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바로가기본문 바로가기
페이스북PDF
선인의 일기

8남 6녀를 둔 어느 아버지의 일상,
김택룡의 『조성당일기』

김민옥

과거 합격자 발표 소식을 들었다. 숙은 낙방하고 향중鄕中에서는 오직 김주우金柱宇·주국柱國이 합격했다. 이번 과거에서 사사로운 정이 아니면 합격할 리가 없다. 이 두 김이 모두 시관에게 부탁하여 합격했다고 한다. 몹시 가슴 아픈 일이다.
1617. 7. 26

1617년 7월 26일, 김택룡(1547~1627)의 <조성당일기>에 기록된 내용이다. 김택룡의 첫째 아들 숙은 과거시험에 낙방하였다. 고을에서는 김주우와 김주국만이 합격하였는데, 김택룡은 그 결과가 석연찮았다. 여기저기 알아보니 두 합격자 모두 시험 감독관에게 청탁하여 합격한 것이었다. 김택룡은 부정청탁으로 공정하지 못한 시험을 치룬 아들을 안타까워하며 억울한 마음을 일기에 담아두었다.

71세의 고령의 나이에도 불구하고 김택룡은 자녀들을 일에는 매우 열성적인 아버지였던 것으로 보인다. 1617년 7월 6일 기록에는 의흥에서 시험 보는 셋째 아들 각을 위해 말과 붓, 종이를 정성스럽게 준비하고, 사위를 시켜 시험 장소를 미리 답사해 볼 정도였다. 또 과거 시험에 합격한 운발 좋은 붓을 빌리기 위해 동분서주 하는 모습도 확인해 볼 수 있다. 자식들의 일이라면 정성을 다했던 아버지였기에 부정으로 얼룩진 시험으로 낙방한 아들 일에 몹시도 분개 했을 것이다.


그에게는 8남 6녀의 자녀가 있었는데, 적자로 5남 6녀를 두었고 소실에게서 얻은 세 명의 아들이 더 있었다. 그의 자식 사랑은 아들과 딸을 구별하지 않았고, 적자와 서자의 차별도 없었으며 오로지 14남매가 건강하고 행복하기를 바랄 뿐이었다. 그가 1612년(66세), 1616년(70세), 1617년(71세)에 쓴 3년의 기록에는 아버지 김택룡의 모습을 엿 볼 수 있는 기록이 다수 포함되어 있다.

둘째 아들 적(玓)이 병으로 고생하자, 백방으로 약을 구하러 다니고 백방으로 수소문하며 치료를 위해 애를 쓴다. 그럼에도 차도가 없자 무당을 불러 푸닥거리까지 한다. 그러나 끝내 아들을 잃는다. 김택룡은 죽은 아들이 묏자리도 직접 찾아서 정하고, 아들을 보내는 일에도 정성을 다한다.

아들의 병을 고치기 위해 무당을 불러 푸닥거리를 하다
김택룡, 조성당일기, 1616-10-16 ~ 1616-10-18

이외에도 출가한 딸들이 아프다는 소식이 들리면 잠을 이루지 못하고 노심초사하며 걱정하는 아버지의 마음이 일기에 고스란히 담겨 있다. 또, 둘째 딸의 혼사를 앞두고, 좋은 날 혼인시키기 위해 점쟁이에게 날짜를 물어보기도 하고, 부족한 혼수비용을 마련하기 위해 동분서주하는 모습 등이 일기에 기록되어 있다.

점쟁이에게 물어 둘째딸의 혼인 날짜를 정하다
김택룡, 조성당일기, 1616-03-16 ~ 1616-03-22

자식에 대한 지극정성은 그의 손자들에게도 이어진다. 1617년 8월 10일, 학문에 게으로고 독송(讀誦)을 열심히 하지 않는 손자들에게 김택룡은 매를 들었다는 기록이 보인다. 김택룡이 손자들의 공부에 관심을 쏟으며 그들이 공부를 게을리 할 때에는 매질로 다스렸는데, 후손들이 학문을 바로 할 수 있기를 바랐던 것이리라. 김택룡은 바쁜 일상 속에서도 틈이 생길 때면 집안의 자제들을 교육하는 일을 게을리 하지 않았다. 특히 비가 내리는 장마철에는 손자들을 모두 모아 놓고 문장 및 시의 작법을 중심으로 교육하였는데, 주로 한유(韓愈)의 『원화성덕시元和聖德時』를 사용하였다.

