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바로가기본문 바로가기


조카 상진의 병세가 위중해지다


1755년 7월 27일. 둘째 아우의 아들인 상진이 지난달부터 병을 앓더니, 요사이 그 병세가 급격히 악화하였다. 얼마 전에는 설사가 마치 고름과 같이 나와 온 집안 식구들이 놀라움을 금치 못하였다. 계속되는 병세에 강 의원을 집으로 불렀다. 강 의원은 상진의 증세를 진단하더니 보중익기탕을 처방해 주고는 밤 해시 무렵 복용하라 일렀다.

이 해시란 말에 최흥원은 지난번 본 점괘가 떠올랐다. 상진의 병이 오래 낫지 않자 아는 사람에게 점을 쳤더니 췌괘가 곤괘로 바뀌는 점괘가 나오면서, 해일(亥日)에 의원이 집에 들어올 것이라 예언하였다. 그런데 오늘 날짜를 따져보니 마침 해일이 아닌가! 게다가 의원이 약을 처방해서 꼭 해시(亥時)에 먹이라고 하니, 해(亥) 간지가 상진의 병을 다스리는데 특별한 효험이 있는 듯하였다.

사실 점이란 것을 그다지 믿지 않는 최흥원이었으나, 점괘나 점쟁이의 말, 의원의 말이 모두 절묘하게 일치하니 일말의 기대가 생기는 것도 사실이었다. 어쩌면 의원의 처방이 정말로 효험이 있을지 모를 일이었다. 최흥원은 병에 지친 상진과 그 아비인 둘째 아우를 생각하며 그 점괘가 틀림없기를 마음속으로 기원하였다.

출전 : 역중일기(曆中日記)
저자 : 최흥원(崔興遠)
주제 : ( 미분류 )
시기 : 1755-07-27 ~
장소 : 대구광역시
일기분류 : 생활일기
인물 : 최흥원

관련자료링크  더보기







집필자 소개

글 그림 | 서은경
서은경
만화가. 1999년 서울문화사 만화잡지공모에 당선되며 본격적인 작품활동을 시작했다. 그간 지은 책으로 『마음으로 느끼는 조선의 명화』, 『소원을 담은 그림, 민화』, 『만화 천로역정』, 『만화 손양원』 등이 있으며, 『그래서 이런 명화가 생겼대요』, 『초등학생을 위한 핵심정리 한국사』 등에 삽화를 그렸다.
● 제5회 스토리테마파크 창작 콘텐츠 공모전 담임멘토
● 제6회 스토리테마파크 창작 콘텐츠 공모전 전문심사위원
● 제7회 전통 기록문화 활용 대학생 콘텐츠 공모전 면접심사위원
“둘째 아우가 집에서 굿을 하다”

최흥원, 역중일기, 1759-05-01 ~

1759년 5월 1일. 어머니께서 갑자기 등에 한기를 느끼는 증상이 있으셨는데, 며칠이 지나도록 깨끗이 낫지 않으셨다. 이 때문에 최흥원은 하루하루 애가 타고 두려운 나날을 보내고 있었다. 오늘 아우들에게 편지가 왔는데, 거기 놀라운 소식이 적혀 있었다.

둘째 아우가 손자 복생의 병 때문에 마음이 흔들려서, 어제 무당인 계집종을 시켜 사악한 기운을 물리치는 굿을 집에서 했다고 한다. 이로 인해 집에서 머물던 일족 할아버지가 밖으로 나가 있으셨다고 하니, 어찌 유학자의 문하에서 있을 수 있는 일이겠는가! 몹시 통탄할 일이었다.

사실 둘째 아우는 손자 복생이 병에 걸릴 때부터 이미 제정신이 아니었다. 몇 해 전 아들 상진을 병으로 잃고 나서, 이 손자마저 잃게 되면 둘째 아우는 영영 대가 끊길 참이었다. 그래서인지 손자의 병에 좋다면 무엇이든 할 기세였고, 주변 사람들이 보기에도 실성한 것처럼 이리저리 뛰어다녔다. 본래 사람의 인명이야 사람의 노력만으로는 어떻게 되는 것이 아니거늘, 둘째 아우의 최근 행보는 주변 사람들이 보기에 안타까움을 자아내기에 충분하였다.

