무더운 날씨에 지칠 무렵, 사람들은 본능적으로 ‘서늘한 이야기’를 찾습니다. 하지만 공포는 단지 더위를 잊기 위한 수단일까요? 아니면 우리가 감당하지 못한 현실의 감정이 터져 나오는 또 하나의 방식일까요?
이번 7월호 웹진 《담談》은 ‘일상의 공포’를 주제로 삼았습니다. 단, 그것은 단순한 괴담이나 흉흉한 사건이 아닙니다. 스토리테마파크가 지닌 정체성, 즉 실제 역사적 기록을 기반으로 한 창작의 토대를 바탕으로, 우리 조상들이 삶에서 실제 겪고 직접 써낸 ‘실화’를 주제로 꺼내 들었습니다. 그리고 그 실화 안에서 오늘날의 공포를 비춰봅니다.
정진혁의 「저주를 부탁해: 귀신과 거래한 조선 사람들」은 ‘저주’라는 공포가 우리 선조들의 일상에 어떻게 녹아 들어 있는지 세밀하게 관찰하고 흥미롭게 추적했습니다.
필자에 의하면 ‘저주’란 “귀신에게 괴롭힘을 의뢰하는 일종의 청탁”입니다. 원한을 가진 자가 원한의 대상을 해하려는 목적으로 귀신에게 부탁하는 것입니다. 그런데 이 청탁의 방식이 매우 무섭습니다. 이 공포는 사실적인 디테일에서 비롯됩니다. 벌레나 뱀과 같은 것을 잡아다 서로 잡아먹게 하여 마지막으로 남은 한 마리가 저주를 부리기 위한 도구인 고(蠱)를 만들어 사용하는 ‘고독(蠱毒)’, 배고픈 아이를 음식으로 유인해 대나무 통에 가두고 목숨을 끊어 그 아이의 원혼이 대나무 통 속에 갇히게 해 저주의 도구로 삼는 ‘염매(魘魅)’, 나무·짚으로 사람 모양을 만들고, 눈을 찌르거나 팔다리를 묶어 그것과 같은 피해가 저주 대상자에게도 가해 지도록 하는 ‘염승(厭勝)’... 상상할수록 무섭고, 생각할수록 기괴합니다.
궁궐과 사가를 넘나들며 펼쳐졌던 치밀한 저주의 방식들, 그리고 그 저주 후 남겨진 소문과 두려움은 우리가 진정 두려워해야 하는 것은 귀신이 아니라 ‘귀신에게 청탁’할 정도로 폭주해버린 인간 감정임을 보여줍니다.
인기 공포 유튜버, 왓섭(장경섭)의 「무서운 얘기 좋아하면 정말 귀신이 붙을까?」는 괴담을 단순한 무서운 이야기가 아니라, 인간과 자연, 죽음과 삶 사이의 오래된 약속이라고 말합니다. 죽은 자의 예의를 무시한 자에게 닥치는 재앙, 생명을 함부로 대하는 자에게 찾아오는 화(禍), 보이지 않는 존재들에 대한 최소한의 존중. 괴담은 결국 살아 있는 이들에게 “사람답게 살라”는 경고입니다.
추가로 말씀드린다면 이 여름, 지금 저도 즐겨보고 있는 인기 공포 유튜버, 왓섭의 글에는 그가 왜 이토록 유명한 공포 이야기꾼인지 증명해 내는 부분이 있으니 가능하다면 불을 끄고 혼자 읽어보시길 권장합니다.
서은경 웹툰, 독선생 전의 「버들숲에 이는 바람」은 ‘산호 뒤꽂이’라는 장신구를 통해 여성의 한 맺힌 죽음과 복수 그리고 선의의 도움을 한데 버무립니다. 여성들 자신의 존재를 꽃으로, 은으로, 비녀로 간직해야 했던 시대. 그 ‘아름다움’이라는 말 뒤에 숨겨진 생사의 기록은 우리에게 공포의 또 다른 얼굴을 보여줍니다.
이문영의 「돌아온 여우 귀신」은 고전 괴담을 연상시키면서도 한여름 밤의 정교한 서늘함을 담아냅니다. 간이 사라진 시체와 부활한 시신, 그리고 다시 돌아온 여우 귀신은 조선판 좀비 이야기로도 읽히지만, 결국은 소문과 공포가 어떻게 사람 사이를 파고드는지를 말합니다.
이수진은 뮤지컬이자 창극으로 재창조된 「베니스의 상인들」을 통해, 현대의 공포가 과거의 종교적 혐오에서 자본이라는 신으로 교체되었음을 폭로합니다. 가슴살 한 근을 담보로 돈을 빌려주는 샤일록보다 더한 존재는, 법과 제도를 돈으로 산 자들입니다. 공포는 무대 위 괴물이 아닌, 관객석에 앉아 박수를 보내는 우리 자신에게 있을지도 모릅니다.
마지막으로 「꿀벌의 비행」은 조선시대 문인 오희문의 일기 『쇄미록』을 바탕으로, 공포를 가장 현실적인 얼굴로 데려왔습니다. 1598년, 막내딸을 잃은 조선시대 문인 오희문은 벌을 치고 누에를 키우며 삶을 다시 일구어 나갑니다. 전쟁, 기근, 상실의 공포 속에서도 그는 꿀을 따고 병아리를 돌보며 살아남습니다. 정진혁이 말한 ‘두려움의 전염’이 감정의 영역이라면, 이복순은 ‘생존의 공포’를 현실적으로 풀어냅니다. 결국 공포는 귀신이 아니라, 배고픈 내일, 그리고 사랑을 잃고도 살아가야 하는 오늘일지도 모릅니다.
공포는 단순한 ‘무서움’이 아닙니다. 《담談》이 다룬 공포는 결국 우리 자신의 이야기입니다. 누군가의 일기에서, 마을의 검시 기록에서, 또는 마음속 작은 틈에서 피어난 ‘실화’의 공포는, 여름밤의 한기를 타고 독자 여러분 곁에 조용히 다가갈 것입니다.
그리고 다시, 기억합니다.
여름의 꽃은 공포, 공포의 꽃은 실화, 실화의 원천은 스토리테마파크입니다.
김한솔 드림
시기 | 동일시기 이야기소재 | 장소 | 출전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