로써 무리들을 깨우치니 모두 감복하여 스스로 멈췄다고 합니다. 그 외 한주 이진상의 아들이자 독립운동가인 대계(大溪) 이승희(李承熙, 1847~1916)가 있습니다. 그는 유림의 일원으로서 을사조약을 반대하다 옥고를 치렀고, 1913년부터는 중국에서 한국의 자주 독립운동을 역설하다 병으로 사망했습니다. 이에 정부는 1977년 그에게 건국훈장 대통령장에 추서했습니다. 이처럼 선조의 가르침을 바탕으로 학문과 덕행으로 이름을 알리는 인재들이 많이 배출된 것은 가문의 영광이라 할 수 있습니다.


글을 읽는 씨앗이 되라, 독서종자(讀書種子)



사랑채에 걸린 ‘독서종자실‘ (출처: 부산일보 2018.09.05)


독서종자실(讀書種子室) / 82.5x24.3 / 예서 / 성산이씨 응와종택 (출처: 한국국학진흥원)


아, 사람이 책을 읽지 않을 수 없으니, 아비가 전하고 아들이 계승함이 끊어지지 않는다면 비로소 ‘종자(種子)’라는 이름을 저버리지 않을 것이다. 뜻을 돈독히 하고 힘써 실천하여 서책에서 옛 도를 찾아 참으로 ‘독서(讀書)’라는 이름에 부끄러움이 없도록 하는 것은 또한 각자의 노력에 달린 것이다. 이에 기록하여 후손들을 기다린다.

출처: 「독서종자실기」, 『응와선생문집』


편액의 의미를 알면 선현들이 지향했던 삶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응와종택 사랑채에 걸린 ‘독서종자실’은 이원조의 유훈을 담은 편액으로, ‘독서종자’는 대대로 글을 읽는 씨앗이 되라는 의미입니다. 그의 할아버지 이민겸의 자녀 교육 및 가학을 기념하고 자손들의 글 읽는 소리를 기대하며, 아들과 손자들은 모두 이를 받들어 학문 정진과 자녀 교육에 힘쓰라는 것입니다.

조선시대 선비들은 죽음에 직면하면 크게 슬퍼하거나 암울해하지 않았다고 합니다. 오히려 담담히 자신의 삶을 정리하고 이를 유훈으로 남겨 후대에 전승해주기를 바랬습니다. 응와 이원조는 선조의 가정교육에 감사함을 보답하는 동시에 후손에게 가법(家法)으로 오랫동안 전승되기를 바라는 마음으로 ‘독서종자’라는 유훈을 남겼습니다. 그가 죽음을 막연한 두려운 대상으로 보지 않고 가학을 전승하는 태도를 보여 주는 대목입니다. 현재 우리는 죽음이라는 단어를 누군가는 가깝게 느낄 것이고 누군가는 멀게 느껴지는 단어입니다. 그렇지만 모두가 받아들여야하는 숙명이기도 합니다. 응와 이원조가 죽음에 다다랐을 때 남긴 유훈을 통해 우리는 어떠한 마음가짐으로 죽음을 받아들여야 하는지 생각하는 시간이 되었으면 좋겠습니다.




정      리
김광현 (한국국학진흥원)
자      문
권진호 (한국국학진흥원)
참      고
유교넷(http://www.ugyo.net)
전통과 기록(http://portal.ugyo.net)
스토리테마파크(http://story.ugyo.net)
한국의 편액(http://pyeonaek.ugyo.net)
정기기획전도록-군자유종, 선비의 죽음(한국국학진흥원)
한국국학진흥원 국학자료목록집14-성산이씨 응와종택(한국국학진흥원)
“양반 부인의 상을 치른 비부(婢夫)”

노상추, 노상추일기,
1773-10-08 ~ 1773-10-10
겨울로 접어드는 10월, 하천(下川)의 족증조모 이씨(李氏)가 별세하였다. 올해 80세가 되었는데 곁에서 가까이 모시는 자식이 없이 쓸쓸하게 살고 있었고, 결국 임종을 한 자식도 하나 없었다. 친족들은 모두 원래 자식이 해야 하는 발상(發喪)은 누가 해야 하나 하고 고민하고 있었는데, 그러던 차에 비부(婢夫) 복삼(福三)이 머리를 풀고 나타나 상차(喪次)에서 망자를 부르며 통곡하기 시작하였다.
복삼이는 세 살 때 부모를 모두 잃었다. 그를 불쌍하게 여긴 이씨 부인이 그를 거둬 키웠는데, 복삼이는 길러준 은혜를 잊지 않고 자식이 부모를 모시는 도리를 다하기 위해 상차에 자리하여 곡을 한 것이었다. 처음에는 천한 비부가 양반 부인의 장례에서 상주 노릇을 한다며 끌어내려하던 사람들도 이와 같은 사정을 듣고는 복삼이를 기특하게 여기며 천성이 아름답다고 칭찬하였다. 하지만 복삼이는 신분이 달랐기에 이씨 부인의 수양아들로 인정받을 수 없었고, 부모를 잃은 자식이 입는 상복도 입을 수가 없었다.