81세까지 살았던 김택룡의 일생에 비하면 삼 년 의 기록을 담은 『조성당일기』는 그의 삶의 극히 일부에 불과하다. 그러나 매일 매일을 아주 꼼꼼하고 자세하게 기록하고 있고, 특히 그의 가족과 친족들에 관한 기록은 거의 매일 기록되어 있어 조선 중기 어느 집안의 가장이자 아버지의 일상을 면밀히 살펴 볼 수 있다.

그의 일기를 보면, 집에 주요한 일이나 농사일의 감독․관청에 내는 서류의 작성․토지거래 등의 여러 가지 일들은 첫째 아들 숙(琡) 등의 아들들, 조카인 덕룡, 생질인 정득 등을 시켜서 해결하고 있다. 또한 산양에 떨어져 살고 있는 둘째 아들 적(玓)과 시집가서 살고 있는 딸들을 방문하면서 그때마다 며느리 및 사위, 그리고 사돈 집안사람들을 폭넓게 만나고 있다. 그리고 일기에는 많은 수의 노비들이 등장하는데, 편지의 전달, 장시에서 물건을 사러 보낼 때, 가옥의 수리, 밭의 경작 등의 일을 시키면서 그들의 이름을 빼 놓지 않고 적어두고 있다.

김택룡(1547~1627)이 1612년(66세), 1616년(70세), 1617년(71세)에 쓴 일기는 많은 양은 아니지만, 조선 중기의 사대부의 일기로서 매우 귀중한 자료이다. 날마다 빠짐없이 기록되어 있고, 특히 다른 사람의 손에 의한 편집을 거치지 않은 자필 수고본이라는 점에서 중요한 사료로 평가되고 있다.

김택룡의 <조성당일기>는 조선중기 한 사대부의 일상을 그 어떤 자료보다 총체적으로 담고 있다. 김택룡의 인적교류‧경제 활동‧사회 활동 등 외적인 활동을 비롯해 질병‧음주‧음식‧주거‧의복 등과 관련한 의식주, 독서‧문학 창작‧자연의 감상‧감정의 변화 등의 개인의 정서와 취향, 그리고 지역 사회 내에서 발생한 사건‧풍속 등의 사회적 환경 등등을 세밀하게 보여준다.

아래는 지금부터 400년 전 오늘 김택룡의 일기다.


1617. 10. 10. 맑음
아침에 운심을 보내 원의 누님의 병을 문안했다. 간혹 차도는 있으나 아직 낫지 않아 걱정이라고 한다. 분국(粉麴, 누룩)을 옮기는 일로 종남을 부르니 큰 소리로 화를 많이 내어, 혼을 내 주려다 일단 그만 두었다. 제 아비를 믿고 그러는 것 같다. 김응희가 대하(臺下) 논벼를 베고 종만이 창답 벼를 벳다. 저녁에 걸어가서 봤다.




집필자 소개

김민옥
전통 기록 자료에서 스토리텔링 소재를 발굴하고 다양한 문화콘텐츠로 창작하고 활용하는 데 관심이 있음. 현재 한국국학진흥원에서 조선 시대 일기류 자료를 활용한 이야기 소재 개발 사업(스토리테마파크story.ugyo.net)을 담당하고 있다.
“과거시험장의 부정행위 천태만상 (2) 문제 유출, 수험생과 답안지 대조 채점”