이리하여 최흥원을 비롯한 문중의 어른들도 둘째 아우에게 여러 번 이러한 이야기로 타일렀으나, 둘째 아우의 귀에는 들리지 않는 모양이었다. 그런데 급기야 집에서 굿까지 하다니……. 최흥원은 둘째 아우가 안타까우면서도 한편으로는 측은한 마음을 감추지 못하였다.

“마을 사람들이 굿판, 한해 농사를 마무리 하는 잔치”

오희문, 쇄미록, 1600-08-06

1600년 8월 6일, 오늘은 마을이 떠들썩하였다. 마을 사람들이 술과 안주를 모아가지고 냇가에 모여서 무당을 불러다가 북을 치면서 신에게 빌고 있었다. 얼마 전부터 고을에 호랑이가 출몰하여 사람을 해치고 가축을 물어가니, 무당을 불러 이러한 걱정을 없애달라고 굿을 하는 모양이었다.

이들은 노래하고 춤추면서 종일 놀이를 하였는데, 오희문 집의 계집종들도 가서 참여하였다. 참여했던 계집종들이 오는 길에 술 한 동이와 떡 한 행담을 가져왔기에 온 집안사람들이 모여 함께 먹었다. 굿을 하는 것은 참으로 부질없는 일이지만, 그래도 오희문 집에 이렇게 음식을 보내어왔으니 마을 사람들의 인심에는 감사할 일이었다.

이야기를 들어보니 이런 굿판은 해마다 초가을이면 한 번씩 의례히 하는 일이라고 한다. 꼭 호환을 없애려는 것은 아니고, 한 해 농사일이 끝났으므로 호미를 씻는 의미로 놀고먹는 잔치를 하는 것이라고 한다. 오희문 역시 전란이 일어난 이후 해마다 농사일을 돌보느라 눈코 뜰 새가 없었고, 일 하는 사람들의 고충을 충분히 알 법도 하였다. 허황된 굿이 아니라 마을사람들이 한번 쉬고 노는 의미라면, 이러한 굿도 꼭 나쁠 것은 없겠다는 생각을 하게 된 오희문이었다.

“아들의 병을 고치기 위해 무당을 불러 푸닥거리를 하다”

김택룡, 조성당일기,
1616-10-16 ~ 1616-10-18

1616년 10월 16일, 김택룡은 이 날 운심이를 군내(郡內)로 보내 무당[巫史(무사)]을 찾아보게 하였다. 김택룡은 또 복이(福伊)를 둘째아들 김적이 있는 산양(山陽)으로 보내 그 편에 편지를 써서 아들의 병을 물었다. 그리고 아들에게 18일에 푸닥거리[사신(祀神)]를 하겠다고 말했다. 다음 날 10월 17일, 아침에 군내로 갔던 운심이가 돌아왔다. 돌아와서 전하길, 순좌(舜佐)의 처를 부르려고 했는데 사정이 있다고 핑계대고 오지 않으려 한다고 하였다. 김택룡은 ‘순좌의 처는 무당이긴 해도 꽤 영리해서 운수도 점칠 줄 알아[추수(推數)] 괜찮건만. 그리고 우리 집에 오랫동안 출입하였으니 그 점도 안심인데...’라고 생각하였다.

10월 18일, 이 날 김택룡은 예정대로 영주 산장(山庄)에서 푸닥거리를 하며 아들 김적의 병이 낫기를 기도하였다.