“가친께서 돌아가시다”

금난수, 성재일기, 1575-05-13

금난수(琴蘭秀)의 부친인 금헌은 1575년 올해 정월부터 심기가 고르지 못하였다. 식사도 점점 양이 줄고 가래와 천식이 아주 심하였는데, 이러한 증세가 오래도록 나아지지 않는 염려되는 상황이 계속되었다. 몇 달이 지났는데도 차도가 없이 오히려 병세가 악화되자 금난수는 마침내 결단을 내렸다. 부친이 평상시에 거처하던 곳에서 사랑방으로 거처를 옮기기로 결정한 것이었다. 예서에서는 임종이 가까워지면 천거정침(遷居正寢)이라고 하여 병이 깊어진 환자를 정침으로 옮기도록 명시하고 있기 때문에 금난수도 이를 따르고 싶었던 것이었다.
금난수는 임종에 대비해 부친의 처소를 안방으로 옮겼지만 한편으로는 당연히 부친이 쾌차하기를 바랐다. 하지만 그 바람이 무색하게 금헌은 5월 13일 미시(未時; 오후 1시~3시)에 세상을 떠났다. 오랜 병환 기간이 있었기에 부친이 조만간 먼 길을 떠나실 것을 예감했음에도 애통한 마음은 어찌할 수가 없었다. 금난수와 가족들은 그 애통함에 연거푸 곡(哭)하였다. 집안을 이끌어야 했던 금난수는 정신을 차리고 부친께서 다시 살아나시길 바라는 마음을 담아 초혼(招魂)을 진행하였다. 가친의 웃옷을 가지고 지붕에 올라간 자가 부친의 이름을 세 번 부르는 소리가 금난수의 귀에 들렸다. 금난수는 마지막 희망을 부여잡고 시신을 살폈으나 깨어나시지 못했다. 이제는 금난수도 부친이 돌아가셨음을 어쩔 수 없이 인정할 수밖에 없었다.
금난수는 주상(主喪)이 되었고, 금난수의 처 횡성 조씨는 주부(主婦)가 되었다. 금난수는 집안사람들 중 주상인 자신을 도와 상사(喪事)의 일을 처리할 호상(護喪, 초상 치르는 데에 관한 온갖 일을 책임지고 맡아 보살피는 사람)과 사서(司書, 조문객의 출입 등을 기록하는 일을 하는 사람)·사화(司貨, 초상에 쓸 물건 또는 재물의 출납 등을 기록하는 일을 하는 사람)를 정한 다음 친척과 친구들에게 부고를 전했다.

“아내가 병에 걸려 일이 손에 잡히지 않는다”

김광계, 매원일기,
1643-03-19 ~ 1643-08-18

1643년 봄부터 김광계의 아내는 병이 깊어 자리에서 일어나지 못하고 먹고 마시지도 못하였다. 김광계는 그 어느 때보다도 더 걱정하고 괴로워하는 모습을 보였다. 마침 또 김광계가 존경하고 따르던 재종숙의 대상이 다가오자, 김광계는 아끼는 이를 또 잃을까 하는 마음에 더욱 걱정하였다. 더욱이 아내가 병에 걸려 있어 부정이 탈까 싶어 재종숙의 궤연에 전을 올릴 수도 없었다. 여러모로 한스러운 상황이었다.
김광계는 종 무생(戌生)을 용성(龍城)에 보내 약을 처방받아 오게 하였는데, 의원은 김광계의 아내의 병세를 듣고 가감승마갈근탕(加減升麻葛根湯)을 처방하였다. 이 약은 신열을 내리고, 입이 헐고 목구멍이 아픈 증상을 치료하는 약이다. 김광계는 걱정도 되고, 자신의 노구도 병을 옮을까 싶어 강재(江齋)로 나와 지내기로 결정하였다. 동생 김광악, 김광실, 김광보, 조카 김민 등 여러 사람이 김광계를 매일같이 찾아와 아내의 병세를 전하였는데, 점차 나아지고 있다는 희망적인 소식들이었다.