김령, 계암일록, 1616-09-02 ~
1616년 9월 2일, 김령은 서울에서 돌아온 벗 이신승(李愼承)을 만났다. 김령은 저녁까지 이어진 대화에서 그에게 놀라운 이야기를 들었다.
알성시의 표제(表題)는 원래 시험장에서 시험 당일 발표하는 것인데, 이를 시험 전에 미리 출제하였다는 것이다. 시험 당일 새벽에 문밖에 모인 선비들은 모두 “오늘 틀림없이 이러저러한 문제가 나올 것이다.”라고 말하였다고 했다. 과연 표제는 예상대로 발표되었고, 시험 감독관과 당색이 다른 사람은 모두들 손을 쓸 수가 없었다고 하였다. 이이첨이 혼자 합격자의 답안지를 8장을 집었고, 3장을 더해 모두 11인이었는데, 합격한 이들은 다 그와 같은 당색인(黨色人)이었다고 한다. 기자헌(奇自獻)도 그 패거리로서, 아들을 장원급제시켰고, 조카도 높은 점수로 급제시켰다.
시권에 성적을 매길 때에도 여러 유생들이 그 곁을 에워싸고 모였고, 어떤 이는 자신이 지은 글의 서두를 부채에다 써서 시험 감독관에게 펼쳐 보여주니, 감독관도 ‘아무개가 지은 것이로구나.’하며 반색했다고 하였다.
김령은 통탄하고 통탄하였다. 이러한 폐단을 누가 구중궁궐에 아뢸 수 있단 말인가.

“용으로 변한 말, 부정합격으로 출세한 자가 과거시험장의 감독관이 되다”


김령, 계암일록, 1617-07-23 ~
1617년 7월 23일, 김령은 비안(比安)에서 열린 동당시(東堂試)를 치르고 돌아오는 김백온과 이임보를 만났다. 그들은 감독관으로 들어온 고령 현감 신경민(申景旼)에 대해 이야기했다. 그는 평소 유학을 공부하지 않아서 문관도 무관도 아닌, 그저 부장(部將).습독(習讀) 따위였다. 그런데 권력을 가진 무리들에게 부탁하여 1616년 겨울 별시에 급제하게 되었다. 뇌물을 받은 간신들이 미리 문제를 내어 글을 짓게 하고는, 시험 당일에 이를 사사롭게 이용하는 방법을 쓴 것이다. 당시 안팎으로 서로 짜고 일을 꾸며 40여 명을 급제시켰는데, 이 와중에도 신경민이 합격한 것은 더욱 해괴한 일이었다. 듣는 사람들은 모두 큰 변고라고 하였다.
신경민은 이즈음 비안의 녹명관(錄名官)으로 왔다가 사람이 부족하여 감독관으로 시험장에 들어왔는데, 시권(試券)을 읽을 때에는 구두(句讀)조차 전혀 떼지 못하고 머뭇거렸다. 이러한 지경인데도 문신이 되고, 시관이 되니 상황이 어찌 어지럽지 않을 수 있겠는가.
급제 당시 신경민이 좋은 말을 권세 있는 집안에 뇌물로 바치고 과거에 급제하였으므로, 당시 사람들은 이를 빗대어 ‘말이 용으로 변했다’고 하였다.

“과거시험에 낙방한 자의 아버지, 청탁으로 부정합격한 자들을 보며 가슴을 치다”


김택룡, 조성당일기,
1617-07-24 ~ 1617-07-26
1617년 7월 24일, 김택룡은 비안으로 과거시험을 보러 갔던 아들 숙이가 어제 자신의 집에 당도했다는 소식을 들었었다. 얼마 지나자, 숙이 택룡이 있는 곳으로 돌아왔다. 그가 택룡에게 말하길, “아버님, 과거장에서 이렇다 할 별일은 없었습니다. 그리고 아직 합격자 발표는 나지 않은 것 같습니다.”라고 하였다. 다음 날 25일, 손흥선 · 심학해 · 심용해 · 생질 정득 · 심이달 등 동네 사람들이 숙을 찾아와서 만났다. 택룡은 과거 시험장에서 숙이 작성한 초장, 중장, 종장의 답안지 초고들을 살펴보았다.
7월 26일 드디어 과거 합격자가 발표되었다. 택룡의 아들 숙은 낙방하였다. 고을에서는 김주우(金柱宇)와 김주국(金柱國)만이 합격하였다. 택룡은 아무리 생각해도 결과가 석연찮았다. 그 두 사람이 합격한 것은 사사로운 정 때문일 것이라는 느낌이 들었는데, 아니나 다를까 김주우 · 김주국 모두 시관(試官)에게 부탁하여 합격했다는 것이었다. 택룡은 가슴을 치며 괴로워했다.