“하늘과 부처와 귀신의 힘을 모두 모은 기우제”

노상추, 노상추일기,
1764-05-21 ~ 1764-05-27

7년째 농사철마다 사람들은 너나 할 것 없이 마음을 졸여야 했다. 비가 충분히 내리지 않았기 때문이다. 모판에 어린 벼를 심어 놓았다가 논에 물을 채운 뒤 옮겨 심는 이앙법(移秧法) 역시 충분한 양의 물과 수리시설이 필요한 농법이었다. 올해 역시 매우 가물어서 여름이 되어도 비가 온 날이 5~6일에 지나지 않았다. 또 비가 온다 해도 흙을 충분히 적실 정도의 양이 아니었기 때문에 황폐한 땅에서도 잘 자란다는 콩 모종마저 말라죽을 정도였다. 논의 벼 역시 예외는 아니었다.

안 오는 비를 사람의 힘으로 내리게 할 수는 없었다. 하지만 그저 손가락을 빨며 하늘만 쳐다보고 있을 수는 없는 노릇이었다. 그래서 국왕 이하 모든 백성은 가뭄이 든 이래 7년간 매년 기우제를 지내왔다. 기우제를 지낸다고 반드시 비가 오는 것은 아니었지만 적어도 비를 바라는 사람들의 마음을 어느 정도 풀어주는 효과는 있었다. 올해 역시 기우제가 거행되었다. 수령은 선산 근처의 큰 산인 금오산(金烏山)에 승려와 무당, 소경까지 모두 불러 모아 기우제를 지냈다고 한다. 하늘과 산신, 부처, 그리고 귀신에게까지. 빌 수 있는 대상에게는 모두 빈 셈이다.

“과거를 꿰뚫어보는 맹인 점술가 ‘김여추’”

점괘패(출처: 국립민속박물관) 권문해, 초간일기,
1584-03-09 ~ 1584-03-15

1584년 3월, 권문해는 추운 겨울을 지나 어서 봄을 만나고 싶었다. 그러나 3월 9일, 바라본 소백산에는 겨울처럼 눈이 내려온 산이 다 하얗게 되었다. 더욱이 연일 서리가 내려 초목의 싹이 대부분 시들어 죽어가는 걸 보니 마음까지도 메마르는 듯하였다. 그러던 중 예천군 성주 류세무와 경상북도 선산부백(善山府伯) 류덕수(柳德粹)가 경상북도 의성군의 대곡사(大谷寺)에 만나기를 청하였다.

3월 14일, 권문해는 집을 나서 대곡사로 향했고 그곳에서 3일을 머무르며 류세무와 류덕수와 이야기를 나누며 여유로운 시간을 보냈다.

3월 15일, 이야기 중 경상북도 선산군의 부백 류덕수에게 자신의 고을에 맹인 점쟁이 김여추(金汝秋)에 대해서 듣게 된다. 앞을 못 보는 맹인이지만 그 누굴 만나도 그가 살아온 과거를 귀신같이 맞춘다는 것이다. 권문해와 류세무는 명경수(明鏡數) 김여추의 이야기에 시간 가는 줄 몰랐다.

김여추의 이야기를 한참 듣던 류세무는 율시 한 수를 쓰는데,

화와 복은 다 이미 정해진 것 禍福皆前定
꽃 피고 시드는 것은 각기 때가 있다네 榮枯各有時
정원의 꽃은 일찍 떨어져 버리지만 花落園中早
산골짝 옆 소나무는 오래도록 산다네 松生澗畔遲
현묘한 이치 원래 수가 있는 것이니 玄機元有數
조물주가 어찌 사사로움을 용납하리오 造物豈容私
모름지기 반계(磻溪) 늙은이를 알아야 할거니 須識磻溪叟
끝내 임금의 스승이 되었네 終爲帝者師

대곡사에 모인 권문해와 류세무, 류덕수는 앞 못 보는 맹인 점쟁이 이야기를 통해 세상의 이치를 논하는 이야기로 밤새는 줄 몰랐다.

닫기
닫기
관련목록
시기 동일시기 이야기소재 장소 출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