“하회누이의 부고가 오다”

최흥원, 역중일기, 1756-05-06 ~

1756년 5월 6일. 최흥원은 아침 날이 밝기 전부터 서둘러 10말의 쌀과 5냥의 돈, 2마리 닭과 함께 5홉의 꿀을 종 한선이를 시켜 하회마을로 가져가도록 하였다. 며칠 전 하회마을로부터 걱정스러운 소식이 날아들었다. 아이를 가진 최흥원의 누이가 전염병에 걸려 유산을 하였다는 것이다. 유산뿐 아니라 몸 상태가 매우 위중한 상황이라고 하였다. 이때 까지만 해도 누이가 위기를 잘 넘기고 일어나리라 생각했었다.
그런데 어제 재낭이의 지아비를 하회마을로 보내어 상황을 알아보게 하였더니, 누이의 증세가 심각해져 그사이에 버티기 어려울 것 같다는 대답을 들었다. 이야기를 들은 최흥원은 당장이라도 누이의 증세를 확인하기 위해 하회로 가야 하나 고민이 되었으나, 최흥원 본인도 병중인 상황에서 함부로 길을 나서기가 어려운 상황이었다. 그리하여 오늘 오전에 한선이를 보내 여러 물건을 보내고, 누이의 증세를 다시 확인해보도록 한 것이었다.
그런데 오후 무렵, 한선이가 돌아오기도 전에 하회마을에서 사람이 왔다. 결국, 누이가 세상을 떠난 것이다. 세상에, 이것이 무슨 하늘의 이치란 말인가. 매우 애통하고 가슴이 찢어질 듯 아파 왔다. 최흥원은 한참 동안 눈물을 쏟아내다가, 이윽고 정신을 차렸다. 어머니께는 대체 어찌 말씀드린단 말인가! 병환으로 하루하루를 보내고 계신 데, 이제 딸자식의 죽음까지 듣는다면 어머니께서 차마 견딜 수 있겠는가. 이런 생각에 최흥원은 소식을 전하기가 망설여졌다.
그러나 딸의 죽음을 언제까지나 숨길 수도 없는 법. 최흥원은 이윽고 결심하고 어머니 방의 문을 두드렸다. 떨리는 목소리로 누이의 부고를 전하던 최흥원은 어머니와 함께 통곡하고 말았다.

“전쟁 중에 병으로 딸을 잃다”

금난수, 성재일기,
1592-05-20 ~ 1592-06-03

안 그래도 전쟁 때문에 근심이 많은 때에, 전염병까지 창궐하기 시작하였다. 피난을 온 외지 사람들이 많은 데다가 모두 씻고 먹는 것 역시 부실한 만큼 전염병이 퍼지기도 쉬웠다. 금난수의 가족이 피난하고 있는 고산(孤山)에서도 병자가 나왔다. 이광욱과 혼인한 딸 계종(季從)이 앓기 시작한 것이다. 사위인 이광욱은 이때 자신의 부인과 함께 있지 않고 자신의 부모를 챙기기 위해서인지 따로 있었는데, 부인이 심하게 앓는다는 소식에 고산으로 와서 부인의 병세를 확인하였다.
그러나 약재를 구하기도 어려운 흉흉한 상황이었다. 계종은 약 한번 변변히 써 보지 못하고 남편이 돌아간 다음날 저물 때쯤 허망하게 사망하였다. 돌아갔던 남편이 황망하여 바로 찾아왔으나 이미 부인의 시신은 차게 식은 뒤였다. 전쟁 중이라 시신을 시댁으로 보내 장례를 치를 수도 없는 상황이었다. 그리하여 금난수는 몸소 딸의 장례를 지휘하였다. 사위와 사돈, 그리고 형제인 금경과 금업, 부모인 금난수와 그의 부인만 참여한 조촐한 장례가 치러졌다.
장례가 끝난 뒤, 아들들은 자신의 부인이 있는 곳으로, 사위는 자신의 부모가 있는 곳으로, 모두 각자의 집안을 챙기러 뿔뿔이 흩어졌다. 남은 금난수는 딸의 관을 뗏목에 실어 강을 건너게 한 뒤 소를 빌려 장지까지 운반하였다. 쓸쓸한 장례였다.

닫기
닫기
관련목록
시기 동일시기 이야기소재 장소 출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