“탐욕스러운 풍기군수, 백성의 삶을 손아귀에 움켜쥐다”


김령, 계암일록, 1622-05-21 ~
풍기군수(豊基郡守) 이잠(李埁). 그는 타고나길 어리석고 비루하였다. 대북(大北)파에 붙어 아첨하며, 대북이 하고자 하는 일에는 항상 팔을 휘두르며 나서서 참여하였다. 군수가 되고나서는 부정하게 재물을 거둔 일이 천만의 말로도 형용하기가 어려울 지경이었다. 민간의 장정을 징발하여 자신의 집을 짓고, 백성들이 세금으로 내는 무명베를 공공연히 그의 집으로 거두어간 것이 몇 번이나 되는지 알 수도 없다. 게다가 관부(官府)의 온갖 물건들을 민간에서 거두어들여 일일이 그의 수중에 움켜쥐었다. 이런 염치없고 양심 없는 작자가 수령이 되어 앉아있으니, 백성들이 어찌 곤궁해지지 않을 수 있겠는가. 김령은 통탄스러웠다. 가까운 경내에 찾아보려 해도 이토록 흉악한 자는 없었다.

“높고 낮은 요성의 관리들이 사신단에게 터무니없는 뇌물을 요구하다”


조익, 황화일기,
1599-09-17 ~ 1599-09-19
1599년 9월 17일, 조익(趙翊)을 비롯한 조선 사신단들은 요성(遼城 중국 요녕성 요양)에 도착했다. 도착하여 요성의 관리들과 인사를 하고 오후에는 요성을 들러 보았다. 그리고 그들은 숙소로 들어갔다.
그런데 요성의 도사(都司)와 장인(掌印) 숙응명(宿應明)이 은자 다섯 냥을 보내왔다. 이와 함께 자신들이 원하는 조선의 토산물을 요구하며 그 목록을 보내왔는데 너무나도 많은 물품이 적혀 있었다. 진무(鎭撫) 네 명도 요구하는 물품이 있었다. 그들은 너무나도 집요하게 요구하고 온갖 농간을 부렸다. 조선 사신단은 가지고 있던 짐을 다 풀어도 이 요구를 들어 줄 수 없을 지경이었다. 또 그들의 요구를 들어주지 못하면 방물(方物)을 운반할 수레를 얻어내지도 못할까 걱정이었다.
다음날인 9월 18일 조선 사신단은 그대로 요성에 머물러 있었다. 그리고 어제 명나라 관리들이 요구한 물품들을 약소하게나마 마련하여 문서를 써서 주었다. 그러나 진무 등은 자기 뜻에 차지 않는다고 하고서는 끝내 준비한 물품을 받아 가지 않았다. 그러면서도 그들은 매번 와서는 음식과 술을 요구하였는데, 이 역시 만만찮은 부담이었다. 유총병(劉摠兵)은 군사들을 훈련시키는 일로 성 바깥에 있어서 만나지 못하였는데, 예방(禮房)의 낮은 벼슬아치조차 물품을 요구하였다.
다음날 9월 19일 진무가 아침 일찍 왔다. 그는 계속 조선 사신단의 숙소에 머물러 있었다. 그리고 저녁이 되어서야 사신단이 준비한 물품을 가지고 갔는데, 여러 사람의 물품도 함께 받아서 갔다. 조선 사신단의 입장에서는 명나라 관리들의 요구대로 다 하지는 못하였어도 많은 물품을 준 것인데, 그래도 그 사람들이 이를 받아서 갔으니 다행이었다. 그런데 유총병 등도 은자를 보내 활 두 자루를 요구하였다.

닫기
닫기
관련목록
시기 동일시기 이야기소재 장소 